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뻥! 지구에 거대한 구멍이 뚫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0호
- 이 작은 언덕 위에서 다이아몬드가 발견되면서 몇 개월 만에 약 30,000명의 사람들이 모여 100m 깊이의 굴을 팠다.하지만 아직 생성 원인이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싱크홀도 많아. 일부 싱크홀은 지하 공간이 무너져서 생겼다고 하기엔 구멍이 너무 완벽한 원형이라는 점도 논란 거리지. 갑자기 꺼지는 ... ...
- 과학으로 하이킥! 애니메이션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0호
- 우리나라 최초로 영상 분야 교육을 특성화한 학교예요. 2000년 개교이 후 매년 약 100명의 애니메이션 전문 인력을 배출하고 있지요. 졸업한 학생들은 대학교의시각디자인과, 멀티미디어과, 컴퓨터공학과 등으로 진학하기도 하고, 애니메이터나 캐릭터디자이너 등 만화·영상 관련 업계로 바로 ... ...
- 진실 둘! 1등이 10명씩 10번 나와도 이상한 일 아니다!수학동아 l2011년 10호
- : 1949년 이재민 구호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발행한 복권이 후생복표다. 1등 상금은 100만 원이었다.③ 애국복권 : 산업 및 복지 자금을 마련할 목적으로 1956년 발행한 복권이다.④ 주택복권 : 정기발행복권의 시초다. 1등 당첨금은 300만 원이었고 매회 50만 장씩 발행했다.세계 최고의 행운녀, 로또 4번 ... ...
- [수학클리닉] 확률 정복하기!수학동아 l2011년 10호
- 100번 도전했을 때 적어도 1번 이상 성공할 확률을 구해보면 아마 깜짝 놀랄 거예요. 1 - 0.99100≒0.63, 즉 63%나 되거든요. 다들 조금씩 힘내서 포기하지 말고 꾸준히 노력해서 이번 중간고사엔 좋은 성적을 기대해보자고요!도전! 특별한 수학문제 만들기권영기 선생님은 수학이란 학생들과 소통하는 ... ...
- 인간단백질 백과사전 만든다과학동아 l2011년 10호
- 강조했다.학회장에서 숙소로 돌아오는 길에 끝없이 펼쳐진 레만호수와 마주쳤다. 둘레가 100km를 넘는 거대한 호수로 유럽(러시아 제외)에서 가장 큰 규모다. 에메랄드 색 맑은 물빛은 한낮의 햇빛을 받아 더욱 반짝이며 자태를 뽐냈다. 멀리 보이는 알프스에서 내려온 바람도 호수 빛을 닮아 ... ...
- 포물선을 그리며 날아가는 것들… 신기전 vs ANGRY BIRDS수학동아 l2011년 10호
- 동안 명나라는 수적 우세를 차지하기 위해 여진과 합세하는 작전을 펼친다. 결국 100여 명밖에 되지 않는 조선군과 수천 명의 명나라 연합군이 맞서는 상황에 이른다. 누가 봐도 연합군이 우세한 상황. 하지만 조선군은 물러서지 않고 당당히 맞선다. 수백발의 불화살을 하늘에 쏘아 올리며…. 여러 ... ...
- [Sports Math] 규칙을 담은 춤, 댄스스포츠수학동아 l2011년 10호
- 이상 계속 춤을 춰야 효과가 나타난다.댄스스포츠는 스텝이 기본 동작이다. 1분에 적어도 100걸음에서 빠르면 300걸음까지 스텝을 밟는다. 1시간 정도 스텝만 밟아도 밥 한 공기의 열량이 넘는 300~500kcal의 에너지를 소비한다. 댄스스포츠 10개 종목의 운동 강도는 어떻게 될까? 운동 강도는 일반적으로 ... ...
- 영화 순식간에 내려받는 황금 주파수과학동아 l2011년 10호
- 주파수를 내걸었다. 800MHz 부근에서 10MHz를, 1.8GHz 부근에서 20MHz의 전파를, 그리고 2.1GHz(2100MHz)에서 20MHz의 전파를 내놨다.KT는 4G 이동통신망을 위해 1.8GHz 주파수를 추가로 확보하려 했지만 경매가 너무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결국 입찰을 중단했다. 그 결과 20MHz 대역의 1.8GHz 주파수는 ...
- 귀금속의 고향은 우주?과학동아 l2011년 10호
- 비교했다.그 결과 약 39억 년 전 지층의 텅스텐182 비율이 현재 지층의 비율보다 13ppm(100만 분의 13) 정도 높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38억 년 전 지구에 많은 운석이 떨어졌던 시기가 있었으므로, 이 무렵은 운석이 떨어지기 직전이다. 연구팀은 운석의 텅스텐182 비율이 지표의 암석보다 낮다는 사실을 ... ...
- 촉촉한 똥은 애벌레가 있는 곳을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11년 10호
- 식흔)뿐만 아니라 주변에 떨어진 배설물을 보고 찾을 수 있다. 물기 있는 촉촉한 똥은 100%다. 산누에나방과, 솔나방과나 박각시과 같은 대형종의 애벌레 배설물은 지름이 7~10mm나 된다. 배설물은 애벌레가 살고 있다는 분명한 표식이므로 주의를 기울이면 애벌레를 쉽게 발견할 수 있다.명주실로 한데 ... ...
이전3263273283293303313323333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