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수
계산
세기
회계기록
빚
d라이브러리
"
셈
"(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1. 대한민국 최고과학자의 몰락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12월 22일 검찰에 수사요청서를 제출했다. 이를 두고 “스스로 줄기세포는 없다고 고백한
셈
이 아니냐”는 시각도 나오고 있다.조사위는 2004년 논문도 검증을 진행 중이다. 김동욱 교수는 “줄기세포와 난자 제공자 체세포를 DNA지문검사, RT-PCR검사로 확인하면 된다”고 설명한다. 2004년 줄기세포는 ... ...
과학 대중화에 뛰어든 블랙홀 박사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나 자신을 채찍질했다”고 박 원장은 말했다. 이 책이 그의 인생에서 나침반 역할을 했던
셈
이다.천문학 향한 외길 수순그는 한국인 블랙홀 박사 1호다. 미국 오스틴 소재 텍사스대에서 시간에 따라 변하는 블랙홀 모델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블랙홀은 빛조차 꿀꺽 삼키는 특이한 천체다. 언제부턴가 ... ...
생명을 살리는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조류 인플루엔자(AI), 에이즈(AIDS), 간염, 홍역, 소아마비, 광견병. 모두 바이러스가 일으키는 질병이다. 해마다 수많은 생명을 빼앗아가는 원흉이자 라틴어 ... 유전자를 복제할 단백질도 없어 숙주에 기생하는 바이러스에서 단백질을 뽑아 쓰는
셈
이니 그야말로 ‘벼룩의 간을 내 먹기’다 ... ...
6. 아름다운 조선무 다리 예찬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겨드랑이에 이르는 광배근, 대원근이 상대적으로 내려 붙어 있어 인체 비례로 따지면 긴
셈
이 된다. 이런 구조는 위팔의 순발력에는 불리하지만 오히려 골프채를 휘두를 때 힘을 내는 데는 유리하다.손목은 가늘다. 골간과 골단의 굵기 차가 크지 않고 골단부가 크지 않아 손목과 발목이 가는 경우가 ... ...
4. 진실DNA를 캐낸 숨은 주역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인터넷을 비롯한 정보기술(IT)이 순기능을 할 지 역기능을 할 지는 결국 이용자들의 몫인
셈
이다.김상욱 교수는 “미국국립보건원(NIH)나 미국연방식약청(FDA) 등 해외의 연구비집행기관의 웹사이트에는 지위고하를 불문하고 자유롭게 논문에 대해 교류하고 비판할 수 있는 토론의 장이 마련돼 ... ...
아바타 학교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3호
설레기까지 해. 너랑 많은 얘기를 하고 싶어.나에게는 한꺼번에 두 명의 친구가 생긴
셈
이야. 진짜 다영이랑 다영이 아바타. 두 명 모두와 친하게 지내고 싶어. 좀 쑥스럽긴 해. 항상 네가 먼저 손을 내밀었는데 내가 머뭇거리며 제대로 잡아 주지 않았잖아.나도 진진이처럼 진짜 장미꽃을 가져갈까 ... ...
만년의 빙원에서 꿈을 이룬 극지연구가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한국의 극지연구팀이 18년간 극지 연구에서 보여 온 열정이 비로소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셈
이다.극지 연구 과정에서 예상외의 수확도 얻었다. 1992년 1월 김 소장의 연구팀은 세종기지가 위치한 남극 주변 해저에서 국내 연간 천연가스 소비량의 300배에 달하는 가스수화물층을 발견했다. ... ...
디지털 지휘봉과 뮤지컬 재킷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지으려 하고 있다면 수동 입력 세션은 불도저로 불도저에 걸맞는 집을 짓고 있는
셈
이다. 알아서 줄어들고 차가워지고귀에 이어폰을 꽂고 음악을 크게 듣고 거리를 다니는 것은 귀에 나쁜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때로는 매우 위험하기까지 하다. 음악 소리가 커서 옆에서 경적을 울리며 달려오는 차 ... ...
세계를 자석으로 끌어당기는 기업인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받은 달러 가치가 올라 오히려 환차익이 늘어났습니다. 위기에서 성장의 발판을 마련한
셈
이죠.”현재 자화전자가 생산하는 PCM은 세계시장의 56%, PTC 서미스터는 국내시장의 85%를 차지한다. 허름한 기와 공장 건물은 어느새 중국과 말레이시아에 현지 공장을 둔 종업원 3천명의 중견기업으로 ... ...
나선이 지그재그를 만날 때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붙여 Z형을 만들었다. 불안정해 금방 변하기 쉬운 Z형을 ‘단백질 본드’로 고정시킨
셈
이다. 다른 쪽 DNA는 Z형을 만들지 못하는 염기서열로 만들어 자연스럽게 B형이 되게 했다. 즉 자연스럽게 B-Z 결합부위가 생기도록 DNA를 디자인한 것이다. 포항 방사광가속기와 일본 스프링8 방사광가속기를 ... ...
이전
329
330
331
332
333
334
335
336
3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