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교차점을 줄여라! 벽돌공장 문제수학동아 l2018년 10호
- 2018년 퍼털 흐린언 체코 마사리코바대학교 교수와 카르스텐 토마센 덴마크공과대학교 교수는 최소 교차점 수가 홀수인지 짝수인지 결정하는 것조차 NP-난해라는 것을 밝혔습니다. 즉 최소 교차점 수가 홀수인지 다항식 시간에 알 수 있다면 P=NP가 돼, 다른 어려운 모든 NP-난해 문제도 모두 다항식 ... ...
- [이승재의 매스일레븐] 강팀 이겨야 유리한 새로운 FIFA 랭킹 시스템수학동아 l2018년 10호
- 2018년 8월 16일 국제축구연맹(FIFA)의 발표에 세계 축구팬의 이목이 쏠렸습니다. 강팀을 이겨야 순위가 더 올라가는 새로운 FIFA 랭킹 시스템을 적용한 첫 순위를 공개했거든요. 그 결과 기존 1위였던 독일 국가대표팀의 순위는 15위로 대폭 추락했습니다. 독일의 순위를 끌어내리는 데 결정적인 역할 ... ...
- 황윤섭 경희대 입학처장 - “잠재력과 가능성이 최우선 기준”과학동아 l2018년 10호
- 특히 강조했다. 이런 시각은 경희대 학생 선발 과정에도 드러난다. 경희대 입학전형은 타 대학에 비해 직관적이고 자유로운 편이다. 학생이 고교 시절 자신의 역량 향상에 집중할 수 있도록 배려한 것이다.수시모집은 크게 학생부종합전형과 논술우수자전형, 실기우수자전형으로 나뉜다. 이 중 ... ...
- [서울대 에너지자원공학과 재학생 인터뷰] 우리가 바로 대한민국의 미래 에너지과학동아 l2018년 10호
- 공부‘만’ 잘 하는 게 아니라 공부‘도’ 잘 해야 한다는 이야기를 들었다”며 “대학에 입학한 뒤 행복하게 생활하기 위해서라도 흥미에 따라 열정적으로 활동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수능은 ‘공부 감각’ 유지가 중요 - 17학번 최지운자율형 사립고인 서울 세화고를 졸업한 최지운 씨는 ... ...
- 인류의 눈 위 뼈가 평평해진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9호
- 만드는 두꺼운 눈위 뼈는 현대 인류로 진화하면서 평평해졌죠. 지난 4월 9일, 영국 요크대학교의 리카르도 고디노 교수 연구진은 눈 위 뼈가 평평해진 이유가 눈썹으로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서라는 연구를 발표했어요. 먼저, 연구진은 고대 인류의 눈 위 뼈가 얼굴을 보호하거나 음식을 씹는 데 ... ...
- Intro. 메이드 인 스페이스, 우주공장이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안녕? 난 우주 배달부야. 혹시 친구들이 이 택배의 주인이니? 그럼 조금만 더 기다려 줄래? 지금 막 우주공장에서 만들어진 제품을 지구로 배달할 거거든. 아, 그런데 왜 우주에서 제품을 만들었냐고? 그럼 우선 날 따라와. 우리 우주공장을 소개할게!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메이드 ... ...
- Part 1. 무중력을 이용하라! 우주공장의 매력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우주공장에서는 대류가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답니다. 충남대학교 이창수 교수는 “우주에서 결정끼리 겹치거나, 불순물이 섞이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며 “우주에서는 물질의 정확한 구조를 알아낼 수 있고, 이를 의약품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 ...
- Part 3. 수학 문제도 컴퓨팅 사고력으로수학동아 l2018년 09호
- 수학 교육에 컴퓨팅 사고력을 이용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김준석 고려대학교 수학과 교수는 중학생도 풀수 있는 수학 문제를 ‘옥타브’ 프로그램을 이용해 해결하는 방법을 소개하는 책 ‘코딩수학’을 시리즈로 내고 있습니다. 김 교수는 메르스 같은 전염병이 어떻게 퍼지는지 ... ...
- 꿈틀꿈틀! 미분하는 벌레수학동아 l2018년 09호
- 생각 같은 일을 한다는 건 상상이 되지 않는다. 그런데 놀랍게도 이스라엘 히브리대학교 유전학과 연구팀의 최근 연구결과에 따르면 벌레는 생각을 많이 해야 풀 수 있는 미분 문제의 달인이다. 미분은 고등학교에서 처음 접하는 수학 기법이다. 어떤 함수가 있을 때, 그 함수가 어떻게 ... ...
- [별난 이름 정리] 피자 정리수학동아 l2018년 09호
- 우정은 변하지 않았답니다. 이것도 피자 정리? 1. 무한히 나뉘는 피자 영국 리버풀대학교 수리과학과 연구원인 조엘 안토니 하들리와 스테판 월슬리는 2016년 원판 모양의 피자를 가능한 많은 사람이 나눠 먹을 방법을 찾았습니다. 방패처럼 갈고리 모양으로 피자를 나눴지요. 이 방법을 ... ...
이전3273283293303313323333343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