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뉴스
"
최초
"(으)로 총 6,392건 검색되었습니다.
에볼라-에이즈 치료제, 코로나로 표적 바꿔 ‘지름길 개발 전략’
2020.03.07
신속하게 신약 허가를 받고 널리 쓰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순조롭게 진행된다면
최초
의 코로나19 치료제가 4월에 나올 가능성도 있는 것이다. ○ 기존 치료제 활용한 ‘지름길 전략’ 렘데시비르의 사례는 새로운 감염병이 발생했을 때 이에 대항할 수 있는 치료제를 개발하는 새로운 경향을 ... ...
선진 의료시스템 갖춘 이탈리아서 코로나19 사망자 급증 이유는
연합뉴스
l
2020.03.05
우려를 산다. 이탈리아 치사율은 3.15%로 한국(0.59%)의 6배에 달한다. 바이러스
최초
출현지인 중국이 3.71%, 이란이 3.14%로 이탈리아와 비슷하게 형성된다. 하지만 중국의 경우 사망자가 무섭게 쏟아져나온 발병 초기와 이후의 치사율 간 편차가 크고 이란은 여전히 확진·사망자 통계의 정확성에 ... ...
지구에 날아온 운석으로 알아낸 화성 나이
과학동아
l
2020.03.05
한다. 그래서 올해 7월 발사될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화성 탐사선 ‘마스 2020’은
최초
로 지구로 가져올 화성 샘플을 채취하는 임무도 맡았다. 그런데 사실 지구에서 화성 암석을 만나는 방법이 한 가지 더 있다. 바로 화성에서부터 지구로 날아온 운석이다. 현재까지 지구에서 발견된 운석은 약 ... ...
"경증환자 집으로 돌려보냈다가 감염 확산"…'스페인 독감'이 '코로나19'에 주는 교훈
동아사이언스
l
2020.03.04
000만명을 최소한 사망에 이르게 만들었다. 스페인 독감은 당시 중립국이었던 스페인에서
최초
의 정확한 보고서가 나오면서 스페인 독감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2차 유행에 대해서도 주의해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스페인 독감이 유행하기 시작한 1918년 초에는 상황이 그렇게 나쁘지 않았다. ... ...
"30년 전 지구 떨어진 운석서 첫 '외계 단백질' 발견"
연합뉴스
l
2020.03.03
이는 질량과 항성과의 거리가 지구와 비슷한 행성 표면에서 생화학 반응을 촉발하는
최초
의 에너지원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헤모리딘을 함유한 운석이 지구처럼 생명체 거주 가능 영역 안에 있는 외계 행성에 떨어져 단백질을 전달함으로써 생명의 씨앗을 뿌리는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코로나19 치료제로 떠오른 에볼라 치료제
2020.03.03
긍정적으로 나오면 FDA의 승인 절차가 ‘패스트 트랙’으로 진행돼 상반기 중에 제가
최초
의 코로나19 치료제로 데뷔할지도 모르겠네요. 어쩌면 중국에서 먼저 승인이 날 수도 있습니다. 그때 어떤 예명(제품명)을 얻게 될지 궁금합니다. 에볼라 임상에서 쓴맛을 보고도 제가 또 김칫국부터 마시고 ... ...
[팩트체크]홍콩서 반려견 코로나 양성 발견됐다는데
동아사이언스
l
2020.03.02
없다고 보고 있다. 한국수의임상포럼은 지난달 28일 '코로나 19 확진 환자 반려견, 동물
최초
'양성' 보도에 대한 입장'을 통해 "감염된 보호자가 재채기 등의 분비물을 반려견에 묻힌 경우 면봉 등을 통한 반려견의 검체 채취 과정에서 보호자에게 배출된 바이러스가 단순 검출 되었을 가능성이 ... ...
[표지로 읽는 과학] 크리스퍼 유전자 교정, 암 정복 위한 '가위손'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3.01
증명하는 것”이라며 “이는 동시에 여러 유전자를 표적화할 수 있는 기술의 능력을
최초
로 확인한 것으로 과거 치료할 수 없었던 많은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 ...
[주말N수학]무증상 감염·슈퍼전파를 찾는 수학
수학동아
l
2020.03.01
양상을 마치 나뭇가지가 뻗어 나가는 것처럼 표현한 수학 모형이다. 이 모형에서는
최초
의 감염자로부터 발생하는 새로운 감염자들을 모두 자손으로 표현한다. 분기 프로세스의 핵심은 각각의 감염자로부터 발생하는 자손의 수를 나타낸 확률분포다. 이 모형에서는 한 명의 감염자가 평균적으로 ... ...
인류가 걷게 된 이유 "평발이 아니라서"
동아사이언스
l
2020.02.28
이런 구조가 발뼈의 진화 과정도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지금까지 연구를 살펴보면
최초
로 두 발로 걸은 인류 조상은 약 600만~700만 년 전에 등장했을 가능성이 높다. 현재의 중앙아프리카에 살던 사헬란트로푸스 차덴시스는 두개골에서 척수가 내려오는 연결점이 네 발로 걷는 동물처럼 두개골 ... ...
이전
326
327
328
329
330
331
332
333
3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