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신
자아
자체
도자기
도기
자기자신
본인
d라이브러리
"
자기
"(으)로 총 5,818건 검색되었습니다.
3주년 맞은 NASA의 화성탐사로봇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두 폐회로(閉回路)에서 한쪽 회로에 단위전류가 흐를 때 다른쪽 회로를 관통하는
자기
력선속의 양 상호유도계수라고도 한다색소를 보결원자단으로서 결합하고 있는 복합단백질 산화환원효소, 혈액 속의 산소 운반체 또는 광생화학반응의 매체로서 생체 내에서 중요한 구질을 한다유기색소(→물감 ... ...
PART2 암 발생 20년 전에 진단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세밀하게 검사해 암세포를 찾아낼 수 있을 전망이다. 양전자방출 단층촬영술(PET)과
자기
공명영상법(MRI)을 접목시켜 전신을 단면으로 세밀하게 찍으면 체내의 어느 부위든 재구성할 수 있다. 즉 컴퓨터에서 장기나 혈관을 누비듯이 3차원으로 구현할 수 있다. 마치 가상내시경으로 검사하는 듯한 ... ...
연이 끄는 화물선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알려진 이론의 기초를 확립하고 텐서의 개념을 정립했으며, 열역학(熱力學)과 전
자기
학(電磁氣學)이 수리적 전개도 시도했다주요 저서에《Lehrbuch der Kristallphysik》(1910)가 있다기체분자의 분포함수를 결정하는 기초방정식 1872년 L 볼츠만이 유도했다 기체 중에는 다수의 분자가 포함되어 있고 또 ... ...
우주정거장서 초파리 1000마리와 뒹군다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ISS 한쪽 창문에다 가로세로 10cm에 높이가 40cm인 반도체 망원경을 붙인다. 이따가
자기
전에 스위치를 올려놓으면, 이화여대 박일흥 교수가 개발한 이 망원경이 ‘고층번개’를 포착하게 된다. 고층번개는 보통 구름에서 땅으로 치는 일반 번개와 달리 구름에서 하늘로 올라간다. 반지름과 높이가 ... ...
가마와 벽화에 남은
자기
장의 흔적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핵이 없는 달에는
자기
장이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달에서 나침반은 무용지물이다.지구
자기
장이 시간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더 이상 정확한 위치를 나침반으로 찾기 어려워졌다. 최근에는 인공위성에 전파를 쏘아 위치를 알리면 인공위성 세 대가이 신호를 받아 분석한 뒤, 전파를 쏘아올린 곳의 ... ...
엄마, 아빠 미워!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대화의 특징 아이들은 대화를 나눌 때 다른 사람의 생각이나 느낌을 고려하지 않고
자기
중심적으로 생각하고 이야기합니다. 부모는 이런 아이들의 대화를 보고 이기적이라고 생각하기 쉽지요. 하지만 이것은 아이들 대화의 특징입니다. 아이들은 다른 사람이 자신과 다른 생각이나 의견을 가질 수 ... ...
놀이공원은 살아있다 .! 힘이 있으니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배나 비행기가방향을 잡지 못할 것이다. 무엇보다 지구의
자기
력이 막아 주던 태양의 높은 에너지 입자들이 그냥 지구에 쏟아져 들어와서 생물들이 살 수 없게 된다.마찰력이 사라진다면?마찰력이 조금 줄어들면 신나는 눈썰매를 탈 수 있지만 아예 없어지면 제대로 걸을 ... ...
러시아 스파이를 죽인 독극물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筋緊張) 등 자율신경계의 지배를 받는 생리활동이나 뇌파(腦波)는 큰 변화를 제외하고는
자기
의 의지로 강하게 혹은 약하게 하거나 멈추게 하는 등의 제어를 할 수 없는 불수의활동(不隨意活動)들이다 세균 · 곰팡이 · 바이러스 등 미생물을 취급할 때 생기는 감염재해(感梁災害) 생물재해라고도 ... ...
마빡이는 엄살?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평가한다. 최대심박수는 1분간 심장이 뛸 수 있는 가장 높은 수치의 심박수(220-
자기
나이)로 정해진다. 최대산소섭취량은 1분당 섭취할 수 있는 산소의 최대량을 몸무게로 나눈 값으로 성인 남자 평균이 44ml/kg·분이다.기자는 갈빡이, 얼빡이, 대빡이, 마빡이 동작을 각각 10분간 취하며 산소섭취량과 ... ...
목소리 바꾼 도시 박새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발생하는 저주파 소음과 쉽게 구별되기 때문에 새들이 도시에서 목소리로 짝을 찾거나
자기
영역을 알리기 쉽다.슬랩베쿰 교수는 “박새는 다른 새보다 다양한 진동수의 소리를 낼 수 있다”며 “이 능력은 소음이 많은 도시에서 살아남기 위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 ...
이전
329
330
331
332
333
334
335
336
3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