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진"(으)로 총 7,556건 검색되었습니다.
- 에펠탑 보면 떠오르는 와인은?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짐작이 되시죠?소금 뿌린 수박이 더 달다시각이 맛에 주는 영향은 정말 큽니다. 에펠탑 사진만 봐도 프랑스 와인을 마시잖아요. 아레스와 델리자 라는 두 명의 과학자가 한 연구를 볼게요. 똑같은 푸딩 을 동그란 용기와 각진 용기에 따로 넣어서 먹게 했대 요. 어느 쪽이 더 맛있게 느껴질지 다들 ... ...
- “미래의 모든 산업을 이끌어갈 기초과학”과학동아 l2015년 06호
- Q 재료공학을 전공하게 된 계기는.대학에 진학할 때 아버지 지인이 공학 분야에 계셨는데, 그 분으로부터 재료공학을 공부하라는 추천을 받았어요. 사실 당시엔 재료공학보다 다른 전공들이 더 주목을 많이 받던 시기였어요. 그런데도 재료공학을 추천하신 건 아마 모든 학문의 기초라고 생각하셨 ... ...
- 연꽃과 도마뱀 키우는 기계공학자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쓰레기장에서 다 죽어가는 연꽃을 찾아온 정 교수는 전자현미경으로 마지막 연꽃 사진을 찍었다고 한다.이런 연구철학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학생들에 게도 실험실에만 있지 말고 밖으로 나가 곤충이든, 식 물이든 자연을 눈으로 보라고 말한다. 사정이 안 된다 면 앉아서 다큐멘터리나 잡지를 ... ...
- 조곤조곤 풀어보는 문화재의 수수께끼 ④ 조선 왕릉 연구의 기틀을 닦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과정이 결코 쉽지는 않았습니 다. 제대로 된 사진이 없어서 먼저 사진 촬영부터 했습니다.사진도 부족한 마당이니, 왕릉을 구성하는 문 화재 하나하나에 대한 정밀한 측정 자료가 있을 리 만무했습니다. 도면은 말할 것도 없었습니다. 그래서 3D 스캔 기술을 이용해 능의 세부를 샅샅이 실측했 습니다. ... ...
- 우주를 향해 크게, 더 크게! 거대망원경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하룻밤에 카메라에 담기는 데이터의 분량은 무려 15TB(테라바이트)! 다시 말해 천체사진으로 꽉 찬 1TB짜리 하드디스크 15개가 매일 밤 쏟아져 나오는 거예요. 게다가 이 데이터는 찍는 즉시 전세계에 무료로 공개될 예정이에요. 집에 가만히 앉아서도 우주 지도를 볼 수 있는 거지요. LSST의 촬영 기록은 ... ...
- [지식] 무엇이든 붙여 드립니다~!수학동아 l2015년 06호
- 진짜 아끼던 컵 손잡이가 깨졌을 때, 지갑이 찢어졌을 때, 우린 모두 ‘이것’을 찾는다. ‘이것’만 있으면 감쪽같이 원래대로 물건의 상태를 돌려놓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플라스틱을 연구하던 화학자로부터 우연히 탄생하게 된다.‘대체 이게 무슨 일이지?’열이나 압력을 주지 않았 ... ...
- [생활] 1000년의 역사 앙코르 와트 신화 속으로 떠난 신비한 숫자 여행수학동아 l2015년 06호
- 힌두교 신화와 부처의 가르침이 함께 살아 숨 쉬는 신비의 땅 캄보디아에는 1000년의 세월을 버텨온 앙코르 시대의 유적이 많이 남아 있습니다. 우리에게 잘 알려진 앙코르 와트를 비롯해 앙코르 톰, 타 프롬, 반테이 스레이 등 유적 1000여 개가 수백 km에 걸쳐 흩어져 있지요.해마다 300만 명 이상의 ... ...
- 자연이 빚은 아름다운 광물이 가득! 민자연사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기자단은 본격적으로 취재를 시작했어요. 연구소를 구석구석 돌아다니며 광물을 보고, 사진을 찍으며 궁금한 것을 물었지요.특히 기자들이 가장 관심을 가진 광물은 ‘바위 수정(Rock Crystal)’이라는 별명을 가진 커다란 석영이었어요. 석영은 이산화규소(SiO2)로 이루어진 광물이에요. 일반적으로 ... ...
- [수학뉴스] 사람의 신체 나이, 3차원 사진으로 분석!수학동아 l2015년 05호
- 이번 연구를 이끈 한징동 중국과학아카데미 컴퓨터생물학과 교수는 “3차원 얼굴 사진 분석은 혈액 분석보다 신체 나이를 더 정확하게 알아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앞으로 이 모델은 환자의 신체 나이를 분석해, 노화 정도에 따라 치료법을 다르게 하는 맞춤형 치료에 도움이 ... ...
- [가상 인터뷰] 수학으로 설명하는 바닷가재의 헤엄수학동아 l2015년 05호
- 최근 미국의 캘리포니아대 수학과 티모시 루이스 교수는 바닷가재나 새우 같은 갑각류가 파도타기꼴로 헤엄을 친다는 사실을 알아냈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습니다. 허우적이는 줄 알았던 바닷가재의 헤엄 방법에 수학 원리가 있다니 신기하지요? 실험에 참 ... ...
이전3263273283293303313323333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