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괴상
이상
파격
변칙
변태
별남
괴팍함
뉴스
"
비정상
"(으)로 총 749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스트라제네카 코로나19 백신 혈전증 유발 원인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08
벡터 방식의 백신에서 혈전증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번 연구는 분자 수준에서
비정상
적인 항체가 혈소판 단백질에 달라붙어 혈전 형성을 유발하는 메커니즘을 실제 환자의 항체를 통해 확인한 것이다. 연구팀은 “PF4는 혈소판 단백질에 매우 독특하고 특정한 방향으로 들러붙기 때문에 ... ...
[과기원은 지금] DGIST, 단일 세포 제어하는 자성 트위징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7.06
세포에 가장 영향을 적게 주는 만큼 자성 트위징 플랫폼을 이용하면 암세포가 되는
비정상
세포 등 단일 세포를 분리해 맞춤형 치료나 신약개발 등 바이오 의학 분야에 활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이 6~11월 광주 지역 10개 중·고등학교를 대상으로 ‘2021 지역창업체험센터 ... ...
또 멈춘 연구용원자로 '하나로'
동아사이언스
l
2021.07.03
발생해 원자로를 수동정지했다. 당시 수동정지는 수소계통 압력을 미세 제어하는 밸브의
비정상
적인 개폐에 따라 수소계통 압력과 진동이 발생해서였다. 이후 특별점검을 거쳐 1년만에 종합성능시험 허가가 내려졌다. 그러나 2019년 12월에도 시험가동 3일 만에 냉중성자원 설비 문제로 멈췄다. ... ...
코로나19 시대 아이 건강에 필요한 세 가지 원칙
어린이과학동아
l
2021.07.03
지적했다. 또 한쪽에선 잘못된 미의 기준으로 날씬해지려고 안 먹는 청소년이 늘면서
비정상
적인 체중 미달 현상이 나타나는 양극단의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보고 있다. 안 교수는 "소아와 청소년 시기엔 골고루 먹고, 열심히 운동하고, 충분히 잠을 자는 것이 무엇보다 성장에 중요하다"면서 ... ...
알츠하이머부터 건선 치료제까지…2021년 ‘블록버스터 신약들’
동아사이언스
l
2021.06.30
뛰어나다는 결과를 발표했다. 건선은 피부의 각질 세포가 너무 빨리 자라 각질층이
비정상
적으로 두꺼워지는 질환으로 아직 확실한 원인이 규명되지 않았다. 전 세계 인구의 2~3%가 건선으로 고통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남성의 전립선암과 여성의 자궁내막증 및 자궁섬유증 치료에 효과가 있는 ... ...
"치매 조기 진단 혈액검사법 개발"
연합뉴스
l
2021.06.29
수반되는 요추천자(lumbar puncture)에 의한 뇌척수액 검사와 치매 관련 뇌 신경세포의
비정상
단백질을 측정하는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PET)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검사법들은 비용이 많이 들고 침습적(invasive)이라서 일상적으로 사용하기가 쉽지 않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알츠하이머병 협회 ... ...
2주째 고장난 '서른 한살' 허블우주망원경, 원인 못찾아 퇴역 갈림길
동아사이언스
l
2021.06.28
오류가 발생하면 지상에서 원격으로 수리를 진행해왔다. 허블우주망원경은
비정상
적인 조건이 감지되면 기능에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스스로 안전모드에 진입한다. 대부분의 잔고장은 쉽게 수리할 수 있는 사소한 수준이었다. 하지만 2018년 방향을 제어하는 자이로 장치가 고장 났을 때는 수리에 ... ...
‘세포는 계획이 다 있구나’…자가포식으로 치매 유발 타우 단백질 분해
동아사이언스
l
2021.06.27
모델에서 mRNA 유전자를 조작해 ‘UBE4B’라는 단백질의 발현을 증가시키면 타우 단백질의
비정상
적인 응집이 감소하고 치매에 의한 행동도 개선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는 곧 UBE4B 단백질 증가가 타우 단백질의 분해를 촉진한다는 의미였다. UBE4B는 세포의 자가포식을 유도하는 단백질이다. 류 ... ...
또 밝혀진 코로나 '비밀 무기', 뇌 밖에서 뇌 염증 일으킨다
연합뉴스
l
2021.06.23
수학적 사고 등에서 핵심 역할을 하는, 코로나19 사망자의 대뇌 피질 뉴런(신경세포)에서
비정상
적인 분자적 변화가 관찰됐다. 대뇌 피질 뉴런은 흥분성 뉴런과 억제성 뉴런으로 나뉘어 고차원적 뇌 기능을 수행하는 복합 논리 회로를 구성한다. 그런데 피질의 가장 바깥층에서 흥분 뉴런의 억제 ... ...
"건선, 체질량지수와 관계있다"
연합뉴스
l
2021.06.22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건선은 피부의 각질 세포가 너무 빨리 자라 각질층이
비정상
적으로 두꺼워지는 만성 피부질환이다. 확실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으나 면역체계가 피부를 외부 물질로 오인, 공격하는 일종의 자가면역 질환으로 믿어지고 있다. 미국 호프스트라 대학/노스웰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