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운
능력
역량
권력
정력
에너지
기력
d라이브러리
"
힘
"(으)로 총 6,29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암호의 세대교체!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분의 1로 매우 낮아. 하지만 군인이나 노동자들은 지문이 닳아 없어져 지문을 인식하기
힘
든 경우도 있어. 이를 보안한 방법이 홍채 인식 시스템과 손 혈관 인식 시스템이야. 홍채 인식 시스템은 사람의 눈에 있는 홍채에 형성되는 무늬로 사람의 정보를 인식해. 홍채무늬는 일란성쌍둥이조차 ... ...
아름다운 무한반복 프랙탈 아트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정도, 구도 등을 다양하게 변화시킨다. 이미지는 마우스를 클릭하거나 드래그하는
힘
에 따라 끊임없이 달라진다. 결국 작가의 오늘 기분이 어떤지에 따라 그의 작품은 무한하게 변신하는 셈이다.가을 부르는 프랙탈의 손짓단순함이 반복해 복잡함을 이루는 아름다움, 프랙탈 아트. 우리 주변에 있는 ... ...
어린왕자가 다녀간 대청도 '모래사막'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잔잔한 호수 위에 물결을 만듦과 동시에, 구슬땀을 흘리며 수천 년이 걸리는 모래작품에
힘
을 쏟는다. 언젠가 어린왕자가 다시 찾아올 날을 기다리면서 ... ...
보통 사람에 우주의 꿈 씨앗 뿌린 국제우주대회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말했다. 그러면서 “부모의 진짜 용기는 넘어진 아이를 일으켜 세우는 것보다 자신의
힘
으로 일어날 때까지 지켜보는 게 아닌가 한다”고 덧붙였다.한편 이날 대회에는 세계 각국이 추진 중인 우주개발 현황이 일목요연하게 전시된 부스 수십 개가 설치됐다. NASA는 물론 올해 자체 개발한 H-2B 로켓을 ... ...
바다에서 찾은 청정 에너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높이가 바뀌면서 바닷물이 수평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이용한답니다.태양과 달의
힘
을 이용한다…. 그렇다면 발전과정에서 이산화탄소가 나올 염려는 없겠네요.맞아요. 그래서 기대가 더 크답니다. 해양연구원에서는 한반도 연안에 100만KW 규모의 조류에너지가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어요. 약 44만 ... ...
아시아의 핫 아이콘 f(x)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9월에 데뷔한 것처럼 수학동아도 9월에 창간호가 나왔어요. 함께 시작한 수학동아에게도
힘
내라는 뜻에서 한 말씀 부탁드려요.-다같이: 새롭게 창간한 수학동아, 앞으로 어려운 수학이 아닌 재미있는 수학을 많이많이 소개해 주세요. 파이팅~!마지막으로 팬과 독자 여러분에게 하고 싶은 말을 남겨 ... ...
단백질 합성공장 리보솜 비밀 밝혀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을 가져와서 즐거운 주말을 보낸 기억을 떠올려보니 그 초대가
힘
든 미국생활에 큰
힘
이 되지 않았던가 생각된다. 특히 저택이 바다(아쉽게도 태평양이 아닌 대서양)를 접하고 있어 날씨 좋은 여름에는 수영도 하면서(해안에 해파리가 많아서 쏘이는 친구들도 있었지만) 가끔이나마 한가로운 시간을 ... ...
피지 사탕수수 기행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시럽 찌꺼기를 분리합니다.”원심분리기가 고속으로 돌아가면 물체가 바깥쪽으로
힘
을 받는데, 내벽에 미세한 구멍이 뚫려 있어 액체(시럽 찌꺼기)는 통과하고 설탕결정만 남는다. 원심분리가 끝나면 벽에 붙어 있는 결정을 긁어내고 뜨거운 물을 뿌려 표면에 묻은 시럽을 씻어낸 뒤 건조기로 보내 ... ...
열 나는 반도체, DNA로 해결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활용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황 교수는 덧붙였다.분업 시스템은 연구단의‘
힘
’창의연구단 지원을 받은 지 2년. 이 짧은 기간에 연구단이실리콘 나노와이어와 DNA 분자를 결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 원동력은 뭘까. 바로 분업화된 연구 시스템이다. 황 교수는 연구단을‘반도체 ... ...
미세한 텅스텐 바늘로 표면 훑어 원자 단위로 분석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초진공 켈빈프로브 현미경 시스템이다.주사탐침 현미경이 탐침 끝부분과 원자 사이의
힘
을 측정해 표면이 어떻게 생겼냐를 관찰하는 기기라면, 초진공 켈빈프로브 현미경 시스템은 탐침 끝부분과 원자 사이의 전위차를 측정해 원자가 가진 특성을 분석한다. 탐침은 주로 텅스텐이나 탄소나노튜브로 ... ...
이전
329
330
331
332
333
334
335
336
3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