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협회
공학
연구실
대학
학회
사회정책연구소
사회
d라이브러리
"
연구소
"(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 몸의 칼슘 설명하는 새로운 초신성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점차 어두워지는 현상인데, 이 폭발에 관여한 별이 초신성이다.이스라엘 바이츠만
연구소
, 캐나다 토론토대,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등이 참여한 국제공동연구팀이 5년 전 외부은하 NGC1032에서 발견된 초신성 ‘SN2005E’가 새로운 종류임을 알아냈다고 ‘네이처’ 5월 20일자에 발표했다.2005년 ... ...
첨단 바이오 자원으로 거듭나는 대나무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놀라운 성장능력은 환경에도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
연구소
가 지난 3년간 전국 150개 조림지에서 6개 수종을 대상으로 이산화탄소 흡수력을 조사한 결과 대나무는 소나무보다 이산화탄소를 3.8배나 많이흡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를 주도한 권수덕 박사는 ... ...
개인게놈 시대 미리 맛보기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싶다고 하자 피어슨 소장은 “여긴 장비가 한 대도 없다”며 “해독은 중국의 베이징게놈
연구소
(BGI)에 맡긴다”는 뜻밖의 대답을 했다. 놈은 BGI가 해독한 데이터를 받아 전체 서열을 맞추고 이를 분석해 질병예측정보 등을 추출하는 일을 한다는 것. 피어슨 소장은 “이곳의 직원은 12명인데 대부분 ... ...
1971년 마샤 맥클린톡의 월경 동기화 현상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끌어들인 비밀을 밝히려고 이런저런 실험을 하지만 결국 실패했다.독일 막스플랑크
연구소
페터 칼손 박사와 독일 베른대 마틴 뤼셔 교수는 1959년 ‘네이처’에 발표한 짤막한 논문에서 ‘페로몬(pheromone)’이라는 신조어를 소개했다. 페로몬은 ‘옮기다’라는 뜻의 그리스어 ‘pherein’과 ... ...
펠리노의 정체를 찾아서~ 안데스 잉카 문명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내려와 잉카의 옛 수도 쿠스코 근처에 갔어요. ‘모라이(오른쪽)’는 잉카의 농경
연구소
라고 할 수 있는 곳으로, 꼭 UFO 착륙장 처럼 신기하게 생겼어요. 여기에서는 농작물을 몇 년에 한 번씩 위층으로 옮겨 키웠어요. 사람이 사는 높은 산 위에서 식물이 적응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였지요. 식물이 ... ...
작전명령 ④ 더 빠르고, 더 정확하게!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했어. 1943년 노이만은 원자폭탄을 개발하기 위해 과학자들이 모인 로스 알라모스 과학
연구소
의 자문위원이 됐어. 미국과 일본의 태평양 전쟁이 일어난 1945년 일본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엄청난 원자폭탄이 떨어졌는데 바로 ‘폰 노이만’이 연구했던 폭탄이야. 폰 노이만은 핵융합과 관련된 ... ...
거꾸로 오르는 경사로가 있다? 없다!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지난 5월 10일 미국에서 열린 ‘2010 세계 최고 착시현상 콘테스트’에서 일본 메이지
연구소
의 코키치 수지하라 교수는 거꾸로 오르는 경사로 조형물을 선보여 1위를 차지했습니다.이 조형물은 공이 사방의 경사로를 따라 자석에 이끌리듯 거꾸로 올라가는 것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실제로 모든 ... ...
사람은 죽어서 ‘불멸의 업적’을 남긴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말한다. 달팽이 연구가로 유명한 권오길 강원대 생물학과 명예교수와 이인식 과학문화
연구소
장을 비롯한 22인이 생각하는 과학의 의미와 과학자가 되는 법, 과학으로 세상을 읽는 방법을 담았다.동고비와 함께한 80일김성호 지음 | 지성사 | 288쪽 | 2만 8000원딱따구리 둥지에 동고비 가족이 ... ...
생명정보학, 게놈 데이터 더미에서 보석 캔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국가적으로 이런 생명정보학의 중요성을 일찍부터 알고 지원해왔다. 그 결과 베이징게놈
연구소
(BGI)에만 400명의 생명정보학 연구자가 일하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 전체 생명정보학 연구자보다 많은 수다.생명정보학은 근본적으로 생명을 정보처리 현상으로 이해한다. 따라서 게놈도 ... ...
네안데르탈인 후예 지금도 살아 있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4% 정도는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자를 물려받았을 것이라고 추정했다.이에 대해 막스플랑크
연구소
리처드 그린 박사는 “네안데르탈인과 그 지역에 살던 현생인류가 짝짓기를 했으며, 이는 현생인류의 후손이 8만~5만 년 전 아프리카를 떠나 아시아로 이동했다는 직접적 증거”라고 설명했다 ... ...
이전
330
331
332
333
334
335
336
337
3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