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능
힘
역량
재간
자격
기능
기술
d라이브러리
"
능력
"(으)로 총 5,761건 검색되었습니다.
하늘의 모든 것에 도전한다 EADS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한 대가 떠오른다. 유로콥터가 자랑하는 2인승 전투 헬기 ‘타이거’다. 전천후 야간비행
능력
을 갖추고 있고 대전차 미사일, 공대공 미사일, 로켓포를 장착할 수 있는 게 장점이다.유로콥터 파트릭 부로 부사장은 “타이거는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첨단 헬기”라고 설명했다. 소프트웨어를 ... ...
헤르츠의 전파검출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교수가 됐다. 헤르츠는 매우 겸손한 인품을 지녔고, 실험이나 이론에 모두 능한 드문
능력
을 보인 물리학자였기 때문에 그의 스승인 헬름홀츠는 헤르츠를 특별히 아꼈다. 그러나 헤르츠는 1894년 만성 패혈증으로 37세의 젊은 나이에 요절했다 ... ...
앙코르 공연 - 줄기세포의 꿈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바뀔 수 있다고 알려졌다. 가톨릭대 오일환 교수는 “성체줄기세포는 종류에 따라 분화
능력
이 천차만별”이라며 “골수에 있는 조혈줄기세포도 분화된 정도나 분화될 가능성에 따라 장군급, 대령급, 중위급, 사병급 등으로 나눌 수 있다”고 설명한다. ‘계급’이 높을수록 혈액뿐 아니라 피부, ... ...
우주에 아리랑 보낸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21세기는 우주 시대라고 할 만큼 우주에서 영역경쟁이 매우 치열하다. 그만큼 위성개발
능력
을 지속적으로 확장하고 발전시켜서 다른 나라보다 먼저 우주로 진출해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2005년은 우주 원년한국이 위성 개발에 본격적으로 착수한 것은 불과 10여년 밖에 되지 않았다. 하지만 짧은 ... ...
황우석 교수 맞춤형 줄기세포 시대 열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대장의 일부인 결장으로 각각 분화하는 것까지 확인했다. 줄기세포의 ‘만능’ 분화
능력
이 증명된 것.지난해 연구에서는 실제로 복제가 이뤄지지 않았을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했다. 동일한 여성의 난자와 체세포로 배아복제를 시도했기 때문에 난자 혼자 스스로 분화해 배아로 자라는 ... ...
02. 플래시 터뜨리는 황의 법칙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하나의 칩에 집적했다. 데이터 읽기 속도가 빠른 노어 플래시메모리의 장점과 저장
능력
이 뛰어난 낸드 플래시의 장점을 모두 갖췄다. 그렇다면 황의 법칙은 앞으로 얼마나 계속될까? 플래시메모리에만 국한 시키면 분명 한계가 있다. 플래시메모리의 ‘원죄’다. 플래시메모리는 기술적으로 일면 ... ...
스파이더맨은 유리벽을 탈 수 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6호
기능을 할 수 없는 거죠. 스파이더맨 역시 유리벽을 타긴 힘들 거예요. 만약에 도마뱀의
능력
을 가진 ‘리저드맨’이 있다면 그는 유리벽도 탈 수 있을 거예요. 도마뱀의 발바닥은 유리벽에 붙을 수 있을 정도의 접착력을 가진 미세한 털들이 달려 있거든요. 그 발바닥 덕분에 도마뱀은 현존하는 지상 ... ...
03. 빠른 비트에 몸을 맡겨라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8비트가 된 것은 4차선 고속도로가 32차선이 된 격이다. 한꺼번에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능력
이 8배 늘어난 것. 빨라진 건 트랜지스터 덕분그런데 집적도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했다. 이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동작 속도와 관계가 있다. 4004는 동작 주파수가 약 0.1MHz였던 반면 펜티엄4는 3GHz 이상 돼 ... ...
VHS vs 베타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시작한 소니와 달리 JVC는 자체 생산에 주력하기보다 녹화기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능력
을 가진 마쓰시타에게 자신의 기술을 제공하고 마쓰시타 이름으로 VHS 녹화기를 생산하도록 했다.마쓰시타가 지닌 대량 생산 기술력에 힘입어 JVC는 VHS 녹화기를 소니의 베타맥스보다 싼 가격으로 시장에 ... ...
물리학이 밝힌 신경세포 경쟁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물리학 이론을 이용한 방법은 뇌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자세히 설명하고 학습이나 인지
능력
을 연구하는데 계속 확대될 수 있을 것이다.다체론 (Many-body theory) 상호작용하는 수많은 입자들이 모인 시스템을 다루는 물리학 이론. 입자가 많으면 단일 입자와는 다른 새로운 현상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 ...
이전
330
331
332
333
334
335
336
337
3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