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때"(으)로 총 22,310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숫자로 본 고갱과 르누아르 풍경화의 공통점수학동아 l2020년 12호
- 그림을 수직이나 수평으로 나누는 알고리듬으로 작품을 분석했습니다. 특히 그림을 나눌 때 각각의 길이를 a, b라 하고, a+b로 a를 나눈 값을 ‘화면 분할 비율’로 정의했습니다. 분석 결과 전체 작품의 화면 분할 비율은 시대별로 비슷한 값을 나타냈습니다. 17세기에는 수평선의 위치가 위에서부터 ... ...
- 알아두면 쓸모 있는~ 수학동아 알차게 보는 꿀팁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쓰이는지 알아보세요. 그러다 보면 수학적으로 더 공부하고 싶은 분야가 생길 거고, 그때 구체적인 목표를 세우면 돼요. Q 수학자는 공식을 만드는 일까지만 하나요? 그 이상까지 나아가나요?_신준용 멘토순수수학자냐 응용수학자냐에 따라 다른데요, 순수수학과 응용수학의 경계가 점점 ... ...
- [기획] 놓치고 가면 섭섭한 2020 수학 이슈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입장입니다.ABC추측은 1 이외의 공약수가 없는 서로소인 A, B, C가 A+B=C의 관계를 만족할 때 세 수의 소인수의 곱에 0에 가까운 작은 양수를 더한 수는 언제나 C보다 크다는 내용입니다. ABC추측은 1985년 영국 수학자 데이비드 매서가 처음 제시했는데, 증명할 경우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쉽게 ... ...
- [별헤는수학] 우리가 그린 나선이 블랙홀 연구를 돕는다!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지구에서 바라본 우주의 은하들은 이렇게 위치에 따라 촬영 각도가 제각각이기 때문에 원에 가까운 모습으로 변환해야 나선을 확인하고 그리기 편합니다.이 사진에 시민천문학자가 나선팔의 자취를 그리면 그림과 자취를 분리한 뒤 여러 사람이 그린 나선팔 그림을 합성합니다. 그런 뒤 피치 각을 ... ...
- [퍼즐라이프] 해법 없이도 해결! 루빅스 큐브수학동아 l2020년 12호
- 큐브의 상태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a와 b의 움직임을 a′과 b′이 상쇄하기 때문입니다.하지만 a와 b가 이동시키는 영역이 겹치는 순간 커뮤테이터 공식은 마법의 도구가 됩니다. a와 b, a′과 b′ 공식이 함께 적용되는 조각은 위치가 바뀌고 그 외의 조각은 원래대로 돌아오거든요.이 ... ...
- [한페이지 뉴스] 물고기, ‘칼군무’로 에너지 비축한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촉각기관(측선)으로 서로의 움직임을 확인한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금붕어가 헤엄칠 때에도 뒤따라가는 물고기가 앞서가는 물고기가 만든 소용돌이에 움직임을 맞추는지 확인했다. 그 결과, 금붕어들은 앞서간 금붕어가 만들어낸 소용돌이에 따라 움직임을 조절해 에너지를 최대 15% 절약할 수 ... ...
- 손난로 유니버스, 최강자를 가려보자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넣어 산화 반응이 빠르게 일어나도록 합니다. 실험을 마치고 나니, 온도를 측정할 때 썼던 온도계에도 녹이 슬어 있었습니다. 소금과 활성탄이 정말 ‘열일’한 모양입니다. 과산화수소 분해열 이용하는 채소 손난로 흔들이 손난로에 대항하는 신흥 강자는 바로 채소 손난로입니다. 흔들이 ... ...
- [긱블 X 과학동아] 올해 최고의 메이커는 누구?!과학동아 l2020년 12호
- 프린팅 출력물에 스톤 스프레이를 도색하면 보기에만 얼룩덜룩 돌 모양이 아니라 만졌을 때 질감도 돌과 비슷해집니다. 천장에는 LED, 밑바닥에는 LED 빛을 반사할 거울을 달았습니다. 어두운 곳에 LED 조명을 켜면 위아래서 나오는 화려한 조명이 본존불을 감쌉니다. 동찬 님은 “우리나라에 있는 ... ...
- [인터뷰] 꿈의 에너지에서 현실의 에너지로 "선진 기술로 핵융합 상용화 주도할 것"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에너지는 2050년대 상용화를 계획하고 있어 앞으로 30년이 남아 있는 상황입니다. 그때가 된다면 현재 핵융합 연구자들은 연구현장에서 물러나고 새로운 세대가 주도적인 역할을 할 것입니다. 그들이 바로 현재 청소년들이죠. 지금까지 선배 연구자들이 이뤄낸 성과를 바탕으로, 핵융합 에너지의 ... ...
- 세계 상위 0.1% AI 고수를 만나다 “데이터가 있는 곳이면 어디든, AI가 있습니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내 시야를 항상 SOTA(State Of The Art)로 만드세요.”인공지능(AI) 전문가답게 AI 분야에서 ‘현재 최고 수준’을 뜻할 때 많이 사용하는 SOTA라는 단어가 흘 ... 것을 AI로 풀어 보는 거죠. 물론 다 잘 되진 않겠지만, 더 진보할 수 있는 것들이 많기 때문에 수많은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고 봅니다 ... ...
이전3263273283293303313323333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