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도덕과학
도덕
문화과학
문화
보존과학
보존
d라이브러리
"
과학
"(으)로 총 22,460건 검색되었습니다.
당근 효과는 있어도 채찍 효과는 없다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훈육은 효과보다 부작용이 더 크다는 사실이 여러 연구를 통해 입증돼 있다. 미국 소아
과학
회는 2018년 ‘건강한 아이로 키우기 위한 효과적인 훈육’이라는 훈육지침의 개정안을 내놨다. 이 안에는 체벌로 인한 뇌 이상, 행동 이상에 대한 다수의 연구결과들이 포함돼 있다.우리나라도 ‘자녀 ... ...
[막내기자의
과학
실험실] ‘파짓! 파짓!’ 정전기로 번개를 만들어 보자!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한밤중에 목이 말라 냉장고를 열어보니… 갑자기 손끝에서 스파크가 번쩍! 정전기가 일어났습니다. 얼얼한 손가락을 쥐고 “뭐, 뭐야…번개야?”라며 호들갑을 떨었죠. 사실 정전기와 번개의 기본 원리는 같습니다. 둘 다 ‘대전’이라는 현상에서 비롯됩니다. 원자는 보통 전기적으로 중성입니다 ... ...
'궁극의 질문'을 함께 풀어봐요!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통계적 확률의 극한을 생각해 보는 방법이 있을 것 같다. KAIST
과학
영재교육연구원 +
과학
동아 ‘궁극의 질문’ 선정 이유 이 문제에서 사건이 일어나는 경우의 수는 어떻게 계산할까? 계산할 수 없다면 어떻게 접근하는 것이 수학적으로 타당할까? 이렇게 다양한 의문을 가지다 보면 정의할 수 ... ...
[DGIST@융복합 파트너] 버려지는 에너지 모아 필요한 곳에 유용하게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이를 모아 웨어러블 장비를 구동하는 시대가 올 겁니다.”지난해 12월 1일 대구경북
과학
기술원(DGIST) 에너지변환소재연구실에서 만난 이주혁 에너지공학전공 교수가 손목에 찬 스마트워치를 보이며 설명했다. 이 교수는 에너지를 모아 미세전력원으로 사용하는 ‘에너지 하베스팅(수확)’ 기술을 ... ...
[이슈1] 수학과 친해지는 진짜 쉬운 방법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1호
싶습니다. 너무나 많은 가능성을 가진 어릴 때 꼭 해야 할 것이 무엇일까 생각해봅니다.
과학
자든 소설가든 미래에 어떤 직업을 가지는가와 상관없이 기초 소양을 기르는 것이 아닐까요? 저는 합리적이고 논리적으로 생각하는 방법을 배우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생각의 힘은 어떤 ... ...
[그래프뉴스] 소에게 해초 먹이니 온실가스 82% 줄었다!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1호
021년 3월 에르미아스 케브리브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데이비스 캠퍼스 동물
과학
부 교수팀은 소에게 ‘바다고리풀’이라는 분홍색 해초를 5개월 동안 먹인 결과 소가 트림하거나 방귀를 뀔 때 내뿜는 메탄가스양이 82% 줄었다고 발표했어요. 메탄가스는 지구의 온도를 높이는 온실가스로, 기후 ... ...
[수학뉴스] 자연
과학
분야 대통령상 수상한 수학자들
수학동아
l
2021년 01호
교수가 서인석 교수와 함께 젊은
과학
자상을 받았습니다. 시상식은 2021년 4월 21일
과학
의 날에 열릴 예정입니다. ... ...
[특집] 취향저격수가 되는 첫걸음 ‘벡터’
수학동아
l
2021년 01호
않는 사용자의 정보를 앞서 얻은 14개의 키워드와 비교해서 수학동아와 어린이
과학
동아,
과학
동아 중 적합한 잡지를 추천합니다. 이 과정은 모두 벡터 계산으로 이뤄집니다. 벡터로 나타낸 정보 하나는 벡터 공간에서 하나의 점에 해당합니다. 예를들어 14개의 키워드는 각각 0과 1로 이뤄진 14개의 ... ...
[기획] 코로나19 비켜! mRNA 백신 납신다~
수학동아
l
2021년 01호
교수는 “이론적으로 이 방식을 활용하면 어떤 단백질도 만들 수 있다”고 2020년 11월
과학
잡지 ‘더 사이언티스트’에 밝혔습니다. 또 “기존 백신보다 제조 과정이 훨씬 간단하다”고 말했죠. 그럼 왜 그동안 mRNA 백신을 개발하지 못했을까요? 우리 몸속에는 RNA를 분해하는 효소가 많습니다. ... ...
[이달의 수학자] 뇌는 누구보다 자유로웠던 스티븐 호킹
수학동아
l
2021년 01호
이같이 말했습니다. 우주가 특이점에서부터 시작했음을 수학적으로 증명하는 등 호킹은
과학
과 수학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겼습니다. 신체적 장애가 호킹의 넘치는 호기심과 열정을 막을 순 없었죠. 1942년 1월 8일에 태어난 호킹은 세계적인 이론물리학자이자 뛰어난 수학자입니다. 호킹은 ... ...
이전
329
330
331
332
333
334
335
336
3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