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협회
공학
연구실
대학
학회
사회정책연구소
사회
d라이브러리
"
연구소
"(으)로 총 5,138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랑의 맛 초콜릿
과학동아
l
199902
먹으면 이가 썩는다고 안 먹는 것이 최선은 아니다. 이에 대해 이만종 박사(롯데그룹 중앙
연구소
)는 “폴리페놀 성분이 플라크의 축적을 막기 때문에 다른 식품보다 초콜릿이 충치를 더 일으키는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한다. 하지만 당성분이 반 이상인 초콜릿이 충치의 한 원인이라는 것은 피하기 ... ...
책상 - 보면 볼수록 새로운 과학백화점
과학동아
l
199902
평범한 사람이 화학자의 실패한 개발품을 유용한 상품으로 만든 것이다.1970년 미국 3M중앙
연구소
연구원이던 스펜서 실버는 기존의 접착제보다 훨씬 강력한 접착제 개발에 착수했다. 오랜 연구 끝에 접착력 향상에 성공했지만 회사의 최종적인 평가는 ‘실패’였다. 잘 붙기는 하지만 쉽게 떨어지는 ... ...
인종주의를 부추긴 지능 테스트
과학동아
l
199902
그의 관심은 당시 한창 연구되고 있던 심리학으로 옮겨졌다.소르본대학 심리학 및 생리학
연구소
에서 자리를 잡은 비네는 체스경기자나 계산능력을 타고난 사람들의 사고과정에 특히 관심이 컸다. 그의 관찰대상 중에는 두 딸도 있었다. 그는 15년 동안 딸들을 관찰한 결과를 ‘지능에 대한 실험적 ... ...
오감을 뛰어넘는 초감각 지각 ESP
과학동아
l
199902
텔레파시, 투시, 그리고 예지. 오감 이외의 수단을 이용해 외부의 정보를 얻는 능력이다. 사람은 과연 먼 곳에서 벌어지는 일을 '감으로' 알아낼 수 있을까. 미래의 불길한 사건을 예감하는 능력은 무엇일까.어느날 오후 다방에 앉아 친구를 기다리고 있었다. 카운터의 젊은 여자는 만화책을 열심히 ... ...
④ 각광받는 미래에너지 수소
과학동아
l
199901
수소는 연소하기 쉬운 기체로 공기나 산소와 접촉하면 쉬이 불이 붙는다. 수소-공기 혼합기체는 불꽃을 튀겨주면 조건에 따라 폭발적인 연소반응을 보이기도 한다. 특히 폭발이 일어나는 농도범위가 커서(4-75%) 폭넓게 폭발을 일으킨다. 또한 불이 붙는 발화에너지가 작아 아주 미세한 정전기에도 ... ...
나만의 비밀번호 생체인식시스템
과학동아
l
199901
고조된 적이 있다. 주로 인증 시스템으로 운영되는 음성인식시스템은 1945년 미국의 벨
연구소
가 성문(sound spectrum)기록 기술을 개발한 이래 온라인 원격접속이나 폰뱅킹에 상용화됐다. 기본 알고리즘은 약속된 단어를 발음하면 음성정보가 디지털화되면서 1백분의 1초 길이로 잘라져 원래의 정보와 ... ...
물리학의 한계에 도전하는 반도체
과학동아
l
199901
반도체재료실험실은 구리칩과 같은 반도체재료혁명을 꿈꾼다. 구심점은 한국전자통신
연구소
(ETRI)에서 15년 동안 연구 생활을 했고 93년부터 모교에 돌아와 후배 양성에 나선 강상원교수. 그의 지도를 받아 4명이 석사과정을, 10명이 박사과정을 밟고 있다. 그들에게 주어진 사명은 3P다. 창의적인 특허 ... ...
② 수소 발견 이야기
과학동아
l
199901
원자모형이 해명되기 시작한지 20여년 후인 1932년 미국의 화학자 유레이는 미국 표준
연구소
의 워시번과 함께 수소의 동위원소(중수소)를 발견하고 그 공로로 1934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 ...
세계인구 반 이상이 심령 현상 경험
과학동아
l
199901
1965년 정년퇴임하면서 듀크대의 연구실을 ‘초심리학
연구소
’로 확대개편한다. 이
연구소
는 1995년 라인 탄생 1백주년을 기념하여 라인연구센터로 개명된다. 오늘날 초심리학의 메카이다. 라인은 1980년 사망할 때까지 아내와 함께 초심리학 연구에 생애를 건 독보적인 이론가이다.의사과학 또는 ... ...
인간복제 브레이크 걸 제도가 없다
과학동아
l
199901
치료책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의견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한 예로 영국의 로슬린
연구소
는 윤리적으로 인간을 복제해서는 안된다는 입장을 펴는 한편, 배아 단계에서 세포를 떼내 특정 장기의 세포로 발달하도록 배양하는 일은 치료에 많은 도움을 준다고 주장하고 있다. 예를 들어 당뇨병에 걸린 ... ...
이전
329
330
331
332
333
334
335
336
3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