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끈
선
라인
실
열
행렬
끄나풀
d라이브러리
"
줄
"(으)로 총 6,865건 검색되었습니다.
10억분의 1m 여행으로 꿈을 심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4개월 사이에 200만 원이 넘는 기부금이 모인 셈이다. 김 교수는 “과학의 기쁨을 나눠
줄
수 있는 블로그 운영과 나노원정대 모집을 앞으로 계속해서 진행할 것”이라고 뜻을 밝혔다 ... ...
개그맨 이윤석의 '웃음의 과학'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인류의 조상이 야생에 살던 시절. 수풀 속에서 바스락거리는 것이 위험한 포식자일
줄
알고 긴장했는데 막상 알고 보니 작은 초식 동물이었다는 사실을 깨닫고 긴장이 누그러지는 순간에 웃음이 났다. 웃음은 불안이 사라진 뒤 안심하는 마음의 표시다. 그리고 사람은 이 웃음을 안전한 상태를 ... ...
기호를 알면 도서관 책이 보인다.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책을 찾으려면 먼저 컴퓨터로 검색을 한다. 컴퓨터는 책의 청구기호를 알려
줄
뿐 책을 직접 찾아 주진 않는다. 청구기호를 들고 책을 찾는 것은 사람의 몫이다. 책을 찾는 방법은 청구기호를 붙이는 방법과 비슷하다.청구기호가 ‘410.912 ㅈ794ㅅ’인 책이 필요하다면 먼저 410번 대의 책이 있는 책장을 ... ...
지오의 나라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한곳에 고정하고, 오른손에 든 공을 내밀고는 몸을 돌려가며 사람들이 볼 때 공 두 개가
줄
지어 늘어선 모양이 되도록 했다. 이 때문에 사람들 눈으로 보면 해라고 했던 공이 달이라는 공에 가려져 보이질 않게 되는 것이다.“어떻게 되긴. 달에 가려서 해가 보이질 않겠구먼.”더벅머리 총각 하나가 ... ...
[hot science] 얼짱 몸짱 마법의 주사는 없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하지만 3~4개월이 지나면 효과가 사라져 다시 원상태로 돌아오기 때문에 생명에 지장을
줄
정도는 아니다. 전문의들은 “보톡스가 인체에 해를 끼치려면 몸무게 70kg인 성인을 기준으로 한 번에 5병 이상 주입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보톡스 1병에 든 양을 100으로 봤을 때 시술에 사용하는 양은 20~30 ... ...
인간단백질 지도사업 이끈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이라는 효소 단백질을 찾아냈다. 이 단백질은 당시만 해도 혈액 속에 존재하지 않는
줄
알았다. 그러나 연구팀은 이 단백질이 워낙 소량이라 찾아내지 못했을 뿐이라고 생각했다. 혈액 1mL 당 400pg(피코그램, 1pg은 1조분의 1g)밖에 없는 이 단백질을 찾아 낸 것은 연구진이 10여 년간 축적한 기술 ... ...
네안데르탈인,우리도 알고 보면 똑똑했다구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2호
함께 멸종했을 거라고 추측하고 있었어요. 하지만 우리가 식물을 채집하고 요리도 할
줄
하는 똑똑한 유인원이었다는 사실이 밝혀진 거예요.또 어떤 사실들이 새롭게 밝혀졌나요?스페인 진화생물학협회 찰스 폭스 박사는 스페인남부 엘시드론 동굴에서 발견된 4만 9000년 전 네안데르탈인 뼈 DNA를 ... ...
그림속으로 들어간 화가, 뒤러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지녔지요. 어떤 사람들은 이 그림이 다가올 뒤러 자신의 결혼을 위해 신부의 부모님에게
줄
약혼선물이었을지도 모른다고 말하기도 해요.뒤러가 처음으로 성공을 거둔 자화상은 1498년에 그린 작품이에요. 금빛 레이스가 달린 흰셔츠와 청색과 백색의 끈으로 단단히 묶인 갈색 겉옷, 흰색 가죽 장갑은 ... ...
먼지도 유리처럼 부서진다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미국 국립대기연구센터의 재스퍼 콕 박사팀은 눈에 보이지 않는 작은 먼지도 유리와 비슷하게 부서진다는 연구 결과를 지난해 12월 27일 ‘미국립과학원회보’에 발표했다.유리와 같이 딱 ... 대기 중에 있는 먼지의 크기와 양을 정확하게 계산하면 기상을 예측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 ...
Part 2. 기막힌 운이 승리를 가져다준 쌍륙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포함해 세계 전역에서 즐기는 주사위놀이다. 쌍륙이라는 이름은 판의 칸이 한
줄
에 12개, 즉 6×2인 데서 붙여졌다. 주사위는 짐승 뼈나 나무 등을 깎아 6면체로 만든 뒤 각 면에 1개부터 6개까지의 눈을 새겼다.쌍륙은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전기까지는 상류층에서 즐기다가 조선시대 후기에는 ... ...
이전
327
328
329
330
331
332
333
334
3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