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주"(으)로 총 6,895건 검색되었습니다.
- '거짓말 없는 세상' 에서 수 읽기수학동아 l2011년 04호
- 없는 것들이 많다. 그렇다고 모든 값에 근삿값을 아무렇게나 적용할수도 없다. 첨단우주항공 분야나 10억 분의 1의 정밀도를 요구하는 나노기술 분야인 경우에는 정확한참값을 모른다면 참값에 가장 가까운 근삿값을 사용해야 한다. 그러니 참값과 근삿값 중 하나를 선택한다면 그것은 선택의 문제가 ... ...
- Part 1. 지도, 어떻게 그리는 걸까?수학동아 l2011년 04호
- 가봤다. 중국, 인도를 지나 어느새 아프리카다. 지구본으로 세계를 둘러보니, 왠지 우주 공간에서 지구를 바라보는 것 같았지만 세상을 한눈에 보기에는 조금 부족하다. 아무래도 지도를 가져와야겠다.책꽂이에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세계지도가 꽂혀 있다. 문득 호기심이 생겨, 바닥에 나란히 ... ...
- Part2. 꿈의 기술? 아직 피지 못한 꽃?과학동아 l2011년 04호
- 미래의 에너지원으로 많은 이들이 기대하고 있는 핵융합 기술에도 초전도체가 쓰인다. 우주의 기원을 밝히는 유럽의 거대강입자충돌기(LHC)도 초전도체를 쓴다. 이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바로 강한 자기장을 이용하는 장치다.MRI는 환자를 강력한 자기장 안에 넣은 뒤 전자파를 쏘는 장치다. 이때 ... ...
- 내 별은 어디에 있을까과학동아 l2011년 04호
- 6992/6995/6960)’지난해 10월 9일 강원 홍천군에서 촬영한 면사포성운(Veil Nebula)의 모습이다. 우주에 사는 거대한 뱀처럼 보인다.] [일반 은상 | 이재림 ‘설산 위의 카시오페이아’지난해 10월 27일 네팔의 고라파니에서 촬영했다. 하늘에 가득한 별이 마치 함박눈처럼 내려 온 산을 하얗게 덮은 것 같다. ... ...
- 우주까지 반백 년, 그리고 우주에 다다른 지 반백 년…과학동아 l2011년 04호
- 그렇게 생각하니 내가 힘겹게 받은 회전의자 훈련이 좀 더 가치 있게 느껴진다. 우주인, Astronaut, Cosmonaut, Taikonaut….이름도 다양하고,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여러 나라에서 의미나 정의가 항상 논쟁거리가 된다. 하지만 매년 우주인협회 모임 때마다 느끼는 게 있다. 명칭 자체는 우주를 꿈꾸고 ...
- 가장 선명한 달 뒷면 사진과학동아 l2011년 04호
- 항상 지구를 바라보며 공전하고 있어 지구에서는 달은 항상 달의 앞면만 볼 수 있다. 우주탐사선 등이 달 뒷면의 사진을 찍은 적은 있지만 지금까지 공개됐던 사진은 대부분 해상도가 낮아 달의 정확한 뒷모습을 알기 어려웠다.NASA가 3월 11일 공개한 사진은 2009년 11월부터 2011년 2월까지 ... ...
- 서울에서 즐기는 과학나들이과학동아 l2011년 04호
- 싸움을 벌였던 역사의 현장이다. 광진청소년수련관에서 별을 보는 것은 어떨까. 3차원 우주영상과 별자리를 볼 수 있는 천체투영실 ‘별찬’, 60cm 대형망원경이 있는 원형돔 ‘별오름’이 있다. 몽촌토성은 백제 초기인 3세기경 만들어진 토성이다. 성 안에서 발굴된 항아리와 세발토기의 백제유물, ... ...
- 책 속에서 꿈을 찾아라과학동아 l2011년 04호
- 사회에 나와 일해야 할 때 그런 지식들이 꼭 필요할 거야.” 예를 들어, 우리나라 최초의 우주선을 디자인할 수도 있고, 실용로봇을 디자인할 수도 있다. 3D와 4D 영상, 홀로그램 등은 모두 수학을 기반으로 한 첨단 과학의 산물이다. 수학과 디자인을 동시에 전공할지, 디자인을 전공한 후에 MBA를 ... ...
- 광펌핑 세슘원자시계 KRISS-1과학동아 l2011년 04호
- 광시계는 미래에 광통신을 활용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태양계 바깥으로 나가는 우주선이나 차세대 광통신이 상용화되려면 세슘시계보다 더 정확한 시계가 꼭 필요하다.표준연 시간센터의 노력은 어디까지 계속될까. 이들이 만들어내는 정밀한 시간표준만큼 한국과학의 기틀도 튼튼히 ... ...
- 천체망원경 제작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11년 04호
- 최근에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란 책을 읽고 별과 행성, 그리고 우리가 살고 있는 우주에 대해 많은 관심이 생긴 터라 흔쾌히 참여했다. 천문대 안을 둘러본 후 밖으로 나와 여러 망원경으로 토성과 고리, 그리고 북극성 등을 관측했다. 도대체 얼마나 큰 배율의 망원경을 사용하기에 저 멀리 ... ...
이전3293303313323333343353363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