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연구주제"(으)로 총 3,198건 검색되었습니다.
- 먹방 영상 차단해 식이장애 환자 돕는다동아사이언스 l2024.05.20
- 유투브에서 '먹방'을 검색하면 나오는 페이지 캡쳐화면. 동아사이언스 먹방 영상을 사전에 차단해 식이장애를 앓는 환자가 건강한 다이어트를 하도록 유도하는 시스템이 개발됐다. KAIST는 이성주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11~16일 미국 하와이에서 열린 세계컴퓨터연합회(ACM)가 주최한 '컴 ... ...
- 尹 대통령 "R&D 예타 전면 폐지…투자규모 대폭 확충"동아사이언스 l2024.05.17
- 윤석열 대통령. 연합뉴스 제공. 윤석열 대통령은 17일 "성장의 토대인 연구개발(R&D) 예비타당성조사(예타)를 전면 폐지하고, 투자 규모를 대폭 확충하라"고 지시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알뜰한 나라 살림, 민생을 따뜻하게'를 주제로 열린 국가재정전략회의에서 이같이 밝혔다. ... ...
- 카오스재단, '세상에 나쁜 수학은 없다' 강연 시리즈 개최동아사이언스 l2024.05.16
- '세상에 나쁜 수학은 없다' 강연 시리즈 포스터. 카오스재단 제공 과학문화 비영리 재단인 ‘카오스재단’이 수학을 주제로 10주간 강연 시리즈를 진행한다. 16일 카오스재단은 15일부터 7월 17일까지 봄 카오스강연 '세상에 나쁜 수학은 없다'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카오스재단은 과학계 석학들이 ... ...
- [과기원NOW] GIST, 제2회 해커톤 개최 外동아사이언스 l2024.05.14
- 제2회 헬로우 월드 해커톤 대회에서 대상(AIX School 대학원장상)을 수상한 DASH팀. GIST 제공.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인공지능(AI) 기술에 관심 있는 학생을 발굴하고 소프트웨어 개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제2회 헬로우 월드 해커톤’ 대회를 개최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대회는 차별문제, 정신 ... ...
- 지역 성장 위해 과학기술 선택·집중…과기정통부, 체계 개편동아사이언스 l2024.05.1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과학기술 기반 지역 혁신 방향을 발표했다. 연합뉴스 제공. 정부가 수도권과 지역 간 과학기술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지역의 질적 성장을 위한 체계를 개편한다. 과기정통부는 14일 대전 신세계 엑스포타워에서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과 ‘지역과학기술 정책 공유회’ ... ...
- [사이언스게시판] 국립과천과학관, '탄소C그널 순회전시'…인천국제공항공사와 업무협약 外동아사이언스 l2024.05.14
- 인천공항 '탄소C그널' 기획전 순회전시 포스터. 과기정통부 제공 ■ 국립과천과학관은 인천국제공항공사와 협업해 탄소중립을 주제로 과학과 예술이 융합된 '2024 인천공항 순회전'을 개막한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전시는 오는 8월 15일까지 인천공항 제1교통센터 1층에서 진행된다. 인천 ... ...
- 신익현 LIG넥스원 대표 "우주강국 위해 정부·민간 '원팀' 돼야"동아사이언스 l2024.05.10
- 신익현 LIG넥스원 대표 9일 경북 경주에서 열린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기조강연을 하고 있다. LIG넥스원 제공 신익현 LIG넥스원 대표가 대한민국이 우주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민간의 긴밀한 공조와 역할 분담이 어느 때보다도 중요하다고 밝혔다. LIG넥스원은 신 ... ...
- [과기원NOW] KAIST, 대만 포모사그룹과 첨단바이오·친환경에너지 협력 外동아사이언스 l2024.05.10
- (왼쪽부터) 김경수 KAIST 대외부총장, 최민이 KAIST 뇌인지과학과 교수, 샌디왕 포모사그룹 회장, 이광형 KAIST 총장, 김대수 KAIST 생명과학대 학장이 지난 3월 KAIST와 포모사그룹 산하 대학 간에 체결된 포괄적 교류 협력에 관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있다. KAIST 제공. ■ KAIST는 대만 3대 기업 중 하나인 포 ... ...
- [육아하는 아빠 과학자]② "육아휴직 1년이 복귀 후 연구의 동력"동아사이언스 l2024.05.09
-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에서 만난 허준영 선임연구원. 이채린 기자 육아휴직을 쓰는 아빠가 늘고 있다고 합니다. 과학기술계에서도 느는 추세지만 현장 경험과 연구 지속성이 과학자에게 중요한 만큼 자녀를 위해 연구를 멈추는 건 쉽지 않습니다. 연구의 꽃을 피워야 하는 시기인 30, 4 ... ...
- 사망한 불임 연구자의 연구, 암 면역치료 한계 극복 '실마리'동아사이언스 l2024.05.08
- 생전 'SAS1B' 단백질을 암 치료에 활용할 것을 제안했던 존 허 미국 버지니아대 교수. 버지니아대 제공 고인이 된 과학자의 연구가 유방암, 페암 등 고형암 치료의 새로운 단서가 됐다. 불임 연구 과정에서 주목한 단백질이 기존 면역요법 치료제의 한계를 극복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것 ... ...
이전2829303132333435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