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자
구성원
극소량
티끌
미립자
분자농도
농도
뉴스
"
분자
"(으)로 총 3,272건 검색되었습니다.
"암 억제 단백질, 손상된 DNA 합성 돕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8.13
모든 진핵세포에서 진화적으로 잘 보존된 76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작은 단백질
분자
로 세포 내 수많은 단백질에 연결되면서 거의 모든 세포 내 기능에 관여하고 있다. 유비퀴틴화된 PCNA(Ub-PCNA)는 탈유비퀴틴화 효소를 통해 유비퀴틴이 제거되고 정상적인 DNA 합성을 재개한다. 지금까지 Ub-PCNA가 ... ...
침·점액 등 체액으로 암 조기 진단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8.12
분자
고유의 신호를 1억 배 이상 증폭시키는 '표면증강라만산란'이라는 기술을 활용해
분자
의 광학 신호를 증폭하는 나노소재인 플라즈모닉 소재를 개발했다. 암세포가 만든 대사산물 신호를 AI로 분석하고 수학적 모델링을 통해 계산하면 암 진단에 활용할 수 있다. 연구팀은 유수웅 전남대병원 ... ...
유수풀·파도풀·워터슬라이드까지…워터파크에 숨은 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8.10
이때 우리가 유수풀에 '풍덩' 들어가면 어떻게 될까요. 우리는 물속에서 움직이던 물
분자
들과 부딪치면서 위로 밀려납니다. 그 후 중력과 반대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는데 이것이 부력입니다. 만약 부력이 없다면 우리는 물속에 가라앉게 됩니다. 우리는 유수풀에 계속 뜰 수 있을까요. 물속에 ... ...
조리해도 생존…전자레인지마다 고유의 '미생물 생태계'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8.09
마이크로바이올로지'에 공개했다. 전자레인지는 전자기파의 한 종류인 마이크로파로 물
분자
를 진동시켜 음식 등을 가열하는 전자제품이다. 과거 식기세척기 등 다른 주방 제품에서 박테리아 군집이 발견됐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지만 전자레인지에 사는 박테리아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뤄지지 ... ...
식물 호르몬 분석해 '유전자 발현 조절 새 메커니즘'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8.08
유전자의 발현 조절은 모든 생명체의 생존과 번식을 가능케 하는 가장 근본적인
분자
수준의 생명 현상이다. 리보핵산(RNA)이 합성되는 전사과정의 조절은 유전자 발현 조절 중에서도 일차적인 핵심 조절 단계로 그간 학계에선 다양한 전사조절 방식이 알려졌다. 앞선 연구에선 동일한 ... ...
[과기원NOW] 변종 바이러스 치료제 개발 '감염 원천 봉쇄'
동아사이언스
l
2024.08.07
침투를 막는 신규 화합물 'UNI418'을 발견하고 연구결과를 1일 국제학술지 '실험 및
분자
의학'에 공개했다고 7일 밝혔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의 원인 바이러스 종류인 코로나바이러스는 인체 세포가 외부 물질을 흡수하는 과정을 통해 침투한다. 연구팀은 이 과정에서 UNI418이 특정 ... ...
[사이언스게시판] 플라즈마 기술로 최첨단 바이오 기술 확보 견인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8.07
기대가 모였다. 플라즈마
분자
구조 변환기술은 기존 방법보다 효율·반응속도가 뛰어나
분자
구조를 더욱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오영국 핵융합연 원장은 "플라즈마 기술이 우리나라 바이오 기술 경쟁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 한국재료연구원은 환경규제에 ... ...
첨단바이오 기술 'DNA 종이접기' 구조 예측 시뮬레이션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8.07
수 있었다. 연구팀은 "EtBr 외에 다른 DNA 결합
분자
로도 쉽게 확장이 가능하다"며 "결합
분자
의 농도나 종류에 따른 가변 DNA 종이접기 구조체를 설계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DNA 나노기술 및 다양한 응용 연구의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 doi ... ...
"쾌락 물질 '도파민', 알츠하이머 증상도 완화"
동아사이언스
l
2024.08.07
수 없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네프릴리신이 생성되도록 만드는 다른 방법을 찾기 위해
분자
단위에서의 스크리닝 작업을 수행했다. 그리고 접시에 배양한 뇌 세포에 도파민을 적용했을 때 네프릴리신이 증가하고 아밀로이드 베타가 감소한다는 점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도파민 전구물질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무더위에 입맛이 떨어지는 이유
2024.08.07
덜 먹게 하는 것으로 보인다. 추가 실험 결과 고온 정보를 받은 띠뇌실막세포가 신호
분자
인 VEGFA를 만들어 분비하고 수용체가 있는 AgRP 뉴런에 작용하면 발화 문턱이 높아져 활성화되기 어려운 것으로 밝혀졌다. 속이 비어 먹을 때가 됐다는 신호가 와도 식욕 촉진 뉴런이 약하게 반응해 안 먹거나 덜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