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태양
손해
손상
햇빛
불리
훼손
상해
d라이브러리
"
해
"(으)로 총 13,047건 검색되었습니다.
[TECH]스마트폰 카메라 전쟁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AR 이모지’, 아이폰의 ‘미모지(Memoji)’ 기능처럼 자신을 닮은 아바타를 자동으로 생성
해
얼굴 표정을 추적하고 이모지로 활용하는 것도 NPU와 카메라 기능이 결합한 사례다. 촬영된 사진을 자동으로 분류하는 것도 가능하다. 김 교수는 “앞으로는 AI 프로세서가 스마트폰의 혁신을 이끌 ... ...
화학상 - 효소와 항체 생산의 진화를 이끌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작은 카드가 새삼 생각나는 날이었다. 그 카드에는 ‘할 수 있다고 믿었기에 결국
해
냈다’고 적혀 있다.조인하미국 웨슬리언대에서 물리학과 화학을 전공했다. 현재 캘리포니아 공대 프랜시스 아놀드 교슈의 연구실에서 생화학과 박사과정 연구원으로 재직 ... ...
국제우주정거장(ISS) 아찔했던 사고 5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우주비행사들은 모두 제어실에 있어 무사했으며, 이들은 미르에서 스펙터 모듈을 봉쇄
해
다른 모듈의 공기까지 새어 나가는 것을 막았다. 스펙터 모듈의 태양전지판은 우주정거장에 공급하는 전력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어서 이 사고 때문에 미르의 전력 공급에 차질을 빚게 됐다. 이후 수리를 ... ...
중국을 꿈꾸는 과학자들에게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분야 연구 개발에 참여했다. 상무로 퇴직한 뒤 연구자로서의 꿈을 펼치기 위
해
2016년 9월 중국으로 향했다. 현재 중국 칭화대 전자공학과 교수 및 인공지능센터 연구원으로 인공지능용 소자 연구를 하고 있다. hongsikjeong@tsinghua.edu ... ...
[서울대 공대 | 재학생 인터뷰] 다양성이 모여 다채롭게 빛나는 산업공학과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안 된다”고 말했 다. 수능이 얼마 남지 않았더라도 어렵고 안 되는 과목 위주로 공부
해
야 한 문제라도 더 맞힐 수 있다는 것이다. 황 씨는 일반고 재학생 에게 “내신 성적 관리가 기본이고 가장 중요 하다”고 덧붙였다 ... ...
Part 1. 참고래, 땅에서 꺼내던 날!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실제 모습을 느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기도
해
요. 우리가 참고래를 직접 보기 위
해
서는 배를 타고 먼 바다에 나가야 하는데, 그마저도 물을 내뿜는 일부 모습만 보는 정도거든요. 이경리 연구사는 “골격표본을 만들면 많은 사람들이 참고래의 실제 크기를 느낄 수 있고, 이렇게 큰 생물과 함께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국립백두대간 수목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지난 5월 3일, 경상북도 봉화군에 있는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이 문을 열었어요. 백두산호랑이 뿐만 아니라 인류 최후의 보루라 불리 ... 앞으로 수백만 점의 종자가 더 보관될 예정이지요. 이경수 친구는 “첨단 기술을 이용
해
종자를 보존한다는 사실이 신기했다”며 소감을 말했답니다 ... ...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사바나의 파수꾼 기린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아프리카에 사는 기린은 주변에 초식동물들이 가득
해
요. 기린이 파수꾼 역할을
해
주거든요. 기린은 키가 크고 시력이 좋아 4~7km나 떨어진 먼 거리의 포식자까지 알아볼 수 있어요. 그래서 기린이 달리기 시작하면 주변에 있는 초식동물도 앞뒤 가리지 않고 도망가지요 ... ...
[독자와 함께]퓨마 사살과 동물원 폐지 논란 9월 18일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보여주면 좋겠다”고 말했습니다. 김 과장도 “현재 한국의 동물원은 동물 복지를 위
해
나아가는 과도기에 있다”며 “모든 동물원이 함께 발맞춰 변화할 수 있도록 시민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응원이 필요하다”고 ... ...
도축은 이제 그만! 오늘 점심은 인공고기 햄버거?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찾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정 책임연구원은 또 “(모사 미트, 멤피스 미트 같은)
해
외 기업들은 현재 실험실 수준을 넘어 대량 생산에 조금 못 미치는 수준까지 도달했다”며 “이르면 2021년, 늦어도 2025년에는 시중에서 배양육을 만나볼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 ...
이전
329
330
331
332
333
334
335
336
3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