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걀
계란
난자
알맹이
난세포
알집
알찝
뉴스
"
알
"(으)로 총 4,280건 검색되었습니다.
[주말N수학] 우주선 위치·우주 쓰레기 탐지 센서 기술 뜬다
2023.12.31
위치를 감지하는 카메라와 같은 장치인데,
알
려진 별들의 위치를 통해 우주선의 자세를
알
수 있다. 기기가 더 정밀해지고 소형화되다 보면 때때로 예상하지 못한 기능을 발휘하기도 한다. 별 추적기는 원래는 위성의 자세를 파악하기 위해 개발됐으나, 영상 센서와 컴퓨팅 기술의 발전으로 우주 ... ...
[주말N수학] 질병 분석·지하철 혼잡도 개선하는 수학자
수학동아
l
2023.12.30
모르는 사람에게 설명할 수 있을 정도로 깊이 있게 연구하고 누구나 한 번 들으면
알
수 있도록 설명하려고 노력하지요. 저는 수학 연구를 할 때 매직아이를 들여다보는 것처럼 집중해서 들여다보는데요. 제 연구를 설명하는 것도 이처럼 하니 다른 분야의 사람들과의 소통도 지금까진 아주 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개에게 건포도를 주면 안 되는 이유
2023.12.27
찬장에 넣고 핸드드립으로만 마시고 있다. 십여 년 전까지만 해도 프렌치프레스를
알
고는 있었지만 이걸로 추출한 커피를 마셔본 적은 없었다. 그런데 우연히 스타벅스 하워드 슐츠 회장의 인터뷰를 읽다가 “가장 맛있는 커피는 프렌치프레스로 우려낸 것”이라는 구절이 인상에 남았다. 마침 ... ...
[주말N수학] KAIST 퍼즐 동아리가 밝힌 '데블스 플랜' 필승전략
수학동아
l
2023.12.24
궤도 씨의 숫자 암기 전략이 다른데요. 중요한 건 연속한 3개의 숫자 쌍을 얼마나 많이
알
고 있냐예요. 외운 숫자의 개수는 13개로 둘이 똑같더라도 연속한 숫자 3개가 나올 수 있는 경우의 수가 하석진 씨는 9개밖에 안 돼요. 근데 궤도 씨는 13개나 나와요. 사실 궤도가 수학적으로 봤을 때 더 ... ...
조선에 우두법을 처음 소개한 지석영
2023.12.24
일행이자, 서기부사과의 직책을 맡은 정부측 인사였다. 박영선을 통해 우두법을
알
게 된 지석영은 직접 수신사를 따라 일본에 가서 일본인 의사에게 우두법을 배워오기도 했다. 이러한 사례는 지석영이 정부의 우두법 보급 네트워크 안에 있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분위기에서 지석영은 1885년 ... ...
[주말N수학] 공정하다는 착각! 동전 던지기
수학동아
l
2023.12.23
동전 던지기는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복잡한 변수에 의해 결정되는 과정이란 사실을
알
수 있었다”면서 “동전 던지기를 할 때 서로 위로 향한 면이 무엇인지 모르면 공정하고 합리적인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동전 던지기를 앞으로 이용하지 말아야 할까. 그에 따르면 ... ...
침팬지, 25년 이상 못본 동료 얼굴
알
아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2.19
확인됐다”고 말했다. 또 "이들이 동료나 가족을 그리워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알
수 없지만 인간에게만 특별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했던 인지 메커니즘을 다른 동물도 갖고 있을 가능성이 확인됐다는 점에서 흥미롭다"며 "밀렵, 삼림 벌채 등으로 유인원이 원치 않는 이별을 하게 될 때 받게 ... ...
조선 후기 ‘원구일영’은 휴대용 해시계였다…"어디서든 시간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3.12.19
것은 시각선 눈금보다 긴 직사각형 영역으로 그림자를 집어넣는 방법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원구일영은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발견된 원구형 해시계라는 점, 지역에 상관없이 어느 곳에서도 시간 측정이 가능했다는 점, 그리고 시각 표기에서 앙부일구와 혼천시계의 전통을 따랐다는 ... ...
[주말N수학] 수학에서 증명은 왜 중요할까
수학동아
l
2023.12.16
온전히 전달하는 게 생각보다 쉽지 않아요. 그래서 인공지능에게 공리를 정확히
알
려주기 위해서 공리를 재정비하는 과정도 함께 논의하고 있어요. 그래서 저는 ‘인공지능이 수학을 증명할 수 있을까?’보다는 ‘인공지능이 증명할 수 있도록 수학이 발전할까?’가 더 맞는 질문이라 ... ...
크리스마스 이브에 직접 만든 로켓 쏘아올리는 고교생
과학동아
l
2023.12.16
찾았어요. 5월 추력시험을 통해 저희 로켓이 대략 186N의 추력을 안정적으로 낸다는 걸
알
게 됐습니다. 이 정도 추력으론 로켓의 설계를 최적화했을 때 고도 500m까지 날 수 있겠다는 목표가 섰어요. 7월 29일, 고도 500m를 목표로 로켓을 발사할 예정이었습니다. 그런데 그간 문제가 아니라고 생각했던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