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장"(으)로 총 17,302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류의 행성 이주 작전, 프록시마 b에 데려다 줄래?과학동아 l2019년 04호
- 한다. 그런데 얼마나 크게?현재까지 발견된 태양계 밖 행성 중 지구와 유사하면서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행성은 센타우루스자리 알파에 있는 ‘프록시마(Proxima) b’다. 이 행성은 표면에 물이 액체 상태로 있을 것으로 추정돼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고, 크기도 지구의 1.3배 정도로 비슷할 ... ...
- [10대의 약] 봄 꽃가루가 '악마'로... 알레르기 비염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반드시 약사의 지도하에 약을 복용해야합니다. 자신의 증상에 맞는 약을 먹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마지막으로 미세먼지에 의한 대기오염이 심각하기 때문에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하고 외출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이소정 고려대에서 약학을 전공하고, 서울대 약학대학원 물리약학으로 ... ...
- [영국유학일기] 현실 대학생이 알려주는 런던 문화생활 즐기기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소속 기도 모임인 ‘ICKC’도 동아리 활동에서 빼놓을 수 없다. 학업 등에 지칠 때마다 가장 큰 도움을 준 사람들은 모두 이 동아리 소속이다.매주 화요일 아침 8시, 목요일 저녁 6시에 모임을 갖는데, 화요일은 짧은 성경 말씀 묵상으로 하루를 시작하고, 목요일에는 찬양으로 시작해 소그룹으로 ... ...
- 전국 40개 학급을 도는 최적의 경로는?수학동아 l2019년 04호
- 도착해야 합니다. 그래서 출발지를 안심중학교로 정하고 경로를 짜기 시작했지요. 가장 가까이 있는 지점을 골라 연결한 결과, 안심중-고산중-사월초-덕원고-대구고-효성초-영남중-성지중의 경로를 얻었습니다. 특히 덕원고등학교는 행사 시간인 낮 12시 전에만 도착하면 되기 때문에, 고산중학교와 ... ...
- 고정환|'발사체 독립'의 꿈, 대한민국에 희망을 주다과학동아 l2019년 04호
- 합니다. 발사체를 개발하는 우리 기술진 250명을 대표해 결정을 잘 내리는 것이 저의 가장 중요한 임무죠. 제 비결은 기술진의 의견에 귀를 기울이는 겁니다.” 실제로 2017년 12월로 앞당겨졌던 시험발사체 발사예정일을 2018년으로 10개월 연기한 것은 엔진과 연료·산화제 탱크를 개발하는 기술진들의 ... ...
- 플레이볼. 공인구 변화가 나비효과 만들까?수학동아 l2019년 04호
- 보자! ● 반발계수의 변화 : 아슬아슬한 홈런성 타구가 많아진다공인구 변화에서 가장 화두가 된 건 공인구의 ‘반발계수’다. 반발계수는 물체의 충돌 전후 속도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0~1 사이의 값을 갖는데, 0에 가까울수록 충돌 전에 비해 속도가 많이 준다는 의미다. 즉, 잘 튕겨 나가지 ... ...
- 이상엽|국제학술지, 경제, 중국...글로벌 파워를 뿜어내다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맡아 실무 역할을 하고 있는 국제학술지는 7개도 넘는다. “국제학술지 편집진을 맡은 가장 큰 이유는 한국 과학자의 불이익을 막기 위해서였습니다. 상대적으로 영어가 완벽하지 않다보니 동료평가(피어리뷰) 점수가 애매한 경우 게재를 거절당하는 일이 많았거든요.”편집진이 된 뒤 잠을 잘 수 ... ...
- [알고리듬 시그널] 시각은 용납하지 않는다! 집합 덮개 문제수학동아 l2019년 04호
- ={1, 2, 3, 4},…, S10={6, 10}이죠. 부분집합을 모두 찾았다면 이제 어느 위치에 기지를 지으면 가장 적은 개수로 전체를 감시할 수 있는지 생각해 보세요. 선택한 부분집합 Si들의 합집합이 전체집합이 되면 된답니다.찾았나요? 정답은 2번과 6번 자리예요. S2={1, 2, 3, 4, 8}, S6={5, 6, 7, 9, 10}를 ...
- [수학미술관] 시선을 모으는 원근법수학동아 l2019년 04호
- 수 있거든요. 그래서 이 수학적인 표현 기법은 영화를 만들 때도 쓰입니다. 역사상 가장 완벽하고 혁신적인 영상을 만들어낸 거장으로 뽑히는 영화감독 스탠리 큐브릭의 영화는 1점 투시법을 이용해 촬영한 것으로 유명합니다. 직사각형의 영화 화면에 대각선 두 개를 그어 보세요. 그럼 영화가 ... ...
- Part 3. 안전성에 태클을 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연구와 검증이 필요하다”고 설명했어요. 배아 연구는 OK, 착상은 NO! 이번 연구에서 가장 큰 문제점은 유전자를 교정한 배아를 엄마의 몸에 착상시켰다는 점이에요. 이번 연구로 태어난 쌍둥이 아기는 선천적으로 돌연변이를 갖고 태어났지요. 하지만 이 돌연변이가 어떤 형질로 나타날지 확신할 ... ...
이전3293303313323333343353363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