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몸소
즉석
곧
즉시
당장에
바로
어린이과학동아
"
직접
"(으)로 총 4,803건 검색되었습니다.
(그림모임)색연필로 제 자캐를 그렸봤어요:)
포스팅
l
20180901
(초점이 좀 안맞네요ㅠ)제 자캐입니다!어떤가요?(모르시는분들을 위해:자캐는 자작 캐릭터의 줄임말으로자신이
직접
만든 캐릭터를 말합니다.) ...
지사탐의 꽃 여름캠프! 백두대간수목원에서 함께한 바이오블리츠!
기사
l
20180901
종자를 만들기 위해서는 종자로 만들 씨앗이 필요합니다. 씨앗을 종자로 만들려면 첫째, 수집을 해야합니다. 연구원분들께서
직접
수집을 한다고 하시네요. 둘째, 씨앗의 상태가 좋은것으로만 선별을 합니다. 씨앗의 상태가 좋지 않으면 오래 보관해 보았자 나중에 씨앗이 트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고 하네요. 셋째, 선별한 씨앗들은 건조시킵니다. 씨앗은 수 ...
다문화 박물관에서 오스트리아를 만나다!
기사
l
20180831
반죽에는 건포도를 쏙쏙 넣어주었습니다. 구워진 반죽을 조각으로 자르니 완성되었습니다. 정말 맛있고 달콤했답니다. 제가
직접
오스트리아 음식을 만들어 볼 수 있어서 좋았고, 뿌듯했습니다. 위 사진은 오스트리아 선생님과 함께 만든 요리를 들고 찍은 사진입니다. 마지막으로 문화 체험을 하였습니다. 문화 체험은 오스트리아 ...
외계인 머핀
포스팅
l
20180830
제가
직접
만든 외계인 머핀케잌 이에요정유민 대구동도초 ...
제돌아! 다음에 또 만나자
기사
l
20180828
동영상이 지원되지 않는 브라우저입니다.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하세요 돌고래 때를 바라보면서 이 돌고래들은 무슨 돌고래일까? 무엇을 먹을까? 어떻게 자지? 몇 마리씩 무리를 지어 다닐까? 등의 많은 긍금증이 생겼는데 이번 강의를 통해 상당부분 해결되었습니다. 그러면 ...
지구를 위한 과학 제돌이와 함께 살아남기
포스팅
l
20180827
강연 내용은 '돌고래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었습니다.강연이 끝나고 2부가 시작되었습니다.2부에서는연구원님이 우리가 쓴 질문에
직접
답해주셨습니다. 2부가 끝나고 나서는 연구원님과 사진을 찍었습니다. 그리고 돌고래 종이만들기 키트와 제돌이 포스터를 받았받았습니다.그후에는 대학로에서 놀다가 집으로 돌아왔습니다 ... ...
[기자체험-두번째] 채널A 방송국과 동아일보에 갔어요~
기사
l
20180825
해요~ 왜냐하면 마지막 날은 우리가
직접
기사를 정하여 취재를 하고 기사를 써야하니까요. 기자체험 마지막 날~! 우리들은
직접
기사를 작성하고 신문을 만들어 보았어요. 신문기사 뿐만 아니라 광고까지 포함된 신문~ 신문을 만들기만 한 것이 아니고 우리들이 만든 신문을 발표까지 해야 했습니다. 우리 모둠의 신문은 제가 발표했 ...
[기자체험-첫번째]신문에 대한 박물관도 있다는거 아세요?
기사
l
20180825
첫째 날, 신문박물관을 둘러보고 실제 신문 인쇄공장도 가보았습니다. 신문 인쇄공장에는 신문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공장장님께서
직접
설명해주셨어요. 신문 인쇄공장은 엄~청~ 컸어요~ 실제 쇄판을 인쇄하는 기계, 그리고 신문 인쇄에 사용되는 어머~어머~한 양의 인쇄용지들, 만들어진 신문이 천정을 통해 옮겨지며 분류되고 포장하여 트럭에 실는 장면까 ...
도자기를
직접
만들 수 있는 곳, 문경 도자기 박물관
기사
l
20180824
거친 것입니다. 이렇게
직접
만들어 완성된 도자기는 1~2달 뒤쯤 택배로 보내준다고 합니다. 빨리 완성된 도자기가 보고 싶네요!
직접
도자기도 만들어 볼 수 있는 문경 도자기 박물관! 여러분도 나중에 한 번 와보세요^0^ 좀 긴 기사였지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
돈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기사
l
20180824
사람들은
직접
자기가 만들어 쓰거나 마을 사람들과 물건을 바꾸어 쓰기도 합니다. 이것을 물물교환이라고 하는데요. 사람들이
직접
만드는 것은 힘들어서 마을 사람들과 물물교환을 했답니다. 사람들은 불편해서 엽전을 쓰기 시작합니다. 하지만 사람들은 그것도 불편하고 무거워서 지폐를 사용했답니다. 21세기의 돈! 오늘날 물건의 대가를 지급 ...
이전
327
328
329
330
331
332
333
334
3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