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교
칼리지
전문대학
유니버시티
대
단과대학
연구소
d라이브러리
"
대학
"(으)로 총 6,597건 검색되었습니다.
01. 다시 태어나도 이공계 가겠다
과학동아
l
200508
덕목이 골고루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응답자들은 한국에서 가장 일하기 좋은 곳으로
대학
교(59.3%)를 가장 많이 들었다. 응답자 28.3%는 정부연구소를 꼽았고, 일반 기업과 기업연구소를 선호한 응답자는 10% 정도였다. 설문에 응답한 과학자들의 60%는 현재 일하는 곳과 선호하는 곳이 일치하지 않는 ... ...
아인슈타인 뇌에 담긴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508
사건이 되리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 생각들로 흐뭇해하며 세번째 과학자인 맥마스터
대학
교의 위텔슨 박사를 찾아갔다.“제가 발견한 것은 더욱 놀라운 것입니다. 아인슈타인의 뇌 조각에는 어떤 문자들이 들어 있었어요. 마치 무슨 비밀 편지 같은 것이었죠. 우연이었을까요? 아니면 누군가 ... ...
레고 마인드스톰을 체험한다
과학동아
l
200507
발표했다. 이에 따라 앞으로 로봇산업계에 대한 지원과 함께 로봇전문연구소·
대학
원을 신설하는 등 연구 인력을 적극 육성할 예정이다. 로봇산업과 관련 인력에 대한 수요도 이에 맞춰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마인드스톰에서 브릭으로 로봇 뼈대를 만들고, 프로그램을 작성해 작동시키는 과정은 ... ...
1. 꿈틀거리며 잠깨는 공룡화석
과학동아
l
200507
남해안은 공룡의 군집생활과 번식을 연구하는데 최적의 요지다.”-미국 남부감리
대학
루이스 제이콥 교수(前 세계척추고생물학회장)“조만간 한반도에서 세계 공룡사를 뒤흔들 화석이 발견될 것이라고 확신한다.”-중국 국립척추고동물-고인류과학원 조중허 박사▼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아니수타인 박사를 모셔라
과학동아
l
200507
1992년 아인슈타인이 노벨상 수상자로 결정되던 그해, 조선교육협회가 아인슈타인을 초청했다. 그러나 그는 오지 않았고, 조선에 민립
대학
... 유명무실해지더니 1927년 신간회가 생기자 해체되고 말았다. 물론 아인슈타인을 초청해 민립
대학
설립 자금을 모으겠다는 계획도 역사 속에 묻혔다 ... ...
과학교사는 전문가다
과학동아
l
200507
’ ‘물리교육학 연구’ ‘Progress in Education’ 등 책도 많이 펴냈다. 지난해 6월에는 10개
대학
이 연합한 한국가상캠퍼스에서 원격교육을 실시해 ‘베스트 티처’(Best Teacher)상을 받았다.“처음에는 ‘이론적으로 당연한 건데 실험 장치는 왜 만드나’하는 시각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물리현상의 ... ...
세상을 지배하는 붉은 힘
과학동아
l
200507
시각적 부담을 덜어주기 때문이라는 주장도 있다.레드 우울증을 깨우다정신병원이나
대학
심리학과에서 사이코드라마를 공연할 때 우울증이 심한 환자에게는 붉은 색 조명을 비춘다. 이렇게 하면 각종 감각이 둔해져 반응이 더딘 환자의 민감성이 증가한다. 동공은 수축되고 근육이 긴장하며 ... ...
헤르츠의 전파검출 실험
과학동아
l
200507
공간이라는 의미의 ‘장’(場, field)이라는 개념을 써서 설명했다. 그러나 패러데이는
대학
교육을 전혀 받지 못했기 때문에 자신의 이론을 수학적으로 제시하지 못했다. 이 작업은 나중에 영국 케임브리지대에서 탁월한 수준으로 수학 훈련을 받은 제임스 클럭 맥스웰에 의해 이뤄졌다.맥스웰은 1856 ... ...
포플러로 깨끗한 세상을 꿈꾸는 문학소녀
어린이과학동아
l
200507
식물학을 공부하고 있던 이영숙 교수님은 세미나 때문에 한국에 오신 코네티컷
대학
교의 새터 교수님을 만나 미국 유학을 결심하게 됐어요. 언어가 달라 공부를 따라가는 것도 힘들고 경제적으로도 어려웠던 교수님에게 새터 교수님은 큰 힘이 되어 주었지요.이영숙 교수님은 아이를 낳고 미국으로 ... ...
공학에 한번 빠져 봅시다
과학동아
l
200507
벤처 사업을 체계적으로 꾸려나가는데 산업공학이라는 그의 전공이 한몫했다고 말한다.
대학
시절부터 공학과 경영학을 함께 배워 창업에 성공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로봇 전문가인 김문상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박사는 “지금 생각해도 로봇 분야에 몸담길 참 잘했다”며 인간의 동반자인 ... ...
이전
329
330
331
332
333
334
335
336
3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