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구
설비
장비
기계
설치
기기
시스템
d라이브러리
"
장치
"(으)로 총 5,307건 검색되었습니다.
모델이 질겁한 8시간 노출 사진기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12볼트짜리 배터리의 크기를 보면 1-2천만kw를 저장하기 위해서 얼마나 큰 규모의 저장
장치
가 필요한지 알 수 있다. 벼락을 잡는 기술보다 저장 기술이 먼저 해결돼야 한다. 정부나 대학의 대규모 연구기관이 아닌 개인 발명가가 개발 우선 순위를 혼동한다면 파산하기 십상이다.발명가들의 약점 중 ... ...
심심하고 할 일 없어 털다 -주유소 습격 사건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짜여진 줄거리와 신세대 감각에 어필하는 연출, 무엇보다도 기존 공포영화들의 관습적인
장치
들을 조롱하고 희화화하면서도 그 규칙을 충실히 따라가고, 그러면서도 기존 영화들을 훌쩍 뛰어넘는 구성이 참신하고 독창적인 작품. 영화의 무대는 우즈버로라는 미국의 조그만 마을. 깜짝 카메오로 ... ...
화려한 변신 컬러 휴대폰의 미래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일반 유선전화로 시외교환을 호출해 차량전화번호를 알리고 교환원이 선택 호출
장치
버튼을 누르면 전파신호가 발사돼 차량 전화의 벨이 울리는 방식으로 사용됐다. 통화품질이 나빴음은 물론, 이동전화의 수요에도 충분히 대처할 수 없다. 더욱이 국산 유선전화기인 ‘체신 1호’가 생산되고 ... ...
핸들 잡은 채 자동차 히터켠다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조종버튼을 가리키면 된다. 이 움직임을 천장에 부착된 비디오 카메라가 알아채고 차내
장치
를 조작한다. 맥케냐 박사가 개발한 시스템은 앞으로 2년 내에 실용화될 전망이다 ... ...
2 활용 : ① 반도체개발 춘추전국시대 제패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영국 캠브리지대 데이비드 클레너만 교수가 바이러스의 감염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진단
장치
를 개발했다는 흥미로운 소식을 전했다. 아마도 멀지 않은 장래에 집집마다 화재경보기와 함께 감기 바이러스 경보기가 쓰이게 될지도 모를 일이다. 이러한 응용분야를 위해서는 생화학물질을 다룰 수 ... ...
분자소재연구실 기능성 분자로 돌돌 말린 디스플레이 실현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친구의 메일이 도착해 있다. 기다리기로 작심한 H양은 어제 못다 읽은 소설을 저장
장치
에서 불러내 읽기로 한다.현재로서는 상상일 뿐인 이 얘기는 가까운 미래에 현실로 다가올지 모른다. KAIST 분자소재연구실에서 유기분자를 이용한 최첨단 정보통신 소자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 ...
휴대폰 전자파 인체에 얼마나 흡수될까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에릭슨, 모토롤라 등 세계 3대 휴대전화 제조업체가 뇌종양 위험을 줄이기 위한
장치
를 개발해 특허를 출원했다.올해 신문지면을 장식한 휴대폰 전자파 관련 기사 중 일부다. 현재 국내 휴대폰 이용자는 전체 국민의 5명 중 3명 꼴. 휴대폰은 다른 전기전자 기기와 달리 머리 부위에 밀착시켜 ... ...
① 인간게놈 정보의 해일에서 진주찾기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후, 미지의 샘플에 있는 유전자들이 상보적 조각을 찾아가서 짝을 이루도록 유도하는
장치
다. 짝이 이뤄진 것은 형광반응을 통해서 확인이 가능하며, 이 세기를 비교해 질병 샘플과 정상 샘플 사이에 발현 차이를 보이는 유전자를 밝힐 수 있다.이런 실험의 경우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결과를 ... ...
물리학자는 왜 대칭성에 주목할까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있었다(과학동아 2000년 9월호 참조). 반입자인 양전자는 이미 양전자단층촬영(PET)이라는
장치
에 사용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일부 병원에서 이미 뇌종양 등의 검진에 사용하고 있다.그렇다면 반입자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것일까. 입자가속기는 양전자의 빔으로 전자의 빔과 충돌시켜 전자-양전자 ... ...
화성탐사 나서는 집채만한 축구공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미국 모하비사막에서 크기 1.5m짜리 공을 모델로 실험했다. 실험 결과 어깨높이의 이
장치
는 모래언덕 4백여m를 터지지 않고 쏜살같이 달렸다. 경사진 모래벼랑도 잘 올라갔다.이 실험에 관여한 과학자 잭 존스 박사는“이것이 충분히 크다면, 거칠 것이 없다”고 강조했다. 과학자들은 이보다 4배 큰 ... ...
이전
330
331
332
333
334
335
336
337
3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