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위안
위문
달래기
회유
안위
안심
유화
뉴스
"
위로
"(으)로 총 973건 검색되었습니다.
건물 외부서 들어오는 열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08
녹지 않는다는 점이다. 건물 바깥에서 액체로 변한 상변화 물질은 뜨거운 부분은
위로
, 뜨겁지 않은 부분은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상변화 물질이 위쪽부터 녹고 아래쪽은 잘 녹지 않는 것이다. 강상우 선임연구원 연구팀은 이처럼 높이에 따라 균일하지 않은 상변화 현상을 기포 주입을 통해 ... ...
하늘에서 떨어진 자동차?
팝뉴스
l
2020.09.05
위에 올라가 버렸다. 거기서 사람이 하나 내리고 있다. 도로를 달리다가 분리대
위로
올라가기는 굉장히 어려울 것 같다는 게 해외 네티즌들의 공통된 주장이다. 차가 하늘에서 내려와 분리대에 착륙했울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하는 농담성 댓글이 공감을 얻는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 ...
'부력 뒤집혔다' 수면 아래로도 떠다니는 배
동아사이언스
l
2020.09.04
연구팀의 실험 장비다. 밀폐 용기 속에 끈적한 유체를 넣고 위아래로 흔들면 공기
위로
유체가 층을 만든다. 이렇게 만들어진 바닥면에 배를 놓으면 마치 거꾸로 떠있듯 배가 바닥면에 붙게 된다. 네이처 제공 연구팀은 액체보다 훨씬 가벼운 종이배가 아랫면에 띄웠을 때도 뜨는 이유도 부력 ... ...
한반도에 부는 바람 기후변화로 느려지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03
의한 난류 강도 등 대기의 혼합정도를 등급으로 분류한 것이다. 대기 중 더운 공기는
위로
올라가고 찬 공기는 아래로 내려오게 간다. 아래층 공기가 위보다 차가울 때는 상하 간의 이동이 일어나지 않는 안정한 상태가 된다. 지형 특성 및 풍향의 변동과 난류에 의해 수평 방향의 확산도 달라진다. ... ...
중대본 "모두가 환자 위해 사투를 벌이고 있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03
2일 페이스북에 “의사들이 떠난 의료현장을 묵묵히 지키고 있는 간호사분들을
위로
하며 그 헌신과 노고에 깊은 감사와 존경의 마음을 드린다”며 “지난 폭염 시기, 옥외 선별진료소에서 방호복을 벗지 못하는 의료진이 쓰러지고 있다는 안타까운 소식이 국민들의 마음을 울렸다”는 글을 올렸다 ... ...
[화보+] 박쥐 손질하는 야생동물 시장 상인
동아사이언스
l
2020.09.02
야생동물보호구역에서 촬영한 악어들의 모습이다. 성체 악어가 물에 떠 있고 악어의 등
위로
아기 악어들이 올라타 있다. 아기 악어들의 숫자는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다. 대략 수 백마리쯤 돼 보인다. 인도 가비알 악어는 인도와 파키스탄 등지에 서식하는 악어의 한 종류다. 현재 잔존하는 개체 ... ...
[주말N수학] 예술가가 알고리즘을 공부하는 이유
수학동아
l
2020.08.29
‘경계 없는 세상’의 일부. 숲, 산, 계곡에서 도착한 물이 폭포가 돼 관객이 모인 바위
위로
떨어진다. 물의 움직임은 수학적으로 계산돼 있고, 스크린에 손을 대면 물줄기의 흐름이 바뀐다. teamLab Borderless, Tokyo 제공 일본 도쿄의 인공섬 오다이바에는 ‘빛의 놀이터’라 불리는 독특한 미술관이 ... ...
"무증상 밀접 접촉자 검사 필요없다" 美 CDC 비판 쏟아져
동아사이언스
l
2020.08.28
앞서 연방정부 보건 관리를 인용해 검사 대상을 축소한 새 코로나19 검사 지침이 "
위로
부터 내려왔다"고 전했다. 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은 “그들이 내놓은 질병통제예방센터 지침은 끔찍하고 위험하다”며 이 모든 것이 정치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확진자 수가 많은 ... ...
[IBS 과학리포트] 강력했던 2020년 장마는 과연 지구온난화가 주요 원인일까
2020.08.26
6월에 아시아 대륙이 가열되면서 지표면에 저기압이 발달하며 장마가 시작된다. 해양
위로
는 고기압이 형성되고, 해수면 위의 수증기를 많이 포함한 공기가 대륙의 저기압 중심부로 이동한다. 그런데 공기는 저기압을 향해 직선으로 움직이는 대신 기압 경도력의 오른쪽 방향으로 향하게 된다. 이는 ... ...
0.001mm 공간에 빛 가두는 이론 나왔다...나노레이저 등 응용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0.08.19
빛이 박막도파로 광결정에 갇혀 있는 모습이다. 오른쪽은 박막도파로 광결정
위로
방출되는 모습이다. GIST 제공 미세한 공간에 빛을 가둘 수 있는 이론적 원리가 규명됐다. 새로운 광소재 개발에 응용해 나노 레이저의 효율을 높이거나 보안성 높은 미래 통신 기술인 양자암호통신 개발에 활용될 수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