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뉴스
"
공학
"(으)로 총 8,701건 검색되었습니다.
박현민 표준연 원장·허세홍 GS칼텍스 대표 등 9명 과기자문회의 4기 심의위원 신규 위촉
동아사이언스
l
2021.08.06
위촉됐다. 학계에서는 김시호 연세대 글로벌융합
공학
부 교수, 백란 호남대 컴퓨터
공학
과 교수, 이승복 서울대 치의학대학원 교수가 위촉됐으며 산업계에서는 추혜용 삼성디스플레이 전무, 허세홍 GS칼텍스 대표이사 사장이 위촉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대학 및 출연연에서 활발히 ... ...
실험용 생쥐 정자 우편으로 쉽게 보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06
연하장에 붙여 보냈다. 사진은 시료가 붙은 연하장. 야마나시대 제공 남기환 한국생명
공학
연구원 실험동물자원센터 책임연구원은 “정자를 동결건조하면 정자가 죽기 때문에 새끼를 낳기 위해서는 죽은 정자의 꼬리를 자르고 몸체를 미수정 난자에 집어넣는 세포질 내 정자 주입술(ICSI)을 써야 ... ...
[과기원은 지금] 박지환 GIST 교수팀, 미분화 갑상선암 유전자 발견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8.06
역사 학습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관련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전기전자
공학
회 시각화와 컴퓨터 그래픽’에 출판될 예정이다. ■포스텍은 5일 박문정 화학과 교수와 손창윤 첨단재료과학부 교수팀이 정전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구조를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고분자 고체 전해질을 ... ...
더 크고 정교한 '미니 뇌' 생산 가능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05
탄생했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5일 조승우 나노의학 연구단 연구위원(연세대 생명
공학
과 교수) 연구팀은 실제 인간 뇌와 유사한 환경을 구현한 ‘뇌 오가노이드 배양 플랫폼’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뇌 오가노이드는 뇌를 연구하기 위해 줄기세포를 뇌와 비슷한 환경으로 키워서 만드는 ... ...
차종합연구원 신임 원장에 윤호섭 난양공대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1.08.05
2002년 싱가포르 난양공대에 생물학부 창립 교수로 합류했다. 이후 화학생물학 및 생명
공학
과 학과장, 생화학 및 구조생물학과 학과장을 역임했다. 2013년에는 싱가포르 한인과학기술자협회 초대회장을 지냈고, 구조생물학분야 연구성과를 인정받아 2016년 영국왕립학회 석학회원으로 선정됐다. 201 ... ...
기존 반도체 공정으로 인간 뇌 모방한 뉴로모픽 반도체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05
생산 비용 절감을 통한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AIST 전기및전자
공학
부 최양규 교수와 최성율 교수 연구팀은 인간의 뇌를 모방한 고집적 뉴로모픽 반도체를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8월호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뉴로모픽 ... ...
[랩큐멘터리] 최적화로 최고의 컴퓨팅 성능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04
곳은 세계적으로도 찾기 힘들다. (왼쪽부터) 김광선∙성효진∙박은혁 포스텍 컴퓨터
공학
과 교수. 이들은 각자의 전문 분야에서 최적화를 추진한다. 컴퓨팅 시스템에서 하드웨어는 연산능력의 핵심인 중앙처리장치(CPU)가 대표적이다. CPU 외에 최근에는 그래픽처리장치(GPU)나 가속기 칩, ... ...
한미 연구팀 세계 최고 효율 열전소재 개발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03
개발된 열전 소재 가운데 세계에서 가장 효율이 높다는 평가다. 정인 서울대 화학생물
공학
부 교수팀은 메르쿠리 카나치디스 미국 노스웨스턴대 화학부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주석과 셀레늄을 이용한 다결정 소재를 이용해 세계 최초로 열전성능지수(ZT·열전발전의 효율) 3을 넘기는데 ... ...
백금촉매·이차전지·음극소재 자립화 올해도 씨앗 더 뿌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03
, 인공지능-스마트랩 기반 산화물 고체전해질 혁신 연구실(강기석 서울대 재료
공학
부 교수)이다. 이중 홀로그램용 광메타소재 연구실은 미래 디스플레이 분야 핵심기술로 꼽히는 미래형 홀로그램 구현에 나선다. 홀로그램은 2비트 수준의 낮은 해상도를 높이는 것과 10도 이하 시야각을 넓히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비너스의 꽃바구니'로 불리는 해면 이야기
2021.08.03
‘네이처 재료’에 실린 논문은 돌출물을 제외한 골격 원통을 이루는 이중 격자가 기계
공학
적으로 효율적인 구조임을 밝혔다. 연구자들은 비너스의 꽃바구니 골격에 기반한 구조와 이와 비슷한 다른 구조 세 가지의 강도를 비교했다. 공정한 비교를 위해 들어가는 재료의 양은 같게 했다. ... ...
이전
330
331
332
333
334
335
336
337
3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