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억울
분통
원통
원기둥
분업
분장
분말
d라이브러리
"
분
"(으)로 총 8,206건 검색되었습니다.
➌ 박형동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5.99달러(우리 돈으로 약 6500원)인 이 앱 하나로 다 됩니다. 국내외 야외 지반조사 하는
분
들이 많이 삽니다. 독일의 한 교수가 지오아이디를 외국 교과서에도 소개했어요.학생들에게 “책상에 앉아서 3~4시간 앉아 있을 수 있으면 연구원을 하고 그렇지 않다면 회사로 가라”고 합니다. 고등학교 때 ... ...
빨대만 있으면
분
무기 뚝딱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과동이: 쌤! 안녕하세요. 드디어 새 학기가 시작됐어요.정훈쌤: 과동이 안녕?과동이: 제 교복에서 빛이 나지 않나요? 어제 제가 직접 다림질도 했어 ... 과학적 장난감을 만들어 넉넉하지 못한 사람들에게 재밌는 과학을 널리 알리는
분
이랍니다. 과학나눔이죠. 반짝이는 아이디어가 많습니다 ... ...
[해외취재] 2013 태국 탐사대, 카오 야이 국립공원에 가다!
수학동아
l
2013년 03호
눈앞에 펼쳐지고, 어린 시절 동화책에서 보던 동물들을 직접 만났을 때 탐사대의 눈빛은
분
명 가장 빛났다. 태국의 생생한 경험이 꿈을 향한 걸음에 힘이 되길 바라본다 ... ...
[체험] 발사 성공! 나로호 설계의 주역을 만나다
수학동아
l
2013년 03호
곳이다. 조상범 박사님의 설명 중, 나로과학위성의 궤도가 타원궤도인 이유에 대한 부
분
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 잘 알지 못했던 내용이었는데, 설명을 들으니 고개가 끄덕여졌다.위성정보연구센터에서는 정대원 박사님께서 독자기자단만 관제실 안으로 들어가 볼 수 있도록 특별히 배려해 주셨다. ... ...
찜질한다고 몸이 건강해질까?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불과하거나 홍보 효과를 노린 과장이라고 봐야 합니다. 혹시 불가마에 쓰는 광물의 성
분
과 거기서 나오는 원적외선의 파장, 효능을 명시해서 운영하는 찜질방이 있다면 알려 주시기 바랍니다. 직접 가서 확인해 봐야겠어요.그렇다고 지금 찜질방이 나쁘다는 이야기를 하는 건 아닙니다. 찜질방에서 ... ...
200호 영예의 어린이과학동아 대상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대상! 그 주인공은 바로!어린이과학동아를 열심히 읽고 사랑해 주는 열혈독자 여러
분
입니다~! 기사와 만화를 꼼꼼히 읽고 정성스레 쓴 엽서를 보면 편집부 기자들은 눈물을 참을 수가 없다고요!난 눈물 없어! 까리까리 깔깔깔! 깔깔 웃으면서 선물을 팡팡 쏠 거야!하지만 그냥 주지는 않을 거라고! ... ...
[2월] 도전! 과학동아 청소년기자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당시 서양인들은 섭취한 음식물을 사용해 간에서 피가 만들어지고 피가 온몸으로 영양
분
을 전달한 뒤 소모된다고 믿었다. 의문을 품은 하비는 심장의 용적을 측정해 심장이 밀어내는 피의 양을 추정했다. 그 결과, 섭취한 음식물의 양보다 피의 양이 더 많음을 밝혀냈다. 그는 피 순환이론을 ... ...
당신의 대통령은 누구입니까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1% 미만으로 낮았고, 무응답자의 비율은 예년 대비 크게 줄었다. 이때는 판별
분
석이 큰 역할을 하지 못했다.최 종 투표율은 75.8%로 17대 대선(63.0%)보다 12.8%p 늘어났다. 패널조사에서 지지하는 정당이나 후보를 적극적으로 밝히지 않은 여당 지지자들이 투표소로 집결한 것이다. 이로 인해 한국리서치 ... ...
떼려야 뗄 수 없는 때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유용한 방법”이라고 설명했다.때는 사실 알고 보면 매우 단순하다. 몸에서 나오는
분
비물의 일종이며, 결국 떨어져 나갈 물질이다. 미세먼지나 사람이 사용하는 비누와 결합해 ‘꼬질꼬질’하게 만들어져 불쾌한 상황을 만들기도 한다. 그러나 완전히 없애자고 과거 부모님처럼 벅벅 ... ...
BRIDGE. 대한민국 무인기는 ‘트랜스포머’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양력으로 무게를 지탱한다. 양력이 만들어지는 속도에 도달하기 위한 동력이 양력의 약 15
분
의 1 이하로 매우 효율적이다. 특히 비행 고도가 높아지면 공기(유체) 밀도가 낮아져 비행기가 나아가는 힘을 방해하는 항력도 줄어든다. 반면 헬리콥터가 낼 수 있는 속도는 이론적으로 시속 250km에 그친다 ... ...
이전
327
328
329
330
331
332
333
334
3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