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남녘
남방
남녁
남향
남
남방셔츠
셔츠
뉴스
"
남쪽
"(으)로 총 617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질학 타임캡슐’ 제주 오름 분석해 한라산 탄생 비밀 밝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8
연구를 중점 진행하고 있다. 한라산 동쪽의 유명 등산로 입구인 성판악을 지나쳐
남쪽
으로 약 3.5km 가면 해발 858m 높이의 논고악 오름이 있다. 서귀포=고재원 동아사이언스 기자 jawon1212@donga.com 연구원들이 지상으로 올라온 파이프 속 퇴적층을 반으로 갈랐다. 이어 1m 간격으로 시료를 채취해 ... ...
[주말 고고학산책]냉동인간 ‘외치’는 왜 알프스 계곡에서 숨을 거뒀나
2019.06.22
알기는 힘들 겁니다. 고고학자들이 추측하는 외치의 마지막 순간은 이렇습니다. 알프스
남쪽
에서 살던 사냥꾼 외치는 병에 걸려 몇 달간 심하게 앓은 후 알프스를 올랐습니다. 하지만 싸움에 휘말려 부상을 입은 탓인지, 몸이 좋지 않아 발을 헛디딘 탓인지 깊은 상처를 입은 외치는 피를 많이 흘린 ... ...
미·러는 왜 화성 메탄 존재 여부 놓고 다른 결과를 내놨나
과학동아
l
2019.06.22
단서를 제공해 논란을 일단락 지은 것은 큐리오시티였다. 큐리오시티는 2012년 8월 화성
남쪽
게일 분화구 인근에 착륙해 지금도 화성 표면을 누비며 탐사하고 있다. 큐리오시티는 1997년 7월 최초로 화성에 착륙한 로버 ‘소저너’나 7년 뒤인 2004년 1월 3주 간격으로 화성에 도착한 쌍둥이 로버 ... ...
[애니멀리포트]난도 괭이갈매기들 왜 예민할까 '그놈의 정력과 피부미용'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6.15
해양에 존재했는지 추적할 수 있습니다. 이장호 연구관은 “서해에서 백령도보다
남쪽
지역에 새로 알을 수집할 번식지를 찾고 있었는데 마침 난도의 알을 얻게 됐다”며 “서해 해양 환경을 알아내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난도의 괭이갈매기들이 예민한 이유 ... ...
북한 아프리카돼지열병 첫 발병...정부 "접경지역 방역 강화해 차단 총력"
동아사이언스
l
2019.05.31
농림축산식품부는 북한의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지역이 북중 접경지역이지만
남쪽
으로의 전파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북한 접경지역 방역 강화방안을 31일 내놨다. 농식품부는 이날 오전 긴급 방역상황점검회의를 개최하고 접경지역 방역 강화와 야생멧돼지 차단 조치 확대, 농가 방역관리 강화 ... ...
때이른 불청객 '폭염'…"올 여름도 평년보다 더워"
동아사이언스
l
2019.05.24
“이 때문에 초여름 티베트 고기압 발달이 더뎌 상층의 제트기류가 평년보다
남쪽
으로 내려올 것”으로 전망했다. 제트기류가 북태평양 고기압의 북상을 막아 북태평양 고기압이 서쪽으로 발달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또 한반도가 북태평양 고기압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국지적으로 강한 ... ...
영화 속 그곳, 빛과 얼음의 땅 북극
연합뉴스
l
2019.05.14
향해도 전부
남쪽
이고, 남극점에선 사방이 모두 북쪽이다. 두 곳은 지리적으로 북쪽 또는
남쪽
밖에 없는 특이한 지점이다. 하지만 극점에서 한 걸음만 움직여도 그곳에는 동서남북이 있다. 영화 '아틱'은 100% 아이슬란드에서 촬영했다. 아이슬란드는 북위 63.24∼66.33도에 걸쳐 위치한 화산섬으로 ... ...
연속적인 동해 지진, 활성단층 지도 없어 ‘오리무중’
동아사이언스
l
2019.04.22
구조물이 이번 지진 발생지역과 거의 일치하는 곳에 존재하고 있다. 동해 지각이 한반도
남쪽
으로 파고들고 있다는 주장도 함께 주목 받게 됐다. 사진 제공 학술지 김기범 ... ...
“동해 지진, 동해 사라지는 전주곡일지도”
동아사이언스
l
2019.04.22
구조물이 이번 지진 발생지역과 거의 일치하는 곳에 존재하고 있다. 동해 지각이 한반도
남쪽
으로 파고들고 있다는 주장도 함께 주목 받게 됐다. 사진 제공 학술지 김기범 교수 이달 19일 동해 동쪽 50km 바다에서 규모 4.3의 지진이 난 데 이어, 이번에는 울진 동쪽 야 38km 지점에서 규모 3.8의 지진 ... ...
동해서 3일 만에 지진 발생, 한반도-동해 사이 단층 원인 가능성
2019.04.22
기상청은 이번에 지진을 느꼈다는 신고는 총 12건이었다고 밝혔다. 이번 지진은 한반도
남쪽
에서 올해 발생한 지진 가운데 세 번째로 규모가 크다. 19일 발생한 규모 4.3의 동해 북동쪽 해역 지진이 가장 컸고, 2월 10일 경북 포항시 북동쪽 50km 바다에서 발생한 지진이 규모 4.1로 두 번째로 컸다.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