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술"(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 마음의 소리수학동아 l2017년 02호
- 딥마인드가 2016년 11월 딥러닝을 활용해 사람의 입 모양을 읽어 문자로 바꾸는 인공지능 기술을 만든 것이다. 이 인공지능은 인공신경망으로 이뤄져 있어 사람의 뇌 속에서 일어나는 학습 활동을 따라한다.이 인공지능은 TV 프로그램 장면을 5000시간 이상 보고, 듣고, 집중하고, 받아 적는 훈련을 ... ...
- Part 2. 정보의학시대 논쟁, DNA 공공 데이터베이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데 드는 비용은 10만 달러(약 1억1800만 원)에 달했지만, 일루미나는 자신만의 해독 기술로 2014년 기존의 1%에 해당하는 1000달러(약 118만 원)까지 비용을 낮추는 데 성공했다. 그리고 지난 1월 10일, 미국에서 열린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에서 일루미나의 최고경영자 프란시스 데소우자는 한 사람의 ... ...
- Intro. 인공신경망 번역 수학이 다 알아서 한다수학동아 l2017년 02호
- 여러 가지 언어를 자유자재로 번역하는 인공지능의 눈에는 언어가 어떻게 보일까? 요즘 화제가 되고 있는 인공신경망 번역은 단어나 문장을 공간 속의 점으로 인식한다. 인공 ... 1. 구글이 ‘영잘알’된 비결Part 2. 수학이 새로운 언어마저 만들었다?Part 3. 인공신경망 번역기술이 그리는 ... ...
- Part 1. 구글이 ‘영잘알’된 비결수학동아 l2017년 02호
- 얼마 전까지만 해도 구글 번역은 믿지 못할 물건이었다. “게임을 하다, 재밌게”처럼 순서를 고려하지 않고 단어별로 번역하거나 먹는 배를 “boat”로 옮기는 경우도 허다했 ... 1. 구글이 ‘영잘알’된 비결Part 2. 수학이 새로운 언어마저 만들었다?Part 3. 인공신경망 번역기술이 그리는 ... ...
- Part 2. 수학이 새로운 언어마저 만들었다?수학동아 l2017년 02호
- 여러 인공신경망 번역기 중에서도 구글 번역은 특별하다. 새로운 언어를 추가해도 따로 알고리즘을 만들지 않아도 된다. 구글은 알고리즘 하나에 한국어, 영어, 일본어 ... 한다Part 1. 구글이 ‘영잘알’된 비결Part 2. 수학이 새로운 언어마저 만들었다?Part 3. 인공신경망 번역기술이 그리는 ... ...
- Part 1. 생물들의 시간은 다르게 흐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덩치가 클수록 오래 산다?과학자들은 생물들의 수명이 종별로 다른 이유에 대해 연구하고 있어요. 그중 흥미로운 연구는 동물의 몸집이 작을수록 수명이 짧다는 거예요. 진화론적으로 봤을 때 몸집이 작으면 힘이 약하고 포식자에게 잡아먹힐 가능성이 높거든요. 그래서 빨리 자라서 새끼를 많이 ... ...
- Part 4. 바닷가재의 장수 비결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인간은 아주 오래 전부터 늙지 않고 오래 사는 '불로장생'을 꿈꿔왔어. 그래서 오래 전부터 꾸준히 늙지 않는 방법을 찾고 있지. 그렇다면 텔로미어가 짧아지지 않게 하면 더 오래 살 수 있지 않을까? 바닷가재를 통해 그 비밀을 확인해 보자. 텔로미어가 닳지 않는 바닷가재!바닷가재는 텔로미어 ... ...
- [포커스 뉴스] 원로의사 vs 닥터왓슨 환자들의 선택은?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목소리가 결코 작지 않다. 최근엔 부산대병원과 서울성모병원도 환자 치료에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의료계 전반에 인공지능 의사에 대한 기대와 불안감이 확산되는 추세다.하지만 해외에서는 이미 오래 전부터 인공지능을 실전에 투입했고, 사례와 자료가 쌓이고 있다. 미국 뉴욕 ... ...
- [Future] 홀로그램으로 다시 만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디지털 동영상 기술을 접목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이병호 교수팀은 홀로그래피 기술로 렌즈를 일정한 간격으로 새긴 ‘씨스루(See-through) 스크린’을 제작해 지난해 8월 컴퓨터그래픽스 연례회의인 시그라프에서 발표했다. 물체의 상이 씨스루 스크린의 앞이나 뒤에 맺히게 해 입체감을 선사한다 ... ...
- [Issue] 말하지 않아도 통하는 시대 感 테크놀로지과학동아 l2017년 02호
- 기업들이 센서를 연구할 수 있는 반도체 클린시설과 MEMS 장비를 갖추고 있다. 나노종합기술원은 이렇게 개발한 센서를 시제품으로 양산할 수 있는 시양산 시설 설립을 최근 정부에 제안했다. 김 부장은 “국내에서 MEMS 연구를 본격적으로 시작한 것이 1990년대 초”라며 “드디어 때가 왔다”고 ... ...
이전3283293303313323333343353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