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나"(으)로 총 13,944건 검색되었습니다.
- [초고층빌딩] 불에 타도 끄떡없는 기둥 세워야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빌딩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엘리베이터가 연기가 이동하는 굴뚝이 되기 때문이다. 30층에 하나씩 설계된 피난층에서 구조대원을 기다리는 것이 정석이다. 그러나 예외가 있다. 가령 구조대원이 고층까지 이동해야 하는 경우다. 피난층에 불이 난 경우에도 다른 피난층으로 급히 이동해야 한다. 이를 ... ...
- [종목1] 스피드스케이팅, 0.1초 단축 위해 찰나의 순간 분석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그림을 따라 그리면 그림의 윤곽만 남는 것과 유사하다. 이렇게 재구성한 각 프레임을 하나의 좌표 공간 속에 동시에 나타내면 시간에 따라 움직이는 선수의 동작을 점과 선 형태로 파악할 수 있다. 선수의 관절 각도와 주행 경로 등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를 영상 수치화 ... ...
- [규정] 도핑 ZERO ‘클린 올림픽’ 만든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종목에 분야를 가리지 않고 쓰인다. EPO 분석은 여러 개의 항체를 이용하는데, 시료 하나를 분석하는 데 3일씩 걸린다. DCC는 이번 평창 동계올림픽을 위해 ‘유전자 도핑’을 테스트하는 기술도 준비해왔다. 유전자 도핑은 유전자 교정 기술인 ‘크리스퍼’를 이용해 근육량이나 순발력, 지구력 등을 ... ...
- [Culture] 기계공학자의 눈으로 본 라테, 위스키 그리고 와인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간단한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칵테일에 층을 만들 때 서로 다른 밀도를 가진 액체를 하나씩 조심스럽게 쌓는 것처럼, 현재의 공정에서는 한 가지 물질을 붓고 굳힌 뒤, 다른 물질을 붓고 굳히는 작업을 반복한다. 제작 효율이 떨어진다. 그러나 레이어드 라테의 원리를 이용하면 층층이 경도(hardness ... ...
- [Culture] 계란과 고기 단백질의 결착력, 생선전 & 동그랑땡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과 결합하고, 반죽으로 빠져나와 찰기를 만들기 때문입니다. 동그랑땡을 만들 때 팁이 하나 더 있습니다. 고기 반죽에 계란을 넣는 것입니다. 그러면 계란 단백질 특유의 끈적거리는 점성으로 단백질끼리 결착하면서 반죽이 더욱 끈끈해집니다. 물론 동그랑땡도 훨씬 단단하고 맛있어집니다 ... ...
- [Issue] 최저임금 인상, 경제에 어떤 영향 미칠까?과학동아 l2018년 02호
- 펜실베이니아 주)점에 주목했다. 지도를 보면 두 주의 인접한 지역은 델러웨어 강 하나를 사이에 두고 있다(위 그림). 최저임금 인상이 기업과 근로자들에게 아주 큰 영향을 미친다면, 최저임금이 인상된 뉴저지 주로 펜실베이니아 주의 근로자들이 이동해야 한다. 그리고 그 대신 뉴저지 주의 영세 ... ...
- Part 2. 수학적으로 만드는 눈결정의 비밀수학동아 l2018년 02호
- 눈결정은 다양한 모양으로 자라난다. 어떻게 이렇게 다양한 모습이 되는 걸까? 그 비밀을 하나씩 파헤쳐 보자. 구름 속에서 눈이 생기려면 얼음의 핵이 되는 아주 작은 먼지 입자가 필요하다. 이런 핵이 없다면 영하의 온도이고 공기 중에 물이 풍부하더라도 눈이 되기 어렵다. 대부분의 먼지 입자는 ... ...
- [2018 태국탐사대] 우리는 느리게 걷자수학동아 l2018년 02호
- 또 다른 농장 ‘타이거랜드’에서 탐사대는 쌀 껍질을 깠습니다. 태국의 고산족 중 하나인 카렌족이자 농장의 주인인 크리스가 방법을 가르쳐줬지요. 크리스는 카렌족 양식으로 지은 집에서 농장과 게스트하우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곳에 머무는 사람은 아침에 일어나 닭에게 모이를 주고 ... ...
- [필즈상 미리보기] 혜성처럼 나타나 단숨에 필즈상 후보!수학동아 l2018년 02호
- 합니다. 너무나도 평범해서 기억에 남는 일이 없었던 거지요. 단지 친한 교수의 제자 중 하나로만 여겼답니다. 그랬던 비아조프스카 교수가 케플러 추측을 풀었다고 들었을 때는 정말 깜짝 놀랐다고 밝혔습니다. 비아조프스카 교수는 언론 인터뷰를 한 적도 거의 없고, 어린 시절 ... ...
- Part 3. 로봇의 시대, 엄마로 산다는 것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날씨 등 데이터를 분석하는 기사만 쓰더니 요즘엔 기사의 90%를 로봇이 작성한다. 기사 하나를 작성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평균 1초. 양으로 덤벼오는 로봇 기자 앞에서 질만으로 승부하기엔 한계가 있다. 함께 입사한 동기들의 절반 가량이 다른 분야로 떠났다. 권 씨는 한산해진 사무실을 둘러보며 ... ...
이전3263273283293303313323333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