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인터뷰] 말랑말랑한 공룡알도 있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나는 7100만 년 전 백악기 후기 시대로 시간 여행을 온 과학마녀 일리야. 이곳은 몽골 고비사막, 프로토케라톱스 알의 부화 현장이지.앗! 그런데 이 공룡 알이 말랑말랑해! 공룡 알은 원래 딱딱한 것 아니었어? 자기소개를 부탁해.반가워. 나는 ‘프로토케라톱스’야. 각룡(뿔공룡) 중 하나로 이름이 ... ...
- [기획] 2장. 키블 저울, 어떻게 질량을 측정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원기를 위로 당겨요. 코일에 전류를 흘려주면, 자석이 만드는 자기장의 영향으로 코일이 위 방향의 전자기력을 받아요. 이 전자기력은 전류의 세기에 따라 크기가 변하는데, 실험하는 사람이 전류의 세기를 조절하며 중력과 전자기력의 균형을 맞춘답니다! ▲ PDF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 [현장취재] 박쥐 탐사대, 도시 박쥐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위해선 박쥐를 오랜 기간 관찰하고 공부해야 하거든요. 또 틈틈이 성취감을 느낄 수 있는 일들을 찾아보는 것도 좋아요. 저는 제 지식을 여러 사람들에게 알려줄 때에 보람을 느껴요. 이를 통해 나에게 잘하고 있다고 다독여주고, 더 나아갈 수 있는 원동력을 가질 수 있거든요. 친구들도 성취감을 ... ...
- [한 장의 과학] 우리가 엑스선을 볼 수 있다면 우주의 모습은 어땠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이는 지난 60년간 인류가 발견한 것보다 2배 많은 수예요. 또 이번 지도는 30년 전 독일항공우주센터(DLR)의 위성이 제작한 엑스선 우주 지도보다 4배 먼 우주까지 담았지요.사진 속에서 빛나는 천체 대부분은 외부 은하 중심에 있는 초대질량블랙홀이에요. 초대질량블랙홀은 질량이 태양의 수십만 ... ...
- [이달의 과학사] 마시 vs 코프 세기의 ‘화석 전쟁’, 승자는 누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오스니얼 찰스 마시는 1831년 10월 29일, 에드워드 드링커 코프는 1840년 7월 28일에 태어난 미국의 고생물학자입니다. 둘 다 물려받은 재산으로 화석 발굴을 시작했지요. 서부개척시대였던 19세기 중반, 둘은 미국의 드넓은 사막에서 화석 찾기에 몰두했습니다.처음 만났을 때만 해도 그리 나쁘지는 ... ...
- [지구사랑탐사대] 코로나19에도 새는 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연구소에서 진행됐어요. 꾸룩새 연구소는 정 연구원이 초등학교 때부터 기록한 연구 일지는 물론, 제비와 다양한 새들을 위한 연못과 인공둥지, 곤충호텔 등이 마련된 곳이에요. 현장교육이 시작되자 정 연구원은 꾸룩새 연구소 이웃집으로 대원들을 이끌었어요. 정다미 연구원은 “이 집은 벌써 ... ...
- [과학뉴스] 거미줄처럼 쓰레기 잡는 청소 위성!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월 16일, 러시아의 스타트업 스타트로켓은 올해 12월 ‘폼 데브리스 캐처’로 우주 쓰레기를 치울 계획이라고 발표했어요. ‘폼 데브리스 캐처’는 끈적한 물질을 발사해 거미줄처럼 쓰레기를 잡아 이를 지구 대기권으로 던져요. 그러면 쓰레기는 대기권을 통과하며 불에 타 사라지지요 ... ...
- [과학뉴스] 알록달록 친환경 태양전지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곧, 다양한 색을 내는 태양전지로 건물을 꾸미고 에너지도 얻을 수 있게 될 거예요. 지난 25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다양한 색을 내는 ‘CIGS 태양전지’ ... 책임연구원은 “이 태양전지는 구부리거나 접을 수 있어 자동차나 휴대용 기기 등 다양하게 쓰일 수 있다”고 말했답니다 ... ...
- 세상에서 가장 정확한 1kg에 도오전! 키블저울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키블 저울’! 왜 연구원들은 이렇게 크고 정밀한 저울을 만든 걸까요? 지난 6월 22일, 세상에서 가장 정확한 1kg을 찾으러 이창욱 기자가 대전을 다녀왔습니다!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세상에서 가장 정확한 1kg에 도오전! 키블저울Part1. [기획] 1장. 초정밀 ‘키블 저울’ 찾아 지하로 ... ...
- [헷갈린 과학] 잎과 줄기로 구분해! 무궁화 vs 부용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해 질 무렵 생을 다하며 떨어지는 거예요. 하루에 약 20~50여 개의 꽃이 약 100일간 매일 피고 지니까 한 해 여름동안 한 그루의 나무에서 2000~5000여 개의 꽃이 핀다고 할 수 있어요.대표적인 무궁화 홑꽃은 지름이 6~10cm이고, 5개의 꽃잎으로 이뤄져 있어요. 가지는 회백색이며 털이 없는 것이 ... ...
이전3303313323333343353363373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