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신
자아
자체
도자기
도기
자기자신
본인
d라이브러리
"
자기
"(으)로 총 4,581건 검색되었습니다.
21세기 연금술, 인공원소 합성 112번까지 성공
과학동아
l
199604
융합된 원소는 속도필터를 통과한다. 이 필터에서 새로운 원소를 가려내는데, 전기장과
자기
장이 교묘하게 평형을 이루고 있어 특정속도를 가진 원소(미리 계산된 새원소의 속도)만 통과가 가능하다. 필터를 통과했다고 해서 모두가 다 새로운 원소가 되는 것은 아니다. 마지막으로 검증단계를 ... ...
3. 풀어 쓴 디지털사
과학동아
l
199604
분화하면 사상(四象)으로 나뉘어지며, 사상이 분화하면 8괘(卦)형태로 변한다. 이 8괘는
자기
복제에 의해 64(2³=8, ${2}^{6}$=64)괘로 변화하면서 만물을 표시하는 것이다.태극도형은 주역에서 출발한 것이니 중국의 것이라는 주장이 있다. 그러나 사실은 그렇지 않다. 중국 주렴계가 태극 도형을 처음 만든 ... ...
1. 힘과 운동-그래프 해석 중요
과학동아
l
199604
것이 아니라 '운동 상태를 변화'시키는 역할을 한다는 가장 기본적인 생각을 받아들여
자기
것으로 만들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계속 중심에서 겉돌게 되고 어려움만 느껴 흥미를 잃기가 쉽다. 그래프 해석 교육부에서 권장하는 대로 거의 모든 교과서들은 힘과 운동을 배울 때 주어진 자료를 ... ...
2. 우리가 만들어야 할 홈웨어
과학동아
l
199604
놀다 보면
자기
도 모르게 배우게 되는 것이 놀이학습인 것이다.신나게 게임을 하다가 갑
자기
"5 더하기 3은 몇일까요?"라고 물어서 8이라는 답을 맞추면 게임을 계속하게 하는 방식은 놀이학습이 아니다. '채소 가게에 가서 사과 5개와 배 3개를 사오는 심부름을 하고 나니 모두 8개가 되더라' 하는 것이 ... ...
미적분 누가 발견했나
과학동아
l
199604
독립적인 발견이 공인돼 두사람은 미적분학의 동시 발견자로 역사에 기록됐다.이 논쟁은
자기
국민의 우월성을 내세우려는 협소한 애국심 때문에 발생했다. 그러나 보다 중요한 점은 논쟁의 배경에 "하나의 학설은 한사람만이 발견할 수 있다" 는 논리가 깔려 있었다는 사실이다. 영국의 경험주의와 ... ...
최초의 농사꾼 잎꾼개미
과학동아
l
199603
볼 수 있는 어셈블리 라인(assembly line)을 방불케 한다. 몸 크기에 따라 적재적소에 배치,
자기
가 맡은 임무에만 몰두하는 잎꾼개미야말로 인간사회 어느 곳에도 볼 수 없는 분업의 극치다.그렇다면 버섯농장의 종자는 어디서 구하는 것일까. 인간사회의 여러 문화권에서 여자가 시집갈 때 친정에서 ... ...
아름답게 빛나는 행성상성운
과학동아
l
199603
나타난 특별한 현상인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만일 특별한 표면 현상이라면 별 표면의
자기
장과 관계가 있고 자전에 따라 그 위치가 변할 것으로 예상된다.베텔쥬스의 각크기는 보름달의 2만분의 1. 이 정도의 각크기를 구별할 수 있으려면 1만km 떨어진 곳에서 자동차 헤드라이트의 좌우 불빛을 ... ...
연구 1년만에 발견, 그리고 1년 후에 노벨상
과학동아
l
199603
발표 후 더욱 표면화됐다. 밴팅은 노골적으로 매클로드가 한 일이 없음에도 이 연구가
자기
연구인 것처럼 행동한다고 비난했다. 그리고 언론에서 매클로드의 연구라고 보도한 내용을 정정하라고 공개적으로 대들었다.그러나 매클로드의 입장은 달랐다. 그는 인슐린 분리는 밴팅 혼자의 노력이 ... ...
공룡부활에 가려진 카오스 이론 쥬라기 공원
과학동아
l
199602
최후 장면은 '카오스'를 잊게 만들기에 충분했다.하지만 현대과학의 자아비판이자
자기
반성으로 만들어진 '쥬라기 공원' 의 끔찍한 결말만은 두고두고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괴델의 불완정성의 원리괴델(Kurt Gödel: 1906-1978)은 논리학과 수학 기초이론을 확립한 미국의 수학자이자 논리학자다. 1931년 ... ...
1. 1백명 여론조사 KAIST 학생들의 천태만상
과학동아
l
199602
9명)에 이은 3위는 유명한 과학자들이 아닌 바로 자신의 지도교수(4명)였다. KAIST학생은
자기
가 존경하는 과학자 아래서 공부를 하고 있는 셈. 그 이외에도 우장춘 이휘소 장영실 하이젠베르크 호킹 등의 이름이 나왔다. 과학자 이외에서 가장 존경하는 사람으로는 부모님이 제일 많았다. 존경하는 ... ...
이전
327
328
329
330
331
332
333
334
3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