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치
비정상
전형
꿈
포부
미래상
희망
d라이브러리
"
이상
"(으)로 총 13,389건 검색되었습니다.
[비주얼 과학교과서] 뜻밖의 범인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7호
때문이라는 주장이 있어요.라니냐는 동태평양의 바닷물 온도가 평년보다 0.4℃
이상
낮아지는 현상으로 보통 엘니뇨 이후에 나타나요. 이번 라니냐 역시 슈퍼 엘니뇨가 끝난 후인 올해 5월에 발생했지요. 그런데 라니냐가 생기면 반대쪽에 있는 서태평양의 바닷물 온도는 반대로 올라가요. 이 때문에 ... ...
[과학뉴스] 해바라기는 동쪽만 바라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7호
많이 생겨 방향이 다시 동쪽으로 바뀌지요.하지만 다 자라서 꽃이 활짝 핀 해바라기는 더
이상
움직이지 않고 동쪽만을 향하고 있었어요. 연구팀은 그 이유가 최대한 많은 햇빛을 받아 꽃의 온도를 높이기 위해서라고 설명했어요. 꽃의 온도가 높으면 벌과 나비 같은 곤충들이 많이 찾아와 결국 ... ...
[출동! 섭섭박사] 스마트 램프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7호
수 있답니다.“다 만들었어요! 그런데 불이 안 켜져요.”몇몇 친구들이 만든 전기 회로는
이상
하게 제대로 불이 안 들어오거나 소리가 나지 않았어요. 무엇이 문제였을까요?대부분은 회로를 완전히 닫지 않았던 것이 문제였어요. 회로를 닫는다는 건 전류가 끊기지 않고 계속해서 흐르도록 만드는 걸 ... ...
Part 5. 상괭이 떼가 나타났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6호
하나로 지정될 예정이라는 소식입니다. 상괭이들에게 무슨 일이 생긴 건 아닌지, 이제 더
이상
상괭이를 볼 수 없는 건 아닌지 걱정하며 시작했던 방송의 끝에서 희망을 찾은 것 같습니다.이대로라면 이제 곧 저와 친구들도 바다에서 헤엄치는 상괭이를 만날 수 있지 않을까요? 그런 ... ...
Part 4. 상괭이를 지키는 사람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6호
바닷물이 들어오는 걸 막을 수 있게 됐죠. 하지만 여전히 밀물 때는 신곡 수중보보다 1m
이상
높게 물이 들어온답니다.상괭이 서포터즈들은 상괭이가 밀물 때 서해에서 강화도를 지나 실제를 한강으로 들어오는지 관찰해요. 또한 수십 년 동안 상괭이를 봐온 어민들을 찾아가 증언을 모으는 등 다양한 ... ...
[가상인터뷰] 파킨슨병을 물리칠 인공 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6호
느려지고, 근육이 떨리게 돼요. 심해지면 몸을 전혀 움직일 수 없게 된답니다. 50세
이상
어른 100명 중 한 명이 걸릴 정도로 많이 걸리는 병이지만, 아직까지 치료 방법이 나오지 않았지요.일리 : 파킨슨병은 정말 무서운 병이구나!인공 뇌 : 네. 맞아요. 과학자들은 중뇌를 연구해 파킨슨병을 ... ...
[퍼즐탐정 썰렁홈즈] 신발 디자이너 ‘ 샌드리나 스레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6호
대칭 무늬가 그려진 가죽으로 샌들을 만들겠다며 재료를 꺼내 오는데….“아, 뭔가
이상
해요! 전 완벽한 대칭 디자인을 원하는데 무늬가 지워져 버렸네요.이거 원래대로 그릴 수 있을까요 썰렁홈즈?”이제 마음에 드는 무늬가 그려진 가죽을 잘라서 샌들을 만들기만 하면 되는 상황. 하지만 왠일인지 ... ...
Part 3. 범인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6호
2015년까지 혼획되거나 그물에 걸렸다가 해안가로 떠밀려온 상괭이가 한해 평균 1000마리
이상
이었거든요.혼획은 특정 어류를 잡기 위해 친 그물에 엉뚱한 종이 걸리는 것을 뜻해요. 물고기를 잡을 때 쓰는 그물은 다른 어류보다 상괭이와 같은 고래류에게 더 위험해요. 그물에 갇혀 있는 동안에는 ... ...
Part 2. 0.0001초 차이까지 알아내는 비결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6호
1초에 24장의 이미지가 연속되면 자연스럽게 움직이는 것으로 인식하는데, 그보다 400배
이상
정교하게 볼 수 있는 거예요. 그 결과 0.0001초의 차이도 구별할 수 있답니다 ... ...
[가상인터뷰] 두 달 동안 쉬지 않고 훨훨~! 큰군함조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5호
초경량 위치추적장치를 달아 2년 동안 비행을 분석했어요. 그 결과, 하루에 약 400km
이상
비행을 하며 두 달 동안 땅을 한 번도 밟지 않고 비행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어요. 또한 여섯 달 동안 네 번만 쉬고 5만 6000km를 비행하기도 했답니다. 지구 한 바퀴의 둘레가 4만km니, 정말 대단한 비행 실력이죠 ... ...
이전
329
330
331
332
333
334
335
336
3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