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것"(으)로 총 10,402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수학의 실체와 예술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예술가의 눈으로 본 수학의 모습은 어떨까? 고대 그리스와 르네상스를 거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어쩌면 예술가의 수만큼 많았는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런 가운데서도 수학과 예술은 함께 발전해 왔다.사고의 시작, 공리 최근 영국 옥스퍼드대 수학과 로비에 조각을 설치했다 ... ...
- [체험] 크리스마스 장식볼 만들기 별모양 다면체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아밀리 : 선배, 크리스마스가 코앞이에요. 우리 동아리방에도 크리스마스 트리 하나 놓아요.폴 : 역시! 나랑 아밀리는 뭔가 통한다니까. 안 그래도 내가 나무를 구해 왔거든.앤드류 : 그러면 별모양 다면체를 만들어서 장식해 보자. 이참에 ‘별모양화’에 대해서도 알아 보고!반짝이는 별을 닮은 ... ...
- [hot science] 콘돔, 부끄럽지 않아요!과학동아 l2014년 12호
- 기자가 찾은 곳은 국내 최대 콘돔 생산 기업 ‘유니더스’사의 공장이었다. 12월 1일 세계 에이즈의 날을 맞아, ‘초박형콘돔’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묻기 위해서였다.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 빌 게이츠가 후천성면역결핍증후군(에이즈·AIDS) 예방 등을 위해 추진 중인 차세대 초박형콘돔 개발 사 ... ...
- [hot science] 동물은 왜 수컷이 더 클까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종의 기원’으로 유명한 찰스 다윈은 수컷이 암컷보다 훨씬 더 큰 이유를 수컷끼리의 경쟁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러한 ‘짝짓기 경쟁’ 가설은 20세기 후반에 성선택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윤곽이 잡히기 시작했다. 한 예로 스웨덴 스톡홀름대 패트릭 린덴포스 교수팀이 2007년 포유류 1370종을 조 ... ...
- [fun] “알고리듬이 위험하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직장인 A씨는 SNS에 접속할 때마다 눈살이 찌푸려진다. 대학에 다니던 시절 사귀었던 전 남자친구 사진이 자꾸 ‘알 수도 있는 친구’에 뜨기 때문. SNS 알고리듬이 A씨와 그 사이의 친구 관계를 분석해 연결을 시도하는 것이다. 현실의 인간관계를 컴퓨터 속 알고리듬이 규정하는 셈이다. 흔히 사람들 ... ...
- 월드컵 유니폼의 충격 고백 “전 플라스틱 조각이었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안녕하세요. 전 2014 월드컵 대한민국 대표 유니폼이에요. 가볍고 바람도 잘 통하고 땀도 쑥쑥 흡수해 올 여름 태극전사들의 승리를 뒷받침할 똑똑한 아이지요. 응? 뭐라고요? 제 정체가 사실은 ‘플라스틱’ 아니냐고요? 그래요. 전 사실 여러분의 냉장고 안에 있는 ‘페트병’에서 태어났답니다. ... ...
- PART 2 블랙홀 속 수학여행수학동아 l2014년 12호
- 흔히 블랙홀이라고 하면 천문학자와 물리학자가 먼저 떠오른다. 하지만 화려한 스포트라이트 뒤편에는 보이지 않는 사람들이 있는 것처럼, 블랙홀 이론의 괄목할만한 발전 뒤편에는 묵묵히 제 할일을 했던 수학이 있다.#1 얼마나 압축하면 블랙홀 될까?야구를 좋아하는 태하는 주말을 맞아 아버지 ... ...
- [knowledge] 지도를 4가지 색만으로 칠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12호
- 2008년 개봉한 일본 영화 ‘용의자 X의 헌신’은, 인간 심리를 섬세하고 생생하게 표현해 내는 추리소설 작가 히가시노 게이고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다. 사건이 미궁에 빠지자, 담당 형사 우츠미는 ‘괴짜 갈릴레오’라는 별명을 가진 천재 물리학자 유카와 교수에게 도움을 청한다. 그는 사건을 추 ... ...
- PART4. 핵융합 실현 기술과학동아 l2014년 12호
- 500테라와트(TW). 미국 전역에서 사용하는 순간 전력량의 무려 1000배에 이르는 에너지다. 이 막대한 에너지가 새끼 손톱만한 한 점에 집중된다. 지구에서 가장 강력한 레이저에 실린 채로다. 화력이 집중되는 지점에 놓인 작은 금속 원통 용기 안에서는 지구에서는 볼 수 없는 물리현상이 나타난다. 벽 ... ...
- [과학뉴스] 화력발전소 부근, 건강 괜찮을까과학동아 l2014년 12호
- 화력발전소 주변에 사는 주민의 건강 상태를 점검한 연구 결과가 나왔다. 소변 중 비소 농도 등 일부 오염물 수치가 주변보다 높게 측정됐지만, 정말 발전소가 악영향을 미쳤는지 여부는 아직 논란 중이다. 노상철 단국대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교수는 2013년과 2014년, 충남에 있는 네 곳의 화력발전소( ... ...
이전3303313323333343353363373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