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닷물
해수
해조
뉴스
"
바다물
"(으)로 총 690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내서 개발하는 선박용 소형원전 군사 전용 우려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19.07.02
황일순 UNIST 기계항공및원자력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바다 위를 떠다니며 전력을 생산하는 ‘초소형 원자로’ 개발에 나선다. UNIST 제공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따른 논란이 그칠 조짐이 보이지 않는 가운데 정부와 지자체 지원으로 새로운 원자로 개발에 나서는 연구자가 있다. 황일순 울산과학기술 ... ...
남극해 얼음구멍 '빙호(氷湖)' 심해 CO₂방출로 될 수도
연합뉴스
l
2019.06.11
"얼음 속 구멍"이라는 뜻의 '폴리냐(polynya)'로 불리는 빙호의 실체가 위성사진과 코끼리
바다물
범, 로봇 표류측정기 등을 동원한 연구로 실체가 벗겨졌다. 10일 워싱턴대학에 따르면 이 대학 해양학과 스티븐 라이저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빙호가 특정한 해에만 나타나는 이유와 바닷물 순환에 ... ...
바다밑 미지를 스캔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07
엑스프라이즈재단 제공 1969년 7월 미국 우주인을 실은 아폴로 11호가 지구에서 38만㎞ 떨어진 달에 착륙한 이후 이제는 화성 유인 탐사까지 넘보고 있지만 정작 해수면 아래 세계는 아직도 미지 영역으로 남아 있다. 사람이 직접 눈으로 바다 밑을 볼 수 있는 최대 깊이가 수심 332m에 불과한 데다 심 ... ...
전문가들 "포항 이산화탄소 저장 실증사업 포항지진과 무관”
동아사이언스
l
2019.05.24
가동 중단한 이산화탄소 저장시설. 26일 경북 포항 영일만 앞바다에 '포항분지 해상 이산화탄소 지중저장 실증사업 플랫폼'이 가동을 멈춘 채 서 있다. 정부와 연구진은 2017년 이산화탄소 시험 주입을 마치고 본격적인 연구를 하려고 했으나 2017년 11월 포항에서 지진이 발생한 뒤 연구를 중단했다. ... ...
홍합접착제부터 조류로 만든 건물벽까지, 슬기로운 바다생물 이용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5.17
선조들은 참갑오징어의 뼈를 갈아 상처에 발랐다. 뼛속의 탄산칼슘이 지혈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Shigeru Harazaki 제공 손가락을 칼에 베여 피가 난다면 당연히 소독약과 연고를 찾을 것이다. 그런데 이런 약들이 없었던 옛날에는 어떻게 상처를 치료했을까? 우리 선조들은 ‘참갑오징어’의 뼈를 ... ...
[알립니다]어린이과학동아 캐나다 탐험대에 도전해보세요 (6월 15일까지 접수)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5.17
오로라, 고래, 불곰, 고대 숲을 경험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가 왔다. '어린이과학동아'는 캐나다관광청과 에어캐나다와 함께 캐나다 탐험대를 마련했다. 캐나다 탐험대로 선발된 어린이과학동아 독자 3명은 올 9월 기자와 함께 캐나다로 탐험을 떠날 수 있다. 캐나다 탐험대에 지원하는 방법 ... ...
봄철 극지방 대기에서 나타나는 요오드의 비밀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09
극지연구소 등 국제 공동연구팀이 실험 결과, 얼음 결정 사이 공간에서 고농도 요오드산염을 확인했다. 극지연구소 제공 국내 연구진이 봄철 극지방의 대기에서 고농도의 요오드가 나타나는 이유를 밝혔다. 극지연구소는 한림대와 포스텍, 체코 마사릭대, 스페인 물리화학연구소와 공동으로 극 ... ...
바다 위 떠다니는 '해상 원전' 국내에서도 개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07
황일순 UNIST 기계항공및원자력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바다 위를 떠다니며 전력을 생산하는 ‘초소형 원자로’ 개발에 나선다. UNIST 제공 국내 연구팀이 바다 위를 떠다니며 전기를 생산하는 ‘초소형 원자로’ 개발에 나선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황일순 기계항공및원자력공학부 교수 연구 ... ...
원시 고래는 네 발로 헤엄쳤다
과학동아
l
2019.04.29
약 4260만 년 전 살았던 원시 고래의 조상 페레고세투스 파시피쿠스(Peregocetus pacifi cus)의 상상도. 수달처럼 물갈퀴가 달린 네 발로 헤엄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Alberto Gennari 고래의 최초 조상으로 알려진 파키케투스는 약 5000만 년 전 파키스탄을 비롯한 남아시아 지역에 처음 나타났다. 이후 현생 고래 ... ...
플라스틱 OUT! 빨대의 ‘착한 변신’
동아사이언스
l
2019.04.29
커피찌꺼기와 다른 생분해 성분을 재료로 만든 커피찌꺼기 빨대는 물에 오랜 시간 놔둬도 눅눅해지거나 부러지지 않는다. 사진제공 스노우맨 2015년 동영상 사이트 유튜브에 중미 코스타리카 해변에서 구조된 바다거북의 모습을 담은 8분짜리 영상이 올라왔다. 한쪽 코에 플라스틱 빨대가 박힌 채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