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래
앞날
내세
차후
뒷날
내일
싹수
d라이브러리
"
미래
"(으)로 총 4,792건 검색되었습니다.
전자공학의 외침! 무기여 잘있거라 플렉서블 일렉트로닉스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반도체와 금속의 자리를 넘보고 있다. 유기물이 몰고 올 차세대 전자공학의
미래
는 플렉서블한 세상이라고 하는데…. 디스플레이에서 태양전지까지 유기 신소재의 응용범위를 살펴본다 ... ...
1 무기여 안녕! 유기전자공학 시대 도래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이루고 있기 때문에 이 문제를 단박에 해결해줄 수 있다.이처럼 유기전자공학은 새로운
미래
를 열어주긴 하지만 아직은 가야할 길이 멀다. 유기물은 공기와 빛, 물에 노출되면 화학적 성질이 변하기 쉽다. 이런 까닭에 현재는 수명이 짧고 안정성이 부족하다. 앞으로 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 ...
1 태풍잡는 사나이로 변신한 물리학자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생각한다.우주태양광발전소는 1960년대 후반에 최초로 제안돼, 미항공우주국(NASA)이 이를
미래
의 대체 에너지원 중 하나로 고려했고, 현재 미국과 일본에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과학동아 2003년 6월호 ‘태양에너지 무선전송시대 열린다’ 참조). 기본 아이디어는 수십km 크기의 거대한 ... ...
중학생 30개팀 토론축제 한마당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방식으로 진행됐다.학교수업도 토론 방식으로 이뤄져야우승을 차지한 인천과학영재팀은
미래
의 꿈팀이 제시한 천체에 물이 존재할 조건과 그때 물의 상태를 묻는 지구과학 문제를 발표했다. 지구 이외의 태양계 행성에 물이 있을 가능성과 상태를 꼼꼼히 다뤄 좋은 평가를 받았다. 또 ... ...
2 첨단기술 활약할 무대장치 만든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위에서 다른 신기술이 마음껏 일어설 수 있는 것이다.소자나 센서를 제작해내기 어렵다.
미래
사회를 이끌어갈 첨단 신기술을 연극 배우에 비유한다면 극청정 진공기술은 무대 장치기술과 같다. 극청정 진공기술은 무대 장치기술과 같다. 극청정 진공기술이 우선 확립돼야 그 기반 위에서 다른 ... ...
디지털 세상 최강의 방패 양자암호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그래서 양자암호를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안전한 암호체계라고 평가한다.이미 구축된
미래
의 암호체계양자암호 체계가 성립하기 위한 유일한 조건은 공개 채널을 통해 큐비트가 교환될 수 있어야 한다는 점뿐이다. 양자컴퓨터가 실용화되려면 극복해야 할 여러가지 문제가 있지만, 양자암호체계는 ... ...
무기·복제·인공지능이 단골 메뉴 무지와 광기가 만든 마법사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전쟁에서 승리한 대표적인 인공지능이다.일부 과학자들은 인공지능의 발달이 인류의
미래
를 위협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런 과학자 중 가장 극단적이며 유명한 사람은 시어도어 카진스키다. 카진스키는 하버드 출신의 천재 수학자로 인공지능과 로봇의 발달로 인해 인류의 문명이 붕괴할 것이라고 ... ...
3 21세기 미라 냉동인간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저온보존 기술로 생명활동을 일시적으로 중단시킨다. 저온보존으로 겨냥하는 대표적인
미래
기술은 인공동면과 냉동보존이다.겨울잠 자며 우주여행한다먼저 인공동면의 경우 사람도 일부 동물처럼 동면을 즐길 가능성이 없지 않다. 곰과 다람쥐, 햄스터, 박쥐 등은 외부 온도에 따라 스스로 체온을 ... ...
신경세포가 그리는 초상화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지난 7월 12-13일 뉴욕에서는 ‘아트보트’(Artbots) 전시회가 열렸습니다. 한마디로
미래
의 앤드류가 될 예술가 로봇, 또는 예술작품으로서의 로봇을 한데 모은 행사였습니다.이번 전시회엔 모두 22개 작품이 출품됐는데, 이 가운데 호주의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대학의 예술-과학 그룹 가이 벤 ... ...
제16회 국제물리공동탐구토론대회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한국대표팀이 독일대표팀과 공동 우승을 차지했다.이번에 한국팀이 우승을 차지한 IYPT는
미래
과학자들의 학술대회와 같은 성격을 지닌 대회로 물리학 분야에 뛰어난 영재들의 경연장이다(www.iypt.org). 대회에서는 5명이 1팀을 이뤄 수개월 전에 제시된 물리문제들을 장기간에 걸쳐 공동으로 탐구한 ... ...
이전
329
330
331
332
333
334
335
336
3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