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제거
분리
뽑아냄
발췌
스페셜
"
추출
"(으)로 총 410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우울증이 말하는 법
2018.12.29
조사했다. 포럼마다 활발한 회원들이 작성한 글과 댓글에서 약 3만개의 단어를
추출
했고 우울·불안 장애 집단과 비우울증 집단을 비교했을 때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우선 우울·불안 장애 집단이 타집단에 비해 '슬프다'거나 '괴롭다' '우울하다' 같은 부정적 정서를 나타내는 단어를 많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00년 전 가야시대에 정말 차나무가 들어왔을까
2018.12.11
내 밀크티를 만들기에 좋다. 위키피디아 제공 아삼종이 중국종보다 카페인 함량이 높고
추출
할 때 물의 온도가 90도 이상인 홍차에서 80도 내외인 녹차보다 카페인이 더 많이 우려진다. 아삼 홍차는 우전 녹차에 비해 카페인 함량이 서너 배로 커피에 육박한다. 홍차를 좋아하는 사람이 카페인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세놀리틱은 노화를 지연시킬 수 있을까
2018.11.28
필자가 사는 제품이 다른 제품들보다 두 배는 비싸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어차피 식물
추출
물인데 별 차이가 있을까 싶어 바꾸려는 순간 제품명의 ‘최적화된(optimized)’이란 문구가 걸려 과연 이게 두 배의 차이를 정당화할 수 있을까 알아보기로 했다. 참고로 ‘세포 노화에 대한 방어’에 최적화된 ... ...
[강석기의 과학카페]길들인 여우 게놈 분석해보니…
2018.10.02
세대 수가 10년 더 많기 때문이다. 은여우 세 그룹 30마리의 게놈을 분석해 주요 특징을
추출
한 뒤 2차원 좌표에 나타냈다. 각 그룹의 열 마리가 한 데 묶임을 알 수 있다. 길들인 은여우(tame)와 선별하지 않은 은여우(conventional) 사이의 거리가 사나워진 은여우(aggressive)와 선별하지 않은 은여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뱃살의 과학
2018.08.28
고게놈 분야가 뜨지만(지난주에도 수만 년 전 살았던 여자아이의 뼛조각에서 DNA를
추출
해 게놈을 해독한 결과 엄마는 네안데르탈인 아빠는 데니소바인인 것으로 밝혀져 화제가 됐다), 리버먼 교수는 해부학과 생리학에 기반한 고전적인 인류학자이자 진화생물학자다. 그의 연구를 보면 어떤 건 ... ...
“엄마는 네안데르탈인, 아빠는 데니소바인” 게놈 연구 결과 첫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18.08.23
한 뼛조각만 남은 이 소녀의 주검을 발굴해 연구한 과학자들은 깜짝 놀랐다. DNA를
추출
해 해독한 결과, 부모가 서로 다른 종의 인류라는 사실을 발견했기 때문이다. 어머니는 약 4만 년 전까지 유럽을 중심으로 시베리아 인근까지 살았던 친척 인류 네안데르탈인이었고, 아버지는 비슷한 시기에 ... ...
[남북협력 시나리오]완전한 비핵화 위한 해체 기술
과학동아
l
2018.06.11
핵심, 재처리 시설 재처리 시설은 사용후핵연료에서 핵폭탄의 원료인 플루토늄을
추출
하는 시설이다. 플루토늄은 핵무기 1개를 만드는 데 필요한 임계질량(핵분열이 연쇄적으로 일어나게 만드는 최소한의 양)이 약 5kg으로 우라늄의 절반 수준이다. 북한은 이런 재처리 시설을 가동하기 위해 2003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미의 과학, 꽃의 여왕은 이렇게 탄생했다
2018.05.14
2배체(2n) 식물로는 게놈을 재구성하기가 어렵다고 보고 성세포(n)를 배양한 뒤 DNA를
추출
해 게놈을 해독하는 전략을 썼다. 장미(월계화 올드 블러시)의 게놈 크기는 5억6000만 염기로 30억 염기인 사람 게놈보다 훨씬 작지만 유전자 수는 3만6000여 개로 추정돼 두 배 가까이 됐다. 이동성이 없는 식물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위산과다 치료제, 세대교체 일어나나?
2018.04.17
식사량을 좀 늘렸다가 일주일 만에 탈이 난 것이다. 매일 아침 마즙을 갈아먹고 양배추
추출
성분인 약을 해외직구로 사서 복용하고 삶의 소소한 즐거움인 커피까지 끊고 나서야 간신히 회복했다. 지난 여름 이후 ‘다행히’ 무소식이 희소식인 상태로 지내고 있는 위에게 이 자리를 빌려 모처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배터리 핵심소재 리튬 vs 코발트, 누가 더 귀한 몸?
2018.03.20
주장했다. 리튬 수급도 여유가 있는 건 아니지만 적어도 2025년까지는 바다에서
추출
하는 걸 고민해야 할 정도는 아니라는 것이다. ‘아니 지금 리튬이온배터리 얘기를 하다가 왜 코발트를...’ 이렇게 생각하는 독자들도 있을 텐데 리튬이온배터리에 리튬만 들어가는 건 아니다. 배터리는 양극과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