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모듈
기준
하나
단원
중량단위
중량
유니트
뉴스
"
단위
"(으)로 총 2,622건 검색되었습니다.
'내가 있는 곳' 흔들림 따라 지진재난문자 받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22
가능성이 낮은 지진은 안전 안내 문자로 송출한다. 또 지진재난문자 송출 범위를 시군구
단위
로 세분화한다. 국민이 실제 느끼는 지역에서의 지진 영향을 기존보다 상세하게 반영하기 위해서다. 전국 송출 대상 지진의 규모 기준을 상향하고 안전 안내 문자 송출 기준 확대한다. 전국 송출 대상 ... ...
불 나도 안 타는 배터리 나올까…배터리 화재 막는 기술 3
과학동아
l
2024.10.19
현상도 예방할 수 있다. 오 교수는 "장기적으로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연구와 배터리 셀
단위
의 소재 개발 연구가 협력해야 한다"며 "배터리 상태, 열역학 법칙, 연쇄반응 등을 고려해 배터리 셀을 어떻게 배치하고 열관리 시스템은 어떻게 설계해야 할지 등 배터리 시스템의 설계 최적화가 필요하다 ... ...
"전기차 화재, BMS 고도화해야…문제는 데이터 부족"
동아사이언스
l
2024.10.14
제어장치를 의미한다. 배터리의 현재 상태나 수명을 알려줄 뿐 아니라 배터리의 기본
단위
인 셀끼리 전압 편차를 줄이는 밸런싱과 발열 관리 등을 수행한다. 배터리가 성능을 최대한 활용하고 과충전·과방전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보통 셀 하나에서 이상 현상이 시작되는데 BMS는 ... ...
양자컴 성능저하 억제하고 슈퍼컴 이기는 조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10
실행하는 동안 '노이즈'가 심해지는 시점에 주목했다. 노이즈는 양자컴퓨터의 기본 계산
단위
인 큐비트가 양자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방해하는 요소다. 노이즈가 심해지면 양자 역학의 기본적인 원리에 따라 물질의 불확정 상태가 늘어나게 되고 결국 성능 저하가 야기된다. 연구팀에 따르면 ... ...
"연구용원자로, 양자컴퓨터·소아백혈병 신약 등 첨단기술에 활용"
동아사이언스
l
2024.10.10
쓰이기 때문에 접근성도 좋게 설계됐다. 원자로에서 생산된 중성자 빔은 아주 작은
단위
를 잴 수 있는 '자'처럼 활용된다. 물질 내부가 어떻게 생겼는지, 무엇으로 이뤄졌는지 나노미터(nm, 10억분의 1m) 수준으로 측정할 수 있다. 김 단장은 "중성자는 전하가 없어서 다른 입자보다 깊게 투과할 수 있다 ... ...
3D프린팅으로 극한 우주환경 버티는 신소재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10
방식으로 강화했다. LPBF 공정 중 합금에 탄소를 첨가하면 나노셀 조직에서 탄화물이 나노
단위
로 빠져나오며 합금 내부에 균일하게 머무르게 된다. 이 탄화물이 합금의 균열과 변형을 강력하게 억제한다. 이같은 과정을 통해 연구팀이 만든 합금은 극저온 환경에서 기존 합금 대비 140% 이상 더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①생리의학상…유전자발현 정밀 조절자 miRNA
2024.10.10
그 답은 세포 내 유전자 발현 조절에 있다. DNA 설계도 상에서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위
를 유전자라고 하는데 각 유전자는 mRNA라는 중간 단계를 거쳐 단백질로 만들어진다. 앞서 언급한 세포의 다양한 크기, 형태와 기능은 그 세포 내에서 어떤 단백질이 얼마나 만들어지는가에 달려 있다. 예를 ... ...
[사이언스영상] 노벨 생리의학상 마이크로RNA가 중요한 이유
SEIZE
l
2024.10.08
이름을 가진 건 매우 짧아서다. 인간의 유전체는 모두 30억 개의 '뉴클레오타이드'라는
단위
로 이뤄져 있다. 마이크로RNA의 길이는 20~25 뉴클레오타이드 정도다. 1984년, 앰브로스 교수가 처음 발견한 마이크로RNA는 'lin-4 마이크로RNA'인데 이건 22 뉴클레오타이드로 이뤄져 있다. ●'마이크로'하다며… ... ...
세계 최초 하이브리드 양자 오류정정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0.06
문제가 아닌 임의의 알고리즘으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다. 양자컴퓨터의 정보
단위
인 큐비트는 외부 영향에 취약해 잡음이나 오류가 쉽게 발생한다. 큐비트 하나의 오류를 아무리 줄이더라도 컴퓨팅 시스템의 규모가 커지면 오류가 누적돼 유용하게 활용하기 어려워진다. 양자 오류정정은 ... ...
[현실이 된 영화 속 과학] ③PTSD 치료 가능할까…'이터널 선샤인(2005)'
동아사이언스
l
2024.10.04
생명과학부 교수 연구팀은 기억이 저장되고 소거되는 원리를 시냅스(신경세포 간 연결)
단위
에서 규명해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연구팀은 뇌에서 특정한 기억을 떠올리는 데 관여하는 '엔그램' 세포의 시냅스가 물리적으로 기억을 저장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두 개의 저에너지 광자를 동시에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