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수
계산
세기
회계기록
빚
d라이브러리
"
셈
"(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2. 한류 DNA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수치로만 따지자면 한국인은 유전적으로 0.00586% 만큼의 ‘한국인 유전자’를 갖고 있는
셈
이 된다. 혹시 이것이 ‘한류 DNA’가 아닐까?‘조선인은 일본인과 몽고인 중간 유형의 인종적 특징을 갖고 있다. 그래서 이들을 일본인이나 중국인 어느 쪽과 동일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1894년 경 영국의 ... ...
4. 진실DNA를 캐낸 숨은 주역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인터넷을 비롯한 정보기술(IT)이 순기능을 할 지 역기능을 할 지는 결국 이용자들의 몫인
셈
이다.김상욱 교수는 “미국국립보건원(NIH)나 미국연방식약청(FDA) 등 해외의 연구비집행기관의 웹사이트에는 지위고하를 불문하고 자유롭게 논문에 대해 교류하고 비판할 수 있는 토론의 장이 마련돼 ... ...
스트루베와 뉴컴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아니라 밝은 별빛이 망원경 렌즈 면에 부딪쳐 만들어낸 ‘존재하지 않는’ 별이었던
셈
이다. 20 년 지나서야 찾은 별스트루베는 자신이 큰 실수를 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그리고 곧 자신의 발견이 잘못됐음을 발표했다.시간이 지나 뉴컴도 결국 동반성을 찾는데 실패한 것으로 드러났다. 그의 ... ...
6. 아름다운 조선무 다리 예찬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겨드랑이에 이르는 광배근, 대원근이 상대적으로 내려 붙어 있어 인체 비례로 따지면 긴
셈
이 된다. 이런 구조는 위팔의 순발력에는 불리하지만 오히려 골프채를 휘두를 때 힘을 내는 데는 유리하다.손목은 가늘다. 골간과 골단의 굵기 차가 크지 않고 골단부가 크지 않아 손목과 발목이 가는 경우가 ... ...
과학 대중화에 뛰어든 블랙홀 박사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나 자신을 채찍질했다”고 박 원장은 말했다. 이 책이 그의 인생에서 나침반 역할을 했던
셈
이다.천문학 향한 외길 수순그는 한국인 블랙홀 박사 1호다. 미국 오스틴 소재 텍사스대에서 시간에 따라 변하는 블랙홀 모델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블랙홀은 빛조차 꿀꺽 삼키는 특이한 천체다. 언제부턴가 ... ...
아바타 학교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3호
설레기까지 해. 너랑 많은 얘기를 하고 싶어.나에게는 한꺼번에 두 명의 친구가 생긴
셈
이야. 진짜 다영이랑 다영이 아바타. 두 명 모두와 친하게 지내고 싶어. 좀 쑥스럽긴 해. 항상 네가 먼저 손을 내밀었는데 내가 머뭇거리며 제대로 잡아 주지 않았잖아.나도 진진이처럼 진짜 장미꽃을 가져갈까 ... ...
만년의 빙원에서 꿈을 이룬 극지연구가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한국의 극지연구팀이 18년간 극지 연구에서 보여 온 열정이 비로소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셈
이다.극지 연구 과정에서 예상외의 수확도 얻었다. 1992년 1월 김 소장의 연구팀은 세종기지가 위치한 남극 주변 해저에서 국내 연간 천연가스 소비량의 300배에 달하는 가스수화물층을 발견했다. ... ...
디지털 지휘봉과 뮤지컬 재킷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지으려 하고 있다면 수동 입력 세션은 불도저로 불도저에 걸맞는 집을 짓고 있는
셈
이다. 알아서 줄어들고 차가워지고귀에 이어폰을 꽂고 음악을 크게 듣고 거리를 다니는 것은 귀에 나쁜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때로는 매우 위험하기까지 하다. 음악 소리가 커서 옆에서 경적을 울리며 달려오는 차 ... ...
4. 과학자가 증권가로 간 까닭은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못한 부적응자’ 정도로 인식했던 것과 비교하면 매우 급격한 변화가 진행되고 있는
셈
이다.금융권 임원들 중에도 이공계 출신이 꽤 눈에 띈다. 제일은행 현재명 부행장(서울대 응용수학과)과 로버트 코헨 전 제일은행장(프랑스 에콜 이학 석사), 리처드 웨커 전 외환은행장(미주리공대) 등도 ... ...
Smart D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인공지능이었는데, 결국 이 조항에 의해 창작물에 대한 지적재산권이 사실상 보장되는
셈
이라고 그는 설명했다. 무슨 말인지 정확히 이해하기가 힘들었지만 아마도 Smart D사는 복제된 모든 D에 사용료를 부가하기 위해서 복제된 모든 D를 온라인상으로 추적하고 감시한다. 인공지능의 주 임무다. ... ...
이전
329
330
331
332
333
334
335
336
3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