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독립
자립
자활
자율
정치적 독립
국가의 독립
자주빛
d라이브러리
"
자주
"(으)로 총 3,419건 검색되었습니다.
퍼스널컴퓨터 교실⑦ 중첩구조와 배열의 분류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이 생기게 마련이다. 예를들면 FOR loop문 내에서 또다른 FOR loop문을 수행해야 하는 경우가
자주
있는데 일언 문장을 특히 중첩(nested) loop문이라고 한다. 이번호에서는 프로그램 문장의 중첩구조는 어떤 형태로 되어 있으며 지난호에서 배운 배열(arrays)은 어떤 방법으로 분류(sorting)하는지 알아보기로 ... ...
고3병의 현장 첫 징후는 성적저하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않고 있읍니다"라며 안타까와했다. 한편 고3병이라는 병명아닌 병명이 매스컴에
자주
등장함을 못마땅히 여기는 견해도 있다. 강남정신과 병원의 김명희원장은 "고3쯤되는 나이가 원래 정신병이 많이 발명하는 시기입니다. 신체적 성숙에 의해 성적에너지도 커지고 자아확립 등 결정해야 할 사항도 ... ...
과학혁명과 연구소들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여기에 생각이 미친 프랑스의 지식인들은 비공식적이고 비정기적인 모임을 여러곳에서
자주
가졌다. 그 예로서 '파스칼'(Pascal, Blaise: 1623~1662)을 중심으로한 그룹은 거리의 카페 같은 곳에 모여 발명·발견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고, 때로는 서신교환을 하기도 했다. 과학사상가인 '메르센느' ... ...
고성능 256KS램 개발 주역 김 창수 박사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백56KS램 개발기술은 1MD램 양산체제를 갖출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요즘 매스컴에
자주
오르내리는 과학기술용어 가운데 첫 손가락에 꼽히는 것은 반도체이다. 웬만한 첨단가전제품의 광고에도 빠짐없이 등장한다. 반도체는 과학기술계의 스타인 셈이다.반도체는 스타의 조건을 충분히 갖추고있다. ... ...
플라즈마 물리학 핵융합발전의 미래를 연다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하기위해 휘저어 주는데 이는 찌게 입자들을 흔들어 줌으로써 찬 부분과 더운 부분이
자주
닿게해 열전도가 빠르게 해주고자 함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플라즈마 난류현상은 큰 에너지 수송현상을 가져와서 플라즈마 내부의 온도를 높이는 데 큰 방해를 하기 때문에 플라즈마 핵융합 실험에서는 매우 ... ...
BASIC강좌⑤ 서브루틴의 다양한 활용법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재배치하고 있으나, 그다지 큰 프로그램이 아닐 때는 별로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자주
사용되는 서브루틴을 프로그램의 앞부분에(즉 문장번호가 낮은 것으로 작성되도록) 위치하는 경우를 위해 (그림5)에 그 방법을 제시하였다. 출력결과는 (그림3)과 똑같다. 단지 기억위치만 다를 뿐이다.(그림5) ... ...
한국 동력자원 연구소 구자학 박사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에너지산업이
자주
입에 오르내리고 있으나 아직 기술적으로나 경제성에서 볼때 석유, 석탄등 화석자원을 대체시킬만한 것은 나오지 못하고 있다.특히 석탄은 난방취사용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아직도 서민가정의 가장 주요한 에너지원이다. 그런데 매장량이 30년후면 바닥이 난다거나 매년 깊이 ... ...
하이테크 변호사수요급증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소송을 해도 종래의 산업기술과 달리 명료한 스파이행위로 볼 수 없다는 판결이
자주
나와 피해를 보고있다는 것.이것은 첨단기술은 그 내용이 일반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고 변호사들도 개념파악을 잘못해 판사를 설득시킬 능력이 모자라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라는 것이다 ... ...
디지탈 신호란 어떤 것인가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컴퓨터를 연결하는 데이타통신 및 종합정보통신망을 설명하고 마지막으로 요사이
자주
매스컴에 등장하는 디지탈TV, 디지탈오디오, 디지탈전화 등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겠다.연속성과 불연속성일상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모든 신호(signal)는 크게 아날로그(analogue) 신호와 디지탈(digital)신호로 ... ...
TDX사업단장 서정욱 박사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누구라도 고개를 끄덕이는데 전화교환기 기술이 뭐 그리 대단한 기술이냐는 질문을
자주
받죠. 쉬운 예를 하나 듭시다. 이전의 항공기는 직접 조종사가 운전을 했는데 이제는 조종사는 기계(컴퓨터)의 작동만을 감시하면 됩니다. 즉 컴퓨터기술의 응용이지요. 마찬가지로 사람이 하나하나 선을 ... ...
이전
330
331
332
333
334
335
336
337
3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