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깥
외부
노천
겉
표면
야외
옥외
d라이브러리
"
밖
"(으)로 총 5,740건 검색되었습니다.
빛을 조작하는 자연의 나노기술 광결정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빛을 1백% 반사한다. 역으로 생각하면 광결정 내부에 공간을 만들어 그 빛을 발생시키면
밖
으로 새나가지 않게 가둘 수 있다. 이 공간에 여러 갈래의 길을 내면 빛이 그 통로를 따라 이동하는 광집적회로를 만들 수 있다.이런 아이디어를 갖고 있던 미국 벨연구소의 물리학자 엘리 야블로노비치는 199 ... ...
조류에서 인간으로 온 독감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거대한 습곡산맥이나 해구, 호상열도 등이 발달하고 화산과 지진이 활발하다블랙홀 안과
밖
의 경계를 말한다 빛이나 물질이 사건의 지평선에 다다르면 더 이상 빠져나오지 못한다 그래서 사건의 지평선 안쪽은 보이지 않는다물질은 소용돌이처럼 블랙홀로 빨려 들어간다 이때 속도가 점점 빨라지고 ... ...
50광년
밖
다이아몬드 별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지름이 4천km인 다이아몬드 별이 발견됐다.미국 하버드-스미스소니언 천체물리학센터의 천문학자들은 내부(핵 부분)가 다이아몬드와 같은 탄소 결정체로 구성된 백색왜성을 발견했다고 2월 13일 발표했다.이 별은 지구에서 50광년 정도 떨어진 켄타우르스자리에 있다. 백색왜성은 태양 정도 크기의 ... ...
제주서 5만년 전 사람 발자국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구석기인의 발자국 화석은 아시아에서 발견된 적이 없으며 전세계적으로도 6개국
밖
에 없을 정도로 아주 희귀하다. 제주 발자국 화석이 한반도에서 인류의 초기 활동을 연구하는데 신기원을 이룰 귀중한 자료로 큰 기대를 모으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김 교수는 “사람 발자국은 21-25cm 정도로, ... ...
미래에너지 수소 생산에 원자력이 돌파구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유출되는 냉각재상실사고다. 냉각재가 사라지면 핵반응로에서 핵분열로 생기는 열이
밖
으로 빠지지 못하고 갇혀버리기 때문이다.하지만 가스식 원자로의 경우에는 가스가 유출되더라도 핵반응로의 온도는 이전의 시스템처럼 높아지지 않는다. 그 까닭은 가스식에서는 핵연료봉으로 금속 대신 ... ...
나노기술 미래의 시한폭탄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기도를 막으면서 질식사했고 나머지 쥐들은 기침을 통해 탄소나노튜브 덩어리를
밖
으로 내뱉어 정상으로 되돌아왔다는 것이다. 결국 탄소나노튜브가 폐에 독성을 가졌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의미다.상반되는 두 연구결과를 갖고 나노입자가 인체에 유해하다 그렇지 않다를 판단하기는 아직 섣부른 ... ...
로켓 공격도 막아주는 첨단 방탄차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노면의 미세한 충격을 없애지 못하는 것이다. 또 방탄유리가 워낙 두껍기 때문에
밖
을 내다보기도 수월치 않다. 하지만 지도자 보호라는 측면에서는 탁월한 능력을 자랑하고 있다. 한 예로 1998년 그루지야 전 대통령 예두아르트 셰바드드나제는 10여명의 무장괴한으로부터 로켓무기까지 동원한 ... ...
UN, 남극 개발붐 경고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에 레이더 마스트(돛대 모양의 기둥)가 있다 수면 가까이 부상해서 마스트를 올려서 물
밖
에 내어 사용한다 잠수함은 물 속에서 주로 활동하므로 수상함정에 비해 중요성이 크지 않다함교에 있는 ESM은 적이 레이더로 탐지하고자 할 때 이를 미리 발견해 잠수함이 수중으로 회피할 수 있게 해주는 ... ...
열대 곤충과 함께한 6일간의 정글 탐험 리포트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외골격으로 싸여있다. 몸을 만지면 이내 움츠리며 둥글게 말아 꿈쩍하지 않는다.그
밖
에도 식당이나 숙소 어귀에 어김없이 나타나는 도마뱀들과 도둑고양이만큼이나 흔하게 돌아다니는 원숭이들은 이곳이 정글임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 준다.정글 탐험을 하는 6일 동안에는 우기의 끝자락임을 알리듯 ... ...
스트레스는 공포의 기억을 부활시킨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같은 반응을 기억하게 되는 것이다. 밤에 여러번 강도를 만난 사람이 백주대낮에도 집
밖
을 나서면 무서워하는 이유도 이 때문으로 추측된다. 편도체와 해마 사이의 정보소통이 과도해지면 신경세포가 죽거나 새로운 신경세포의 생성이 억제돼 인지기능이 떨어지기도 한다.스트레스 자체를 없앨 수 ... ...
이전
326
327
328
329
330
331
332
333
3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