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능
활동
영향
효과
힘
작인
작업
뉴스
"
작용
"(으)로 총 4,765건 검색되었습니다.
무인잠수정·바다표범 빙하 연구 합동작전…축구장 3배 전파망원경이 우주비밀 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5
뒤 지구로 들어오는 태양 빛의 감소량과 온도 변화, 미세입자와 대기 중 화학물질의 상호
작용
을 관측할 예정이다. 지구공학을 실제 지구환경에서 실험하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진은 당초 올해 실험을 추진할 계획이었지만 실험 준비 등으로 1년가량 연기했다. ■ 대마초의 모든 것 밝힌다 ... ...
이온풍 항공기부터 드론 교통로까지,'항공 무식자'를 위한 최신 안내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8.12.25
공기를 뒤로 밀어내는데, 이 공기의 움직임이 ‘이온풍’입니다. 비행기는 이온풍의 반
작용
으로 앞으로 나아갑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이온풍 추진 비행기는 10초 간 60m를 날았습니다. 바레트 교수는 “이온풍 비행기는 연료를 사용하거나 배기가스를 만들지 않기 때문에 매우 ... ...
[표지로 읽는 과학] 2018년을 빛낸 획기적 연구 성과
동아사이언스
l
2018.12.22
단백질이 생성되는 과정을 ‘번역’이라 한다. 번역 과정을 시작하거나 멈추기 위해
작용
하는 물질 중 하나가 단일가닥의 염기로 이뤄진 RNA 전사체다. 발달 과정에서 생기는 RNA 전사체를 따라가면 무슨 세포로도 분화될 수 있었던 배아세포가 간이나 심장등 특정 조직의 세포로 운명이 결정되는 ... ...
개미떼처럼 스스로 무리를 이루는 로봇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1
대표적인 사례다. 동물들은 누군가의 통제 없이도 몇 가지 행동 원리로 동료와 상호
작용
하고 무리를 만든다. 2014년 미국 하버드대 연구진은 1024대로 구성된 군집로봇 ‘킬로봇’이 다른 로봇과 신호를 주고받으며 별 모양의 군집 구조를 이루는 실험을 진행했다. 당시 로봇들은 서로 간 거리를 ... ...
배아 발생 과정 동영상처럼 보는 기술, 올해 최고 과학 성과
2018.12.21
RNA 간섭은 아주 짧은 RNA 조각이 특정 유전자의 기능을 차단해 암 같은 질병을 억제하는
작용
을 의미한다. 이때의 짧은 RNA 조각을 간섭RNA(RNAi)라고 한다. 앤드루 파이어 미국 스탠퍼드대 약학과 교수와 크레이그 멜로 미국 매사추세츠대 의대 교수가 1998년 RNA 간섭 현상을 처음 밝혀내 2006년 노벨 ... ...
동물 사회도 지위 낮으면 건강이 좋지 않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0
유전자가 더 많이 발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암컷의 경우에는 서열에 따른 유전자
작용
에 큰 차이가 없었다. 연구진은 “염증 관련 유전자가 서열이 높을수록 활발해지는 것은 수컷 개코원숭이의 힘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한다”며 “서열이 높은 수컷은 힘이 세고 이 힘이 유전자의 ... ...
메뚜기 점프원리 규명·아이언맨 소재 발굴…美육군 과학자들이 뽑은 연구 10選
동아사이언스
l
2018.12.20
있다. 광자가 공기나 광섬유를 통과하면서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유령같은 원격
작용
으로 불렀던 '양자얽힘' 원리를 이용해 정보를 전달하는 이 기술은 정보가 중간에 새어나는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에 군 통신에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상하고 있다. 미 육군연구소도 ... ...
접착력 강하고 고통없이 떨어지는 반창고용 접착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8
상호
작용
이 접착 면에서 이뤄져야 하지만 인체 조직이나 하이드로겔에선 이들 힘이
작용
하지 않는다. 과학자들은 화학적인 방식으로 부착력을 높이는 기술을 내놨지만 이번에는 사용후가 문제로 나타났다. 피부에 붙인 반창고나 웨어러블 기기들을 사용한 뒤 떼어내면 고통을 주거나 다시 ... ...
[표지로 읽는 과학]정신질환 환자 뇌세포에 나타난 유전적 변화 흔적
동아사이언스
l
2018.12.18
’ 국제 컨소시엄은 정신질환을 앓는 성인의 뇌에서 일어나는 분자 간 유전적 상호
작용
과 이에 따른 신경유전학적, 후성유전학적 변화를 밝혀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우리 뇌는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인지기능을 하지만 이런 뇌 때문에 인간은 다른 생물 종에 비해 정신질환에 빠질 ... ...
세포 속 액체방울로 게놈 조절 가능해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7
캐스드롭 기술의 개념도(왼쪽 위)와 액체상 응집체와 유전체의 역학적 상호
작용
을 나타낸 그림. - 사진 제공 서울대 공대 물에 기름을 떨어 ... 수정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신 교수는 “유전체와 액체 방울 응집체 사이의 상호
작용
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도구로 활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이전
326
327
328
329
330
331
332
333
3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