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상
추측
가상
몽상
구상
팬시
허구
d라이브러리
"
상상
"(으)로 총 3,427건 검색되었습니다.
국제수학올림피아드출전팀 수학공부의 요령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방법이 있읍니다. 해결되지 않은 수학의 정리들을 찾아보려고 노력하다 보면 무한한
상상
의 세계가 펼쳐집니다.예를 들면 ${X}^{n}$+${Y}^{n}$=${Z}^{n}$을 만족하는 3이상의 정수는 없다는 훼르마정리, 모든 4이상의 짝수는 솟수로 나타낼 수 있다는 골드바하의 추측등을 직접 풀어보는 것입니다. 저는 ... ...
국방과학에 활용되는 전문가 시스팀 리얼타임! 작전명령!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많은 사람들은 언젠가는 로봇이 전투의 주인공이 되는 무인전쟁의 시대가 오리라고
상상
한다. 그러나 전투능력을 가진 로봇의 의지를 심어주는 주체가 바로 사람이라는 사실, 그리고 실제 전투상황은 냉방기가 돌아가는 깨끗하고 쾌적한 연구실이나 사무실의 환경과는 전혀 다르다는 사실을 ... ...
「누가먼저?」의 논쟁 "내가 이룩한 것을 가로채려 하다니…
과학동아
l
1988년 07호
당대 일류 과학자들의 공명심이 적나라하게 표출되어 있다. 따라서 고고하게만
상상
되던 과학자상(像)에 큰 회의를 던져주기에 충분했다. 아뭏든 '이중나선'은 과학적 발견에서 우선권이란 어떤 것이며 얼마만큼 중요한 것인가를 아주 잘 보여준 것이었다.과학사를 더듬어 보면 과학적 발견에서 ... ...
연세대 심장내과 이웅구 교수 심장의 승모판막 협착증을 풍선으로 풀다
과학동아
l
1988년 07호
수도 있을텐데요."대개 3차례 풍선을 오무렸다 폈다 합니다. 물론 다시 좁혀지는 경우도
상상
할 수 있어요. 그래서 발표를 꺼렸어요. 좀더 두고 보려고…. 하지만 아직은 별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았어요. 외국 문헌을 찾아봐도 괜찮은 것으로 돼 있죠"-풍선요법은 사용하는 계기가 됐던 승모판막 ... ...
여름밤 별자리 찾아보기 우주의 신비에 빠져드는 즐거움
과학동아
l
1988년 07호
들판이나 해안의 모래 사장에 누어 있는 것 보다는 여름밤하늘의 별자리를 더듬어 보며
상상
의 날개를 펴는 것이 더 보람이 클 것이다. 별들과의 대화를 나눠보는 것도 마음의 양식을 얻는데 크나 큰 도움이 된다 ... ...
경영합리화의 맥-MIS 미래의 기업 성패는 「정보력」으로
과학동아
l
1988년 07호
비용뭉치가 되어버린다. 예를들어, 피지의 원주민들에게 최고급 빌라를 지어주었다고
상상
해 보라. 시스팀 사용자들에게 정보시스팀을 활용해서 최종소비자가 원하는 상품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렇게 하려면 이들에게 정보시스팀 중심형 경영방법을 비롯한 각종 정보기술 이용법을 ... ...
컴퓨터 바이러스 백신 개발 미리 예방주사를!
과학동아
l
1988년 07호
컴퓨터사용자에게 바이러스공포는 이제 더이상
상상
의 영역이 아니다. 우리나라에도 상륙한 컴퓨터바이러스. 이에 대한 대비책이 다각도로 마련 ... 사용하고 주(主)디스크의 복사자와 생산자를 제한한다든가 하면 컴퓨터 바이러스가
상상
하던 것처럼 공포의 대상은 아니다"라고 강조한다 ... ...
PART Ⅵ 섬유산업과 기술개발 고기능 섬유를 찾아
과학동아
l
1988년 07호
오늘날의 산업기술은 정밀화학 유전공학 컴퓨터공학 위성통신 등 많은 분야에 걸쳐서
상상
을 초월할 정도로 급속히 발달되고 있다. 이들은 어디까지나 과학자들의 창조적기능에 바탕을 두고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고 섬유기술에서도 이러한 맥락에 의한 제3기의 혁명적기술이 전개되어야 ... ...
컴퓨터에세이① 인공지능은 바벨탑인가
과학동아
l
1988년 07호
현대 문명을 도와 주기는 하되 철저하게 어려운 기계로 인식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상
해 보라. 그어린 아이가 자신이 어렸을 때 부터 터득한 언어를 이용해 컴퓨터에게 물어보고 컴퓨터는 친절히 어린 학생이 알아들을수 있는 말로 대답할 수 있다면, 얼마나 편리할 것인가. 컴퓨터를 끄고 켜는 ... ...
한국 표준 연구소장 이충희
과학동아
l
1988년 06호
된닫고 할 수 있다. 1m의 길이가 달라서, 1kg의 무게가 정해있지 않아 겪는 혼란은 쉽게
상상
이 간다. 더군다나 1μ(${10}^{-3}$mm) 이하의 정밀도가,반도체를 비롯 모든 제품에 요구되다시피 하는 요즘과 같은 과학기술시대에는 표준제도에 의한 정밀측정 능력이 더욱 중요하다 하겠다. 최근 새로이 ... ...
이전
326
327
328
329
330
331
332
333
3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