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최후
최종
결말
대단원
궁극
막바지
d라이브러리
"
마지막
"(으)로 총 4,317건 검색되었습니다.
보물 찾아 떠나는 거울나라 여행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순간 이들 앞에 지난 가을에 만났던 도인이 등장한다. 그리고는 보물의 방으로 가기 위해
마지막
으로 방문 앞에 있는 반짝이는 물체를 수없이 많이 보이도록 하는 장치를 만들라고 하고서는 사라진다. 그 순간 다음의 물건이 모험이와 슬기 앞에 놓여진다.왜 그럴까?!어드벤처 3에서 만든 결과물은 ... ...
1. 최초의 소행성 세레스 발견의 비화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알리려 했는데, 바로 그 시기에 피아치의 발견이 이뤄졌던 것이다.결국 폰 자크는 12월
마지막
날 밤에 가우스가 정확히 예측했던 지점에서 문제의 천체를 다시 만날 수 있었다. 피아치가 처음 발견한지 1년만이었다. 물론 화성과 목성 사이에, 티티우스-보데 법칙이 예측하는 그곳에 위치한 미지의 ... ...
2. 멋진 신세계 앞당긴 신기술 삼총사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개인정보는 마치 채팅방에서 주민등록번호를 띄우는 것과 같다는 단점을 극복해야 한다.
마지막
으로 높은 배터리 소모율을 낮춰야 휴대용 배터리를 사용하는 무선기기에 적용시키는데 무리가 없다.그러나 이런 걸림돌은 블루투스에 대한 업체들의 관심, 개발노력 등에 견주면 사소하게 여겨진다. ... ...
2. 20대 박사 양성하는 과학영재교육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될 것입니다>'라고.그러나 일반 교과서에는 없는 내용이 있다. 수재용 과학 교과서
마지막
부분에 포함돼 있는 실험이 그것이다. 실험교육이 제1고등중학교에서만 이뤄지는 것이다. 이들 학교는 현대적인 과학실험 기구실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이다.이렇게 교육받은 제1고등중학교 졸업생은 ... ...
궁정화가 벨라스케스의 시녀들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아니면 막 시작하는 순간일까? 마무리 단계라면, 다 그린 그림에다 가느다란 붓을 가지고
마지막
손질을 하고 있을테고, 시작 단계라면 커다란 그림 크기에 걸맞게 시원한 구성을 짜는 자세다. 서너 걸음쯤 뒤로 물러나서 재현대상들의 비례 관계와 공간적 좌표를 가늠하려는 동작으로도 읽을 수 ... ...
러시아 우주정거장 미르 최후의 임무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수상은 “미르를 호주 동쪽 1천5백-2천km의 태평양에 폐기한다”고 발표하면, “
마지막
비행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러시아의 의무”라고 밝혔다.우주 공간에 떠있는 위성체는 바깥으로 뛰쳐나가려는 원심력과 지구에서 끌어당기는 중력이 평형인 상태에서 궤도를 유지한다. 그러나 시간이 ... ...
좀생이별이 들러리 선 거대행성 목성과 토성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쌍안경이나 작은 망원경으로 이들의 멋진 모습을 만나보자.사실상 20세기를 마감하는
마지막
달이 됐다. 지난 연말에는 20세기의 마감이라고 전세계적으로 떠들썩했던 것으로 기억된다. 하지만 우리가 쓰는 태양역법을 제대로 이해한다면 2001년이 새천년의 시작이다. 어떻게 보면 다시금 한세기를 ... ...
세계7대 불가사의 탄생 과정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글을 발견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원고는 겨우 여섯장에 지나지 않는 짧은 글인데다
마지막
부분도 사라지고 없었다.그때까지 세계의 불가사의에 대해 많은 학자들이 단편적으로는 거론했지만 필론의 세계 7대 불가사의처럼 종합적으로 설명한 것은 없었다. 필론은 많은 책을 저술한 작가로서 ... ...
냄새의 신비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부를때엔 좋아하는 음식의 냄새도 역겹게 느껴지던 경험을 떠올려보면 쉽게 이해가 된다.
마지막
으로 한가지 냄새라도 농도가 달라지면 느낌이 다르다는데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산림에 존재하는 오존을 떠올려보자. 낮은 농도의 오존은 신선함과 상쾌함을 전달하지만, 공기 중에 다량으로 ... ...
복제 들소 '노아' 탄생임박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단지 한마리의 개체를 만들어낸 것에 불과하고 다시 번성할 가능성은 없다. 부카르도의
마지막
개체는 성염색체가 XX인 암컷이었는데, ACT의 과학자들은 수컷 개체(성염색체 XY)를 만드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이들은 부카르도의 세포에서 X염색체를 하나 제거하고 부카르도와 가장 가까운 종의 ... ...
이전
326
327
328
329
330
331
332
333
3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