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내"(으)로 총 10,295건 검색되었습니다.
- 새로운 우주여행이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할 과제가 있어요. 바로 케이블에 운석이나 소행성이 부딪히는 사고를 막는 방법을 찾아내야 하지요. 지구와 충돌할 위험이 있는 소행성만 해도 2000개 이상이거든요. 따라서 충돌 사고를 막는 기술이 우선 개발돼야 우주 엘리베이터를 설치할 수 있답니다.엘리베이터를 타고 우주로 여행을 갈 수 ... ...
- 거꾸로 푸는 역문제수학동아 l2016년 04호
- 문제도 역문제다. 중력파를 분석해 그것을 발생시킨 천체가 무엇인지 거꾸로 알아내는 것이다. 만약 초기 우주가 탄생할 때 발생했던 중력파를 검출할 수 있다면, 이를 분석해 초기 우주 탄생의 비밀을 알아낼 수도 있다.중력파는 오른쪽 그래프처럼 ‘파형’으로 관측된다. 시간에 따라 시공간이 ... ...
- [소프트웨어] 응답하라, 1996! 20년간 사랑받은 명품 게임 바람의 나라수학동아 l2016년 04호
- 게임 개발자가 된 것도 있습니다. ‘게임을 잘 못할 바에는 내가 직접 만들자. 그리고 내가 잘 할 수 있는 게임을 만들자’고 생각했지요. 그런데 신기하게도 제가 개발한 게임도 잘 못합니다. 하하.Q 게임 개발자가 되는 데 가장 중요한 소양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정상원 게임 개발자에게 가장 ... ...
- [수학동아클리닉] 제주 올레에서 만나는 수학이야기수학동아 l2016년 04호
- 더 정확한 값을 구하기 위해 모둠원 각자가 구한 3반과 10반 사이의 거리를 평균 내 봤습니다. 이 값은 두 학급 사이의 거리를 줄자로 잰 실제 거리와 큰 차이가 없어 모두 깜짝 놀랐습니다. 이 결과에 대해 모둠원들은 보폭과 속력을 여러 번 재서 계산했기 때문이라고 추측했습니다. 여러 번 시도해야 ... ...
- Part 1. 알파고가 우리에게 남긴 것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인공지능이 처음부터 독자적으로 쌓아 올린 생각이 아니라, 기본적으로 인간을 흉내 낸 기술이기 때문에 아직은 그것을 뛰어넘는 창의성에는 약점을 보일 것이다. 만약 인간에게서 완전히 벗어난 새로운 학습법이 등장한다면 이마저도 무용지물이 되겠지만, 아직까지는 우리 인간에게 할 일이 ... ...
- [News & Issue] 2020년, 암흑물질 잡는 특별한 망원경이 온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가능한 자료로 설정하면, 컴퓨터가 연구자들이 관심을 가질 만한 천체 현상만을 찾아내는 식이다. 데이터를 처리하고 서비스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데 구글도 참여하고 있다. LSST는 현재 ‘LSST 코퍼레이션’이라는 비영리 회사를 통해 운영되고 있다. 미국 스탠퍼드대, 프랑스 IN2P3 등 전세계 22개 ... ...
- Part 3. 판타스틱 플라스마 월드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가속기의 원리와 동일하다. 가스형 원료를 플라스마 상태로 만든 뒤, 양이온을 걸러내 불꽃처럼 뿜어낸다. 우주에 액체, 고체 연료를 무겁게 싣고 올라갈 필요가 없다. 이온의 운동에너지가 크기 때문에 밀도를 적절히 높이면 무중력 상태에서는 충분한 추진력을 낼 수 있다. 현재는 인공위성 등이 ... ...
- [Tech & Fun] 내 몸을 이루는 미생물에 관심을 가져보세요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아이디어를 떠올리도록 독려한다.이 두 권의 책을 읽는다고 해서 모든 현대 과학의 내용을 알거나, 갑자기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낼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분명 작은 씨앗 같은 생각의 단초는 얻을 수 있을 거라고 본다. ‘교토대 과학수업’을 쓴 우에스기 모토나리 교수가 말했다. 강의는 ... ...
- 과학수사대 ‘능력자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소리를 내고 바나나를 보상으로 줘요. 그러다 점점 이 냄새가 나는 곳을 찾아내면 소리를 내고 바나나를 주는 식으로 학습시키지요.아포포에서는 살모넬라균 감염자를 찾거나 붕괴 현장에서 피해자를 찾는 등 앞으로 더 다양한 분야에 영웅쥐들을 활용할 예정이랍니다. “어머! 네가 우리 뽀삐를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무시무시한 죽음의 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바람과 차가운 기운에 노출됐을 때, 피부로부터 열을 빼앗기며 느끼는 추운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예요. 체감온도는 단순히 기온의 높고 낮음에 따라 정해지는 건 아니에요. 기온뿐만 아니라 바람이나 습도, 햇빛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이런 요소들을 고려해 계산하지요.일반적으로 체감온도는 ... ...
이전3303313323333343353363373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