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뫼비우스의 띠가 남긴 숙제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에너지가 더 많이 쌓인다. 만약 띠의 길이와 너비의 비율이 달라지면 띠의 곳곳에 에너지가 쌓인 정도도 달라진다. 띠의 모양은 띠의 각 지점의 에너지 분포에 따른 결과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화장실로 간 수학자Part 1. 뫼비우스의 띠가 남긴 숙제Part 2. 물거품은 매듭을 알고 있다Part ... ...
- 내 스마트폰에 내가 만든 게임을 쏙!수학동아 l2015년 10호
- 따라오게 만들었지요. 다음 은 장애물이에요. 첫 번째 게임과 마찬가지로 예측할 수 없는 곳에서 마구 튀어나오도록 만들어야겠지요. 화면 맨 위 경계선을 x축이라고 생각하면, 화면을 반으로 나눠 왼쪽은 제3사분면★, 오른쪽은 제4사분면이라고 할 수 있어요. 제3사분면의 시작점부터 제4사분면이 ... ...
- [흔들리는 인류기원] Part2. 콜럼버스가 신대륙에서 만난 원주민의 기원은?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빙하기에는 지금보다 빙하의 양이 많아 해수면이 60m 이상 낮았기 때문에 수심이 낮은 곳은 육지였다. 고고학자들은 클로비스의 조상이 베링육교를 건넌 뒤 수천 년에 걸쳐 남아메리카 끝까지 이동했다고 생각했다.그런데 몬테 베르데는 이 이론이 잘 들어맞지 않는다. 추정 연대는 얼추 ... ...
- [Life & Tech] 태평양 한가운데 해양연구 전초기지를 가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꿈인 최세진 군(경기 파주 한민고 1)은 “인터넷으로는 알 수 있는 게 제한적인데, 이곳에 와서 눈으로 해양생물을 보고 궁금한 점은 박사님께 직접 여쭤볼 수 있어서 정말 값진 시간이었다”며 “연구원 생활은 내가 꿈꿔온 미래 그대로다”라고 말했다. 최 군은 최 연구원의 노트에 “박사님은 제 ... ...
- [Hot Issue] 화성에 WI-FI만 터졌더라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낮춘 대신 위성 수를 늘려 넓은 범위를 다루자는 아이디어다.무선통신을 할 수 없는 곳은 아직도 생각보다 많다. 당장 지리산만 가도, 배 타고 연안만 벗어나도 인터넷이 끊기곤 한다. 저개발국가나 오지는 말할 것도 없다. 위성을 이용하면 지구 어디서나 빠른 속도로 인터넷을 쓸 수 있다. ... ...
- [knowledge] 자연의 합리성을 사랑한 건축가, 가우디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열정을 쏟았던 성가족 성당의 기둥에는 플라타너스 나무의 모습을 덧입혔다. 덕분에 그곳을 찾은 많은 사람들이 숲 속에 있는 듯한 느낌을 받곤 한다. 하지만 그 여러 갈래의 가지들이 이루어낸 경쾌함은 돌이라는 재료의 본성을 쫓아 가우디가 10여 년간 연구해온 기술적인 결과물이기도 하다. 많은 ... ...
- [흔들리는 인류기원] Part1. 최초의 인류진화 역사 바뀔까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추정 때문이다. 아시아 중부의 베이징인, 동남아시아의 자바인 등 다양한 곳에서 발견된 다채로운 호모 에렉투스 화석 역시 이런 추정을 뒷받침했다.하지만 소수의견도 있다. 호모 에렉투스보다 먼저 유라시아 대륙으로 진출한 작은 인류가 존재했다는 주장이다. 이 주장의 근거는 아시아 각지에서 ... ...
- [과학뉴스] 좀비 개미의 최후과학동아 l2015년 10호
- 퍼뜨리기 쉬운 높은 나무에 오르게 하는가 하면, 다른 개미집에 포자를 떨어뜨리기 쉬운 곳에 찾아가 죽게 만든다. 포자가 터져 날아가면 다른 개미에게서 같은 불행이 반복된다. 미국의 사진작가인 아난드 바르마가 촬영한 이 사진은 월드 프레스 포토 재단이 선정하는 2015년 최고의 보도사진 ... ...
- [과학뉴스] “단위 정의, 절대상수로 바꾼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각 나라 사람들이 쓰는 국제 단위(SI)를 통일하고, 표준기술을 계속 발전시켜 나가는 곳이 프랑스 파리에 있는 국제도량형국(BIPM)이다. 1875년 파리에서 세계 57개국 대표가 모여 ‘미터(m)협약’을 맺은 지 140주년을 맞아, 국제도량형국을 이끌고 있는 마틴 밀턴 국장을 파리에서 만나 인터뷰 했다 ... ...
- 다람쥐 VS 청설모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청설모는 사람이 주는 강냉이 같은 음식을 받아 먹기도 한답니다.청설모가 사는 곳은 큰 나무예요. 나무 줄기나 나뭇가지 사이에 보금자리를 만들어요. 겨울이 되면 다람쥐와 마찬가지로 땅속에 굴을 파서 겨울잠을 잔답니다.이처럼 다람쥐와 청설모는 매우 닮았지만 서로 종이 다른 친척이에요. ... ...
이전3273283293303313323333343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