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양날의 검’ 항생제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최초 생산플레밍의 논문을 본 영국 옥스퍼드대의 생화
학자
에른스트 체인 박사와 병리
학자
하워드 플로리 박사가 페니실린을 약품으로 만드는 데 성공.1942페니실린 대량 생산제2차 세계대전 동안 수많은 부상자가 발생하자 약 20개 제약회사가 페니실린을 대규모로 생산.1940년대 후반페니실린 내성 ... ...
[유전학]쌍둥이는 몸에서 나는 냄새도 똑같다?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종류와 양이 이들과 혈연관계가 없는 사람들보다 10배 이상 비슷했다.영국 리버풀대 생물
학자
인 크랙 로버츠 교수는 “체취에 유전적 요인이 작용한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연구결과”라며 “체취로 병을 진단하거나 신원을 확인하는 새로운 방법을 찾을 수도 있다”고 평가했다 ... ...
스크린 속에 살아난 세종시대 로켓 신기전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가죽으로 만든 깃(안정날개)을 달았다. 약통은 전통 한지를 탄탄하게 감아 만든다.역사
학자
들은 대신기전이 압록강이나 두만강을 사이에 두고 북쪽 이민족을 직접 공격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이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장거리 공격무기가 전무한 시대인 만큼 현대의 탄도미사일 개념으로 해석해야 ... ...
과학문화 사업은 기본, 창의적 인재도 육성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가칭)은 국가 R&D를 기획, 관리, 평가하는 연구재단이고 국가장학재단(가칭)은 대학생에게
학자
금과 장학금을 지원하는 장학재단인 반면, 한국과학창의재단은 과학문화의 저변을 확대하고 청소년에게 창의성 교육을 지원하는 재단이다.새로 출범하는 한국과학창의재단의 핵심사업은 무엇일까. 정 ... ...
‘물리학의 산’같이 넘어 보실래요?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가장 좋아한다. 어머니 김혜영 동작고 교사는 “지범이를 가졌을 때 유명한 천체물리
학자
인 스티븐 호킹이 방한해 남산에 강연을 들으러 갔었다”며 “재미있는 우연”이라고 웃었다.화이트보드가 아이디어 창고 전문가의 평은 후한 편이다. 이화여대 과학교육과(물리교육전공) 김성원 교수는 ... ...
유기농이 오히려 더 위험할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방법을 제시한다. 특히 앞쪽형인간의 연애법과 앞쪽형인간의 자녀교육법에 관해 신경
학자
인 저자가 풀어낸 주장이 흥미롭다.새 책보이지 않는 지구의 주인 미생물오태광 지음ㅣ양문ㅣ184쪽ㅣ1만 2000원지구에 사는 생물의 총무게 중 60%가 미생물이다. 미생물유전체활용기술개발사업단장인 저자는 ... ...
자전거 만드는 핵물리
학자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박사학위를 받은 물리
학자
지만, 현장 인부들이 인정한 엔지니어기도 하다. 보통 물리
학자
는 이상적이고 효율적인 시스템을 설계한다. 그러나 현실과 이론의 차이 때문에 현장에서 이를 구현하지 못할 수도 있다. 그는 “현장에서 못 만드는 기계는 애초에 설계를 안 한다”고 말했다. 그도 처음엔 K ... ...
과학으로 지키는 독도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등의 우리 이름을 붙이려고 추진하고 있다.독도 심층해류에 독도 효과까지우리 과
학자
들은 독도는 물론 독도 주변 해저에 우리 지명을 사용하려고 노력 중이다. 지난해 8월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강무희 박사팀은 울릉도와 독도 사이에 있는 안용복해산의 생성원인을 밝혀 국제저널인 ‘마린 ... ...
‘숨겨진 보물’ 감자, 킹왕짱!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백신만이 경구용으로 개발돼 있는 상황도 감자 백신이 기다려지는 이유다.한편 생명공
학자
들은 감자에서 에탄올을 추출해 연료로 사용하기 위한 연구에 눈독을 들이고 있다. 현재 바이오에탄올을 생산하는 데 사용되는 원료는 곡물(밀, 보리)이나 열대작물(옥수수, 사탕수수)의 전분을 가수분해해 ... ...
다이어트 콜라와 멘토스 사탕이 만났을 때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멘토스 사탕이 ‘씨앗’ 역할 해최근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아팔라치안주립대 물리
학자
인 토냐 코피 교수는 이 문제가 자신이 가르치는 학생들과 함께 연구하기에 딱 좋은 주제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그 이유를 알아내기 위해 직접 실험했다. 그 결과는 ‘미국물리학저널’ 6월호에 실렸다.코피 ... ...
이전
327
328
329
330
331
332
333
334
3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