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깃
윙
우익
지느러미
방향조정 날개
시준판
뉴스
"
날개
"(으)로 총 657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오염물질 배출·소음 없는 ‘이온 항공기’
동아사이언스
l
2018.11.25
입증했다고 네이처 22일자에 발표했다. 연구진이 개발한 이온 드라이브 항공기는
날개
폭 5m, 무게 2.45㎏인 고정익 항공기로, 500W(와트)급 배터리를 탑재했다. 연구진은 10번의 시험비행을 통해 실내에서 이 비행기를 평균 고도 0.47m 수준으로 비행시키는 데 성공했다. 이온 드라이브 항공기의 ... ...
억만장자 빌 게이츠와 리처드 브랜슨은 왜 인공고기 사업에 투자했나
과학동아
l
2018.11.24
처칠은 1932년 50년 뒤의 세계(Fifty Years Hence)’라는 책에서 “50년 뒤에는 닭의 가슴살이나
날개
만을 먹기 위해 닭을 기르지 않아도 될 것이다. 대신 우리는 적절한 조건에서 닭의 한 부위만 별도로 배양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게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배양육은 현재의 육류 소비의 문제점과 ... ...
화성 착륙 임박한 탐사선 인사이트 '공포의 7분'을 극복하라
2018.11.23
뚫을 수 있게 느슨한 토양이 두껍게 형성된 곳을 선정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탐사선의
날개
처럼 펼쳐지는 태양 광 패널에 충분한 햇빛을 제공하는 위치이기도 합니다. 열 센서로 화성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면 얼마나 많은 방사성 물질을 포함하고 있는지에 대해 알 수 있습니다. 또 화성이 ... ...
“
날개
달린 토끼” 화제
팝뉴스
l
2018.11.17
데 성공했다. 네티즌들은 이 토끼가 하늘을 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한다. 귀가
날개
처럼 펄럭거리면서 토끼 몸을 들어 올릴 것 같다는 이야기다. 일부 네티즌들은 귀를 펄럭이며 나는 코끼리 덤보를 떠올리게 된다고 말한다. 어떤 종인지 설명은 없는데, 비정상적일 정도로 큰 귀는 신기함을 ... ...
[이강운의 곤충記] 아름다운 색과 뚜렷한 개성을 지닌 호주의 딱정벌레들
2018.11.16
색깔과 뚜렷한 개성, 호주의 멋을 지닌 듯한 딱정벌레들을 소개한다. 줄무늬홍
날개
Lycid beetles (Metriorrhynchus sp.) 애기무당벌레류 Mealybug ladybird (Cryptolaemus montrouzieri) 검알락바구미 Black Detritus Weevil (Chrysolopus detritus) 식균무당벌레 Fungus-eating Ladybug (Illeis galbula) 호주잎벌레 Australian Leaf Beetle (Chrysomelidae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민들레 씨앗의 유체역학
2018.11.07
작고 가벼운 곤충이기 때문에 막 없이 일정한 간격으로 필라멘트가 배열된 게 전부인
날개
로도 날 수 있다. 이들에게는 하늘을 날아다닌다는 것보다 헤엄친다고 하는 게 더 적절한 표현이다. 이 연구결과를 담은 논문은 학술지 ‘네이처’ 10월 18일자에 실렸는데, 같은 호의 사설에서도 다뤘다. ... ...
[이강운의 곤충記]은밀한 언어 '케미'
2018.10.31
뒷
날개
가 겹쳐지는 부분에 냄새비늘을 가지고 있다. 산제비나비 냄새 비늘, 앞
날개
, 뒷
날개
페로몬 발산을 차단한 수컷 집단에서는 9.8%, 페로몬 발산이 자유로운 집단에서는 90% 짝짓기 성공률을 보였다. 나비도 궁극적으로는 수컷의 페로몬으로 짝짓기가 결정된다. 짝짓기를 유도하는 ... ...
[우주로 가는 기업들]①3억원에 위성 쏜다…소형위성 발사시장 장악한 민간기업들
동아사이언스
l
2018.10.26
버진 오빗이 보잉 747을 개조해 만든 위성발사용 대형 항공기 ‘코스믹 걸’. 왼쪽
날개
안쪽에 빨간색 부위가 여분의 엔진 자리로 발사체가 장착되는 곳이다.-버진오빗 제공 모니카 디렉터는 “스페어 타이어처럼 크게 설계를 변경할 필요 없이 빈 엔진 자리에 로켓인 랜처원을 탑재할 수 있기에 이 ... ...
[여기에 과학]시조새와 공룡의 진화적 차이는 '이빨'
동아사이언스
l
2018.10.26
000만 년 전인 중생대 쥐라기 시대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가장 오래된 새의 조상을 고대의
날개
란 뜻의 아르카이오프테릭스(Archaeopteryx)라고 하며, 흔히 ‘시조새’라 칭합니다. 시조새로 추정되는 생물의 뼈 12개가 처음 발견된 때는 1861년입니다. 많은 과학자가 새의 진화 연구에 뛰어들었습니다. ... ...
붉은불개미 살충제 살포 해결책 아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9
알들로 인해 몸이 무거워 날수도 없을 뿐아니라 수정이 끝나면 뒷발을 이용해 스스로
날개
를 떼버린다”고 설명했다. 그는 “만약 생식능력이 없는 일개미만 발견됐다면 살충제를 살포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일개미들의 수명은 약 60일 정도로 그냥 둬도 결국 죽는다. 류동표 교수 연구실에서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