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합
통합
종합
혼합
조합
교류
융해
뉴스
"
융합
"(으)로 총 3,798건 검색되었습니다.
법대생이 프로그래밍도 척척… 대학에 부는 ‘
융합
’ 열풍
2015.11.27
트렌드에 걸맞은 소양을 갖춘 리더급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 목적”이라며 “산업현장의
융합
화를 선도해 나갈 핵심 인재를 양성하는 만큼 향후 많은 일자리 창출도 이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 ...
[R&D 혁신 현장을 가다 ②] 기업 지원군 자처하는 국가 연구소
2015.11.27
든든한 지원군 역할을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윤석진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융합
연구본부장은 “앞으로 기업에 필요한 기술 개발을 위한 맞춤형 연구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정부 출연연구소와 기업이 서로 머리를 맞대는 자리를 자주 만들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 첫 시도로 26일 ... ...
인공 태양 프로젝트 ITER, 한국 과학자가 이끈다
2015.11.27
KSTAR에서 실무 책임을 맡았던 초전도 전문가다. 오영국 KSTAR연구센터 부센터장은 “핵
융합
장치는 한 치의 오차라도 발생하면 실패하는 정밀한 첨단 장치인 만큼 KSTAR를 성공시킨 한국의 기술력이 주목받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18일 프랑스에서 열린 ITER 이사회에서는 남궁원 포스텍 ... ...
‘국민 게놈 프로젝트’ 울산서 막 올라
2015.11.26
정보를 확보하는 차원에서도 의미가 있다”며 “한국의 강점인 정보통신기술(ICT)과
융합
한다면 바이오의료 산업이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확고히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울산 만 명 게놈 프로젝트(Genome Korea in Ulsan) 흐름도 - UNIST 제공 ... ...
출연연 공동연구 프로젝트 ‘미래선도
융합
연구단’ 출범
2015.11.25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주관의 ‘한반도
융합
형 광물자원 기술개발
융합
연구단’도 선정됐다. 자원고갈에 대비해 한반도 광물자원을 탐사하고 이들 자원을 소재화 하는데 필요한 제련 기술 등도 추가로 연구하게 된다.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측은 이번 과제 선정을 위해 5월 제4차 ... ...
전기 만드는 기특한 바이러스를 아시나요
2015.11.25
6배까지 끌어올리는 데 성공했다. 오진우 부산대 나노에너지공학과 교수와 황윤회 나노
융합
기술학과 교수팀은 전기를 만드는 바이러스인 ‘M13 박테리오파지’를 수직으로 쌓는 방법을 개발해 발전 효율을 6배 높였다고 25일 밝혔다. M13 박테리오파지는 표면 단백질의 양 끝단이 각각 양극(+)과 음극 ... ...
KT, 신생아 발달장애 유전자검사 프로그램 개발
동아일보
l
2015.11.24
있다. 노벨가드는 정보통신기술(ICT)과 빅데이터 역량을 바탕으로 염기서열 분석 기술을
융합
해 총 50여 종의 발달장애 유전질환을 조기 발견할 수 있도록 했다. 3억5000개의 국내외 유전체 분석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신뢰도도 높였다. 이번 프로그램 개발은 KT가 2012년부터 이어오고 있는 바이오 ... ...
‘구글 글래스’ 끼고 심장수술 성공
2015.11.22
수술을 진행했다. 연구팀은 가상현실 장비에 바르샤바대 수리과학 및 컴퓨터 모델링 학문
융합
센터가 개발한 모바일 음성 인식 시스템과 이미지 확대 기능, 캡처 기능 등을 추가로 적용했다. 덕분에 수술 중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3D 이미지를 확대하거나 돌려 보면서 숨겨져 있던 혈관의 모습과 수술 ... ...
나이 들면 생기는 당뇨, 비만 때문이 아니라오
2015.11.19
인한 당뇨의 원인을 밝혀냈다. 서재명 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와 황성순 세종대 바이오
융합
공학과 교수가 참여한 미국 솔크연구소 연구팀은 생쥐를 대상으로 한 실험을 통해 나이가 들어 발생하는 당뇨의 원인을 찾았다고 ‘네이처’ 18일 자에 발표했다. 지금까지 노화로 생기는 당뇨는 ... ...
백색왜성을 감싼 ‘고리 띠’ 베일 벗었다
2015.11.11
처음으로 성공했다고 11일 밝혔다. ‘죽은 별’이라고도 불리는 백색왜성은 핵
융합
반응을 끝내고 남은 열로 빛을 내고 있는 청백색 별이다. 백색왜성을 둘러싼 파편 고리가 존재한다는 사실은 이미 20여 년 전에 밝혀졌지만 눈으로 볼 수 있는 이미지를 얻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팀은 2 ... ...
이전
329
330
331
332
333
334
335
336
3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