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건"(으)로 총 6,550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좀비 아이들도 채소가 맛있대요과학동아 l2016년 03호
- 2010년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될 만큼 유명합니다. 채소나 전통음식을 멀리 하는 건 우리나라와 마찬가지인가 봅니다. 그래서 1970년대 중반부터 미각교육이 시작됐는데, 2010년부터는 학교 수업으로도 들어왔답니다. 학교와 전국미각연합이라는 곳에서 함께 진행하는데 10주 동안 매주 한번씩 한 ... ...
- Part 2. 난수의 컴퓨터 시대수학동아 l2016년 03호
- 중앙제곱법은 13세기 프란체스코회 수도회 문서에도 등장했지만, 공식적으로 발표된 건 1949년 폰 노이만에 의해서였다. 중앙제곱법은 ‘시드(seed)’라고 부르는 임의의 수를 제곱한 뒤, 나온 수의 가운데 일부분을 제곱해가며 난수를 만드는 방식이다. 열매를 맺으려면 씨앗을 심어야 한다. ... ...
- 새와 공룡 너무나 닮은 우리 사이수학동아 l2016년 03호
- 특징으로 볼 수 있게 됐지요. 물론 깃털이 있는 공룡이라고 해서 모두 날 수 있었던 건 아닙니다. 시노사우롭테릭스의 깃털은 몸을 따뜻하게 하는 역할로, 비행과는 상관이 없었습니다.하늘을 날 수 있으려면 깃축을 중심으로 깃가지가 좌우로 비대칭인 깃털이 필요합니다. 이런 구조를 통해 위로 뜰 ... ...
- [재미] 개는 늑대의 후손?!수학동아 l2016년 03호
- 쪽을 택해 오래 살아남았다는 주장입니다.과학자들은 지금처럼 개가 품종이 다양해진 건 사람들이 필요로 하거나 기호에 따라 개량시켰기 때문으로 보고 있어요. 맹인을 안내하는 개, 마약을 찾는 개, 사냥을 돕는 개처럼 특정 역할을 담당하는 품종이 있지요. 또 애완견은 예쁘고 귀여운 외모를 ... ...
- [동아리탐방] 특별한 경험을 선물받다! 인천당하중 ‘당찬’수학동아 l2016년 03호
- 경우를 일일이 헤아렸다.러시아워는 가로, 세로 6칸에 자동차를 여러 대 배치하고, 조건에 따라 자동차를 움직여 빨간색 주인공 차를 게임판 밖으로 빼내는 게임이다. 학생들은 가로, 세로 3칸부터 6칸까지 주인공 차를 빼내지 못하게 자동차를 놓는 경우를 따졌다. 6칸일 때는 경우의 수가 너무 많아 ... ...
- [News & Issue] 아홉 번째 행성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너무 작아 해왕성의 궤도에 섭동을 일으키지 못한다. 계산이 틀렸는데도 찾을 수 있었던 건 로웰이 밤하늘을 샅샅이 뒤졌기 때문이다. 천왕성을 발견한 방법(망원경으로 우연히 찾기)과 같다. 명왕성은 나중에 행성의 반열에 끼지 못하고 퇴출당한다.그럼 진짜 행성 X는 어디 있는 걸까. 여전히 ... ...
- [Knowledge] CCTV에 기록된 그 날의 진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gait)’을 하고 있었다. 양쪽의 보폭이 다르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다. 또 하나 특이한 건 오른쪽 발만 바깥쪽을 향하는 팔자 보행을 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런 경우 대부분 오른쪽 다리에 염증이나 질환이 있을 확률이 높다. 발목에 지속적인 통증이 있는 경우 정상적인 보행이 어렵다. 염증이 없는 ... ...
- [Tech & Fun] 세상에서 가장 값비싼 책?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보기 위해 과학책을 읽기 시작해 그 매력에 푹 빠졌다”고 고백한다. 그렇게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를 읽었고, 뉴호라이즌스호가 명왕성에 갔을 땐 감동도 느꼈단다. 단순한 서평 모음집이 아니라, 한 사람이 과학감수성을 키워가는 과정이 담긴 책이다.물론 이 책은 훌륭한 가이드이기도 하다. ... ...
- Intro. 난수수학동아 l2016년 03호
- 구성된 내 팀을 꾸려볼 수나 있을까. 아이템 뽑기 이거, 정말 랜덤으로 돌아가는 건 맞아? 아이템 뽑기를 할 때마다 필요없는 선수만 나오니 급기야 시스템을 의심하게 된다. 앗, 랜덤 생성에 비밀이 있다고?▼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난수Part1. 난수, 넌 누구니?Part 2. 난수의 컴퓨터 시대Part 3. ... ...
- Part1. 난수, 넌 누구니?수학동아 l2016년 03호
- 예측할 수 없다. 이런 난수를 이용해 랜덤, 무작위의 상황을 만드는 것이다.난수는 물건을 만드는 상황에서도 사용한다. 한번에 보조배터리를 10만 개씩 생산하는 공장이 있다고 할 때 10만 개 모두를 가지고 불량품 테스트를 하지 않는다. 이 중에서 무작위로 수백 개만 뽑아서 불량품 여부를 ... ...
이전3263273283293303313323333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