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국제통화기금
기금
통화
뉴스
"
국제학술대회
"(으)로 총 627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게시판] 제12회 대한극지의학회 학술대회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9.08
극지연구소 제공 ■극지연구소와 대한극지의학회는 8일 ‘제12회 대한극지의학회 학술대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학술대회는 극지로 가는 과정과 극지에서의 활동에 필요한 감염병 예방과 방역이 주제다. 먼저 정현수 연세대 의대 응급의학과 교수가 ‘의료시설 안팎의 감염재난 발생 시 ... ...
강혜성 부산대 교수, 한국인 첫 국제천문연맹 부회장 선출
동아사이언스
l
2021.09.08
강혜성 부산대 지구과학교육과 교수. 한국천문학회 제공 강혜성 부산대 지구과학교육과 교수가 한국인 처음으로 국제천문연맹(IAU) 부회장으로 선출됐다. 한국천문학회는 강 교수가 지난달 26일 31차 IAU 총회 비즈니스 세션에서 부회장으로 선출됐다고 8일 밝혔다. 임기는 6년이다. IAU는 총 6명의 ... ...
[주말N수학] 우주를 관측하고 기후변화에 대처하는 수학
2021.09.04
고대 바빌로니아인들은 60진법을 나타낸 쐐기문자를 사용해 점토판에 기록을 남겼다. 당시 0에 대한 개념은 없어 60은 남아 있지 않다. 위키미디어 제공 유난히 더웠던 이번 여름은 미국과 유럽에서 폭우와 폭염 같은 이상기후로 큰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전 세계는 이상기후 현상을 걱정하며 기후 ... ...
[표지로 읽는 과학] RNA 분자 입체구조 찾는 신개념 AI
동아사이언스
l
2021.08.29
사이언스 제공 구조 생물학자에게 단백질은 분자 기계다. 분자의 3차원(3D) 구조에 따라 단백질의 종류와 기능이 달라지고 작동 방식도 바뀐다.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열쇠도 분자의 3D 구조에 달려 있다. 질병을 일으키는 핵심 단백질과 결합할 약물 분자를 3차원으로 정확히 설계할 수 있다면, 또 ... ...
[표지로 읽는 과학]인간 단백질 전체로 분석 대상 넓히는 인공지능 3D구조 예측
동아사이언스
l
2021.08.28
네이처 제공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26일 표지에 아미노산이 배배 꼬인 단백질들로 이뤄진 사람의 형상을 실었다. 단백질은 생명을 이루는 필수 물질로 저마다 기능을 하며 모든 생명 현상에 관여한다. 단백질의 기능을 해제하는 열쇠는 단백질의 3차원(3D) 구조에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실험을 통해 ... ...
이경무 서울대 교수, 세계적 인공지능 학술지 편집장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1.08.24
이경무 교수. 서울대 제공 이경무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가 인공지능(AI) 분야에서 최고 영향력을 가진 국제학술지 중 하나인 ‘국제전기전자공학회(IEEE) 패턴분석과 머신지능(TPAMI)’ 신임 편집장으로 선정됐다. 한국인을 포함해 동양인이 IEEE TPAMI 편집장에 선정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AI ... ...
[표지로 읽는 과학]얽히고설킨 단백질 구조를 수 분만에 예측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22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20일자 표지로 데이비드 베이커 미국 워싱턴대 의대 교수와 백민경 박사후연구원팀이 개발한 인공지능(AI) '로제타폴드(RoseTTAFold)'가 단백질의 3차 구조를 예측하는 모습을 일러스트로 상상했다. 나란히 서 있는 화살표와 구불구불한 사슬은 단백질의 2차 구조를 나타낸다. ... ...
[과학게시판] 국제여성과학기술인대회 BIEN 2021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8.19
임혜숙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18일 열린 국제여성과학기술인대회 BIEN 2021에서 축사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8일부터 20일까지 국제여성과학기술인대회 BIEN 2021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BIEN은 2003년부터 시작된 국내 최초 국제여성과학기술인 융합학술대회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국제 사회는 허위정보에 어떻게 대처하는가
2021.08.18
팬데믹에서 허위정보는 바이러스만큼이나 전염성이 크다. 인터넷을 통해 순식간에 퍼지며 개인과 집단에 잘못된 인식을 퍼뜨려 피해를 낳는다. 최근 연구는 코로나19 허위정보에 빈번히 노출될수록 정부 방역 지침을 불신하거나, 백신 접종을 주저 혹은 거부할 가능성도 커짐을 보여준다(Loomba et al. ... ...
안치용 생명硏 책임연구원 제14회 ‘여천생태학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1.08.12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안치용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세포공장연구센터 책임연구원(사진)이 사단법인 여천생태연구회가 수여하는 ‘여천생태학상’ 열네 번째 수상자로 선정됐다. 여천생태학상은 기초생태학 분야에서 연구 업적이 탁월한 차세대 생태학자를 표창하기 위해 고(故) 여천 김준호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