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화
이미지
영상
화상
초상
그래픽
사진
d라이브러리
"
그림
"(으)로 총 4,719건 검색되었습니다.
인터넷 집장만 10분이면 뚝딱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선택하면 된다. 레이아웃에 대한 간단한 특징은 화면 아래에 소개돼 있다. 여기서는 불독
그림
이 그려져 있는 오른쪽 레이아웃을 선택해보자.레이아웃을 선택하면 ‘트라이포트 퀵페이지 편집기’가 나타난다. 화면에 나타난 제목과 섹션의 내용은 홈페이지 초기화면에 그대로 배치된다. 우선 ... ...
Ⅲ. 미래형 신분증 DNA칩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RNA는 이 유전정보를 가지고 핵 바깥의 리보솜으로 이동해 이곳에서 단백질을 합성한다(
그림
). 따라서 간세포 안에서 만들어진 모든 RNA를 골라낸 후 여기에 담긴 염기의 서열을 알아내면 궁극적으로 DNA의 유전정보를 알 수 있다.전통적인 방법으로 이 실험을 수행할 경우 1개의 단백질을 만드는 ... ...
초상화는 왜 왼쪽얼굴인가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관찰하고 묘사하려는 서양의 추구와는 달리, 얼굴은 평면적이고 자세는 딱딱하지만
그림
전체에서 풍기는 인물의 기품을 숭상했다. 때문에 관습적으로 굳어진 왼쪽 측면상 형식을 바꿔야할 이유가 별로 없었다.그러나 서양의 초상화는 늘 새로운 지식과 기법을 도입하고 시험해 훨씬 다양한 자세와 ... ...
4. 위기의 지구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만든다. 염소기들이 수많은 오존 분자를 산소 분자로 바꾸는 촉매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그림
1).염소기가 촉매 역할을 하려면 계면이 필요하다. 성층권에서 계면 역할을 하는 것은 -80℃와 같은 낮은 기온에서 생기는 질산구름방울들의 표면이다. 여기에는 보통 구름들의 원료인 물이 거의 없다. ... ...
오목 거울의 진실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실물의 모양과 대칭인 모양으로(위아래, 좌우가 바뀐 채로) 인형의 상이 만들어 진다(
그림
1).상자 위에 흰 종이를 갖다대면 인형의 상이 맺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처럼 반사된 빛이 실제로 모여서 생기는 상을 실상(real image)이라고 한다. 우리가 물체를 본다는 것은 물체에서 나온 빛을 본다는 것은 ... ...
3. 기상 버라이어티쇼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차가운 대기를 지나야 하므로 이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곳은 높은 산이 있는 지역이다(
그림
1). 로키 산맥이 있는 미국의 콜로라도 지역에서 자주 관찰되는 이유도 그렇다. 그러므로 대기의 온도가 따뜻한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에서는 UFO 구름 보기란 하늘의 별따기만큼 어렵다는 ... ...
인터넷PC 꼼꼼 분석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다시 잘한 일에 여러가지 내용을 적어가는 방식이다. 작성한 마인드 맵 문서는 여러가지
그림
파일을 덧붙여 인터넷으로 쉽게 올릴 수 있도록 했다. 날짜제한기능이 있는 평가판은 한소프트의 홈페이지(www.haansoft.com)에서 무료로 받아볼 수 있다. 소비자가격은 2만7천5백원, 한소프트 회원에게는 10%가 ... ...
99년 영광의 수상자 : 생리·의학상-군터 블로벨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내용이다. 이 가설은 현재 수많은 생화학·세포학 교과서들에서 중요하게 언급되고 있다(
그림
).‘신호 가설’을 제창한 이후 블로벨 박사는 지난 20여년 동안 단백질 이동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해 왔다. 그 결과 그는 소포체 외의 다른 소기관들로 이동하는 단백질의 경우 제각기 독특한 ... ...
2. 날씨 따라잡기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있는 최소 단위다. 이 상자가 작아질수록 대기의 움직임은 보다 정교하게 재현할 수 있다(
그림
1). 물론 계산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길다는 단점은 있다. 예를 들어 1백10km, 21층 간격의 모델보다 30km, 33층짜리 모델이 더 정확한 예측을 돕는다는 얘기다. 실제로 4백km 간격의 지구모델에서는 한반도 ... ...
지진 예측할 수 없는가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변형되고 지진발생 후에는 이것이 아예 엇갈려 밀리면서 급격한 변위가 일어났던 것이다(
그림
1). 그는 이를 토대로 단층활동이 진행되는 지역의 암석에 가해지는 힘이 암석을 변형시키며 이 힘이 암석의 탄성한계를 넘어설 경우 갑작스런 쪼개짐과 함께 탄성에너지를 방출시켜 지진이 일어난다 ... ...
이전
327
328
329
330
331
332
333
334
3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